본문으로 바로가기

2016년 사업계획

연구원소개

연구사업목표

  • 국제거시금융실에서는 불확실성이 더욱 높아질 것으로 예상되는 세계경제 여건하에서 주요국의 거시경제정책 및 실물경제 동향에 대한 분석을 바탕으로 우리경제 대외부문의 정책역량을 강화하는 정책을 제안
  •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세계경제는 성장세 둔화, 교역 둔화, 소득불균형 심화, 국제자금흐름의 변화 등 구조적 변화를 겪고 있는바, 세계경제의 구조변화를 확인하고 이것이 세계경제 및 우리경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분석이 필요함
  • 중국경제의 성장저하 및 금융시장 불안정성 증가가 세계경제에 미치는 영향 및 우리경제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할 필요가 있음
  • 나아가 국내적으로는 고령화의 진전에 따른 경제적 영향과 이에 대응한 정책방향을 구상하고 대외적으로는 선진국 통화정책의 불일치에 따른 영향과 대응방향을 모색할 필요가 있음
  • 위와 같은 세계경제여건하에서 우리경제의 지속적인 성장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이슈에 대한 연구가 필요함
  • 첫째, 세계경제의 구조변화의 내용을 점검하고 이러한 구조변화가 초래하는 거시경제적 효과를 GIMF 모형을 활용하여 분석하고자 함
  • 둘째, 한국 수출의 변화 및 수출 변화에 따른 경기 변동을 점검하기 위해 수출산업의 자금조달방식을 분석하고 이로부터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함
  • 셋째, 선진국 통화정책의 불일치와 소규모 개방경제의 통화정책, 국제금융시장 변동성 증대에 따른 외환시장 안정화 방안, 고령화에 대비한 해외투자전략 등에 대해서도 다양한 형태의 연구를 수행하고자 함
  • 무역통상실에서는 중기 사업목표로 ‘글로벌 통상환경의 변화에 대응한 한국의 신통상정책 방향 정립’으로 설정하고, 이를 달성하기 위한 2016년 연차 목표로 ‘글로벌 가치사슬(GVC)심화에 대응한 통상정책의 총점검’을 제시
  • 2016년은 미국의 대선 등 주요국의 국내 정치 일정이 예정되어 있어 주요 통상협상이 타결과 같은 성과를 보이기는 어려울 것으로 전망되지만, TPP 타결로 인하여 RCEP이나 TTIP 등 Mega FTA는 협상이 활발히 전개될 것으로 보임. 한편 DDA도 나이로비 각료회의 이후 그 성격이 상당히 다르게 전개될 가능성이 있으며, 이 과정에서 글로벌 가치사슬은 점차 심화될 것으로 봄
  • 2015년 10월초 협상이 타결된 TPP는 2016년도에는 발효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으며, 이에 따라 2016년은 우리나라의 TPP 가입을 저울질하는 해가 될 것으로 보임
  • TTIP과 RCEP도 TPP 타결의 영향을 받아 협상진전이 가속화될 것으로 보임
  • DDA는 제10차 나이로비 WTO 각료회의 결과에 관계없이 미국 등 선진국 주도로 이전까지의 협상과 상당히 다른 새로운 형태의 논의가 시작될 것으로 봄
  • 또한 WTO 복수국간 협상인 ITA와 TiSA, EGA 등도 일정한 성과를 보일 것으로 예상됨
    한편 2016년 한중 FTA가 발표될 경우 2년 이내 서비스 및 투자 분야 후속협상이 예정되어 있어 이에 대한 준비도 필요할 것으로 봄
    이에 무역통상실은 2016년을 그 이후를 대비한 준비 점검의 해로 설정하고 사업목표를 ‘글로벌 가치사슬의 심화에 대응한 통상정책 총점검’으로 수립
  • 동북아경제실에서는 다자간 경제협력 증진, 북한의 체제변화 조짐에 대응한 통일기반 구축, 일대일로 전략 평가와 주변국과의 경제협력, 중장기 대중 지역협력방안 연구를 통해 우리 정부의 동북아경제정책 방향을 제시
  • 아시아인프라투자은행(AIIB) 출범 등 중국 주도의 신금융질서 형성과 한국의 대응방향, 동아시아 국가 투자유치 결정요인, 동북아 역내 경제협력 연구 등을 통해 다자간 경제협력정책 수요에 선제적으로 대응
  • 북한의 개혁·개방 움직임에 발맞추어 세계경제 체제 진입을 위한 대외경제정책 방향 제시 및 체제전환 대비 기초연구를 강화하고, 한·독 네트워크를 통한 통일준비 및 GTI 연구기관 공동연구를 주도
  • 중국의 일대일로 전략 평가와 주변국과의 경제협력 상황 및 해당지역 시장잠재력을 분석하여 대응방안을 제시하고, 2016년부터 시작되는 13차 5개년 계획이 우리 경제에 미치는 영향과 대응방향을 연구
  • 뉴노멀 시대 중국 각 지역의 경제구조 변화와 대응전략을 분석하여 중장기적인 대중국 지역별 협력방향 제시
  • 아시아태평양실에서는 역내에서의 전략적 지역경제협력 및 글로벌 공통의제에 대한 정책적 대응방안을 제시하고자 함
  • 일본 아베노믹스의 구조개혁과 TPP 협상타결을 지렛대로 공세적인 대아시아 전략, 모디노믹스 추진에 따른 인도경제의 급부상, 아세안경제공동체(AEC)로 통합된 동남아시아 경제권의 태동 등 역내에서 새롭게 형성되는 경제협력 구도와 각국의 대내외 정책을 중점 분석하여 우리나라의 새로운 ‘아시아태평양 전략’ 수립에 기여
  • ODA의 정책적 일관성과 효과성을 제고하기 위한 중장기 협력방안을 제시하고, 국제사회의 주요 이슈로 부상한 신(新)기후체제, 디지털 경제에 대한 연구를 통해 산업혁신 정책과제 발굴 및 기후변화협상 등 글로벌 공통의제에 대한 대응방향을 제시
  • 구미·유라시아실에서는 미국, EU 등 주요 선진국이 직면한 경제상황과 구조변화 현황 및 통상정책을 심층 분석함으로써 국내경제의 대응력을 제고하고 관련 정책 수립에 기여하고자 함
  • 최근 회복세가 뚜렷한 미국경제의 구조변화 현황을 분석하고 지속성장 가능성을 연구, 한국의 대응방안을 모색하고 미·EU FTA, 일·EU FTA 등 대형 FTA들이 글로벌 규범 및 표준 수립에 미칠 수 있는 영향을 분석
  • 차기 대선 이후 미국의 경제·통상 정책과 유로존 위기 이후 EU/유로존의 개혁추진 과정, 리스크 요인을 면밀히 분석함으로써 선진국 경제의 변화에 대한 중장기적 대응방안 마련
  • 한국의 대(對)유라시아, 아프리카·중동, 중남미 주요국별?분야별 성장유망 시장을 분석하고, 경제발전 및 산업육성정책을 파악함으로써 우리 정부 및 기업의 경제협력 확대방안 제시
  • 최근 새로운 사업기회가 창출되고 있는 아프리카·중동, 중남미, 유라시아 신흥국의 소비재, 인프라, 서비스 시장에 대한 진출 확대방안을 모색하고, 우리정부 및 기업의 개발경험과 비교우위를 토대로 한 경제협력 강화방안 마련
  • 특히 신흥국의 경제발전전략, 인프라 및 에너지 개발전략에 대한 심도 깊은 분석을 통해 새로운 경제협력 기회를 포착함으로써 우리 정부의 대신흥국 경제외교 및 국내기업의 진출확대에 기여

기본연구사업

기본연구과제

기본연구과제명, 첨부파일, 연구기간
기본연구과제명 첨부파일 연구기간
글로벌 경기침체와 주요국의 구조적 변화가 우리 경제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첨부파일 01.01.~ 12.31.
수출 기업의 금융구조와 국내 수출 변동성에 관한 연구 첨부파일 01.01.~ 12.31.
한국의 수입구조 현황과 영향에 관한 연구 첨부파일 01.01.~ 12.31.
Post 나이로비 다자통상정책 방향 연구 첨부파일 02.01. ~ 11.30.
서비스분야 규제완화가 외국인 직접투자 유입에 미치는 영향: STRI를 중심으로 첨부파일 03.01. ~ 12.31.
중국주도의 신금융질서 형성과 한국의 대응방향 첨부파일 02.01. ~ 11.30.
남북한 CEPA 체결의 효과 분석 첨부파일 03.01. ~ 12.31.
북한 주변국의 대북제재 변화와 국가간 무역대체 효과 첨부파일 03.01. ~ 12.31.
중국의 일대일로 전략 평가와 한국의 대응방안 첨부파일 02.01. ~ 11.30.
뉴노멀 시대 중국경제의 지역별·분야별 변화와 한국의 대응방안 첨부파일 02.01. ~ 11.30.
아베노믹스 성장전략에 대한 평가와 정책적 시사점 첨부파일 02.01. ~ 11.30.
한-아세안 기업간 지역생산네트워크 구축전략 첨부파일 01.01. ~ 12.31.
인도기업의 특성 분석을 통한 산업구조 연구: 기업이윤, 비용, 생산성을 중심으로 첨부파일 01.01. ~ 12.31.
SDGs 도입 이후 개도국 협력전략과 대응과제 첨부파일 02.01. ~ 11.30.
디지털 경제의 글로벌화와 산업혁신정책의 과제: 주요국 사례를 중심으로 첨부파일 02.01. ~ 11.30.
신기후체제하에서의 국제 탄소시장 활용방안 첨부파일 02.01. ~ 11.30.
민관협력사업(PPP)을 활용한 중남미 인프라·플랜트시장 진출 확대방안 첨부파일 02.01. ~ 11.30.
미국경제 구조변화에 따른 성장지속가능성 점검 및 시사점 첨부파일 02.01. ~ 11.30.
EU의 FTA 추진전략과 정책 시사점 첨부파일 02.01. ~ 11.30.
중앙아 주요국의 경제발전 전략과 경협 확대방안 첨부파일 02.01. ~ 11.30.
국제 에너지시장에서의 구조변화와 한·중동 협력방안 첨부파일 02.01. ~ 11.30.
아프리카 도시화 특성 분석 및 유망도시 진출방안 : 신도시 개발/인프라/ 유통시장 중심으로 첨부파일 02.01. ~ 11.30.

연구관련사업

과제명, 개요
1 과제명 KIEP 북경사무소 운영
개요
  • 중국의 대내외 정책 환경 변화, 글로벌 경제에서 중국의 역할 증대, 한·중 경제 협력관계의 지속적인 확대 등 중국과의 협력환경 변화에 부응하여 현장성·시의성을 갖춘 중국 정보 생산
2 과제명 국제회의
개요
  • IMF, PRI, AMR, ERI 등 세계유수 연구기관 및 국제기구와 정기적으로 국제 경제문제에 관한 국제세미나를 개최하여 세계 주요국 전문가들의 의견을 수렴하고 적시에 정책 건의
    • KIEP-PRI-CASS 회의
    • KIEP-IMF Conference 등
3 과제명 중장기 통상전략 운영
개요
  • 한국의 중장기 통상환경에 지대한 영향을 미칠 Global Issue에 대한 기회, 도전 및 위험 요인을 분석·활용하여 우리의 전략선택 방향을 모색
  • 2016년에는 점진적 경제통합을 통한 통일경제 운용방안을 주제로 하여 통일 후 일정기간 남북한 경제를 독자적으로 운영하기 위한 분야별 정책방향 및 주변국과의 협력방안을 연구
4 과제명 해외유관기관 연구교류
개요
  • 대외경제정책을 연구하는 국내 유일의 국책연구기관으로서 국제적 인지도 제고를 위해 전략적으로 중요한 지역에 대한 현장 중심의 연구기반을 강화하는 동시에, 이를 활용한 연구정보 및 인력 교류 확대, 국내외 유수한 연구기관과 인력 교류를 포함한 실질적인 연구교류 및 공동연구를 통한 세계 수준의 연구기관으로서의 기관 위상 강화
5 과제명 APEC 연구 컨소시엄 사무국 운영
개요
  • APEC 연구 컨소시엄은 APEC 경제협력에 대한 대학 및 정부출연기관의 부문별 연구를 활성화시킴으로써 APEC의 발전에 기여하고, 한국의 대APEC 정책수립에 기여
  • PECC(태평양경제협력위원회) 및 그 산하조직의 국제회의 등 활동에 참여하고, 한국의 입장에서 태평양지역 경제협력 및 경제통합의 추진을 위한 과제를 수행하며, 그 결과를 국내외적으로 공론화하고 전파
6 과제명 세계경제동향 분석 및 전망
개요
  • 세계경제동향과 국제경제규범의 변화 파악과 주요 지역 및 국가들의 경제제도·정책 내용 분석. 특히 수요가 급증하고 있는 중국 관련 정보를 중국지역 관련 전문가와 정책담당자, 기업인 등 다양한 계층의 이용자들에게 제공
7 과제명 아시아경제패널(Asian Economic Panel) 주관 및 학술지 발간
개요
  • 세계적으로 유수한 아시아경제 연구기관과 공동으로 아시아경제 연구, 특히 지역 협력을 위한 정책연구를 위한 목적으로 Asia Economic Panel을 운영
  • 본 패널에서 발표된 논문을 기초로 Asian Economic Papers라는 학술지를 발간함으로써, 아시아지역 정책연구에 대한 세계적 관심을 제고하고, 지역 경제통합에서 한국의 지적 리더십(intellectual leadership)을 높이는 데 기여
  • 저널 발간과 국제세미나, 즉 패널 운영을 통해 세계적 학자들과의 네트워크를 강화함으로써, 아시아경제에 관한 국제적 정책연구에서 한국의 영향력과 위상을 높이는 데 일조
8 과제명 G20 연구지원단 운영
개요
  • G20 정상회의는 세계경제를 주도하는 선진국, 신흥‧개도국이 참여하는 최상위 포럼으로서 주요 의제에 대한 학술 연구 및 제반 활동의 활성화를 통해 의제별로 우리나라의 입장과 대응전략을 수립
9 과제명 정책개발회의
개요
  • 주요 정책현안과제에 대한 정책토론회, 저명인사초청강연회, 전문가초청세미나 및 정책협의회 등을 통하여 정부유관부처, 학계, 연구계, 산업계 관계전문가들의 의견을 수렴, 정책 건의
10 과제명 무역자유화 종합연구 사업
개요
  • 무역자유화 관련 연구총괄, 자료 발간 · 배포, 공동연구 수행, 학술대회 개최 등을 통해 한국의 무역자유화 정책수립에 기여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
    • 무역자유화 관련 연구보고서 발간
    • 국제통상법 및 WTO 규범분야 협동연구 추진
    • DDA 및 FTA 협상 관련 세미나 개최 및 대정부지원
    • KIEP 국제통상연구회 운영
11 과제명 대외경제전문가 풀 운영
개요
  • 정부, 학계, 기업 등에 광범위하게 포진해 있는 국내 대외경제 전문가를 망라하고 있는 ‘대외경제전문가 풀(Korea's Official Pool of International Economists’을 활용하여 세미나 및 공동연구를 추진하고 정부가 이들을 국제협상 등에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
  • 해외 국가별·지역별 혹은 주요 국제기구별 한국의 대외경제관계 및 주요 경제현안을 점검하고 그에 따른 대응과제와 입장을 도출하여 정부에 건의
12 과제명 동아시아 연구네트워크 강화
개요
  • 국내외 기관이 생산하고 있는 동(북)아시아 경제협력 관련 동향정보, 학술 문헌정보 및 전문연구정보, 세미나 정보 등을 전문적으로 수집·선별한 후 웹사이트를 통해 확산
  • 동북아 관련 전문가와의 네트워크 강화
13 과제명 KIEP 무역모형 및 통상 DB 구축사업
개요
  • CGE 동학모형의 적용대상 확대 및 Run-Dynam GTAP 이외에 G-Cubed나 MMC 모형 도입을 통한 동학모형의 활용도를 제고
  • 주요 FTA 대상국의 통상정책의 결정과정과 관련된 DB를 구축함으로써 FTA 체결과 관련된 대상국의 정치경제학적 상황에 대한 정책연구 수행에 필요한 자료를 제공
14 과제명 KIEP 국제거시모형 운영
개요
  • KIEP 국제거시모형은 IMF의 GIMF 모형의 일종으로, GIMF 모형과의 호환성을 바탕으로, GIMF 모형의 개발 속도에 맞추어 계속 업그레이드하며, 기본 과제 및 연구자료 등 보고서를 통해 모형의 활용도를 높임
15 과제명 KU-KIEP-SBS EU센터 사업
개요
  • 한국과 EU 간의 협력증대를 위한 사업으로, 최근 다양화되고 긴밀해진 한국과 EU 간 경제관계에 관한 학술 연구 및 연구관련 사업의 활성화를 통해 정부의 대EU정책에 기여

연구지원사업

과제명, 개요
1 과제명 정보관리사업
개요
  • 대외경제 분야 경제정책 연구에 필요한 다양한 유형의 연구정보 수집 및 개인별·과제별 연구프로파일에 기반한 맞춤형 정보서비스 제공
  • 연구/행정 기록 아카이빙과 연구성과의 국내외 학술DB 확산 및 영향력 측정
2 과제명 연구기획사업
개요
  • 연구수요의 양적 충족과 질적 고도화를 위해서 연구사업의 기획 단계부터 완료 단계에 이르기까지 사업·인력·예산 등에 대한 기획·조정과 그에 따른 관리업무의 효율적인 수행
3 과제명 전산운영사업
개요
  • 연구 및 경영 지원을 위한 정보시스템의 안정적 운영과 개선, 운용 전산자원의 효율적 관리
  • 정보보안 강화를 통한 시스템 기밀성, 연속성 유지 및 전산 인프라 개선을 통한 연구 업무 효율성 제고
4 과제명 출판편집사업
개요
  • 연구보고서 및 (부)정기간행물을 편집, 출판하여 제공함으로써 정책수립 및 대안 개발에 기여
5 과제명 대외홍보사업
개요
  • 언론 홍보체계 및 언론 네트워크 강화를 통한 연구원 인지도 제고 및 연구 성과의 해외 확산을 통한 글로벌 싱크탱크로서의 입지 강화
  • 뉴미디어 트렌드에 맞는 홍보매체 활용과 온라인 홍보고객 관리를 통해 정보제공의 효율성 제고
6 과제명 윤리강화사업
개요
  • 투명한 기관운영을 통한 기본연구사업 예산의 효율적 집행 도모 및 윤리점검강화를 통한 산출보고서의 질적 수준 제고

일반사업

과제명, 개요
1 과제명 미 KEI 운영
개요
  • 미국 내의 한국 관련 정보를 수집하여 이를 한국의 정책담당자들에게 신속·정확하게 전달하고, 한국의 경제현황을 우리의 국익에 맞게 미국 현지에 홍보하며, 양국 간의 협상과 상호이익 증진을 위한 가교 역할
  • 자체 조사 및 KIEP와 한국정부의 요청에 의한 분석 자료를 KIEP에 송부, 美행정부·의회·재계 및 산업 등의 동향을 분석·평가
  • 미국 주요 언론기관의 한국경제 관련 보도에 관한 조사 및 송부
  • 한국경제의 이해와 홍보를 위한 각종 사업 시행
  • 상기자료들은 청와대, 기획재정부, 외교통상부, 지식경제부, 금융위원회, 국회 등 정책당국에 배포되어 정책수립 참고자료로 활용
2 과제명 한-미 관계, 북한 이슈 및 한반도 문제에 관한 공동연구
개요
  • 향후 한 · 미 관계는 동북아의 지정학적 변화 외에 양국간 경제사회 관계와 그 정치적 의미에 따라 재조정될 것임. 본 연구는 양국간의 관계를 정치·경제학적 관점에서 분석하고 타 동맹 관계들의 변화와 비교 연구함으로써 한 · 미 관계의 미래를 예측
  • 한 · 미 경제 관계와 동북아경제의 지역주의, 즉 한국, 미국, 동북아의 경제 역학 구도 변화가 양국 관계에 미치는 영향을 집중 분석
3 과제명 세계지역연구 네트워크 강화
개요
  • 지역연구 활동역량을 강화하여 국가 지역연구 인프라로서의 기능 제고
  • 연구활동뿐 아니라 지역 정보자료 축적·확산 등의 역량을 강화하여 국내 세계지역연구 중심으로서의 역할을 강화
4 과제명 전략지역 심층연구
개요
  • KIEP는 2009~10년간 중앙아시아를 대상으로 전략지역 심층연구 사업을 수행하였고, 2011년부터는 인도, 동남아(아세안), 2012년에는 중남미, 중동, 아프리카로 지역을 넓혀 심층연구 사업을 수행했는바, 2013년에도 주요 신흥경제권을 총망라하는 ‘포괄적 전략지역 심층연구’ 사업으로 확대 · 보완하여 추진
5 과제명 KIEP-국제대학원 공동 지역연구 활성화 방안(GPAS)
개요
  • 일부 지역에 편중되어 있는 국내 지역연구 경향에서 탈피하여 다양한 지역을 포함하는 종합적인 지역연구 지향 및 지역연구 인력 저변 확대의 필요에 따라 대외경제정책연구원은 본원이 보유하고 있는 다수의 지역경제전문가와 해외 전문연구기관 및 전문가와의 네트워크 등 전문성을 활용하여 국내 국제대학원과 공동으로 지역연구 및 공동강의를 통해 저변확대 프로그램을 운영
  • 대학원생의 지역연구 활성화를 도모하고, 지역연구 선도 기관으로서 KIEP을 홍보하기 위해 대학원생을 대상으로 세계지역연구 우수 논문 공모전을 개최
6 과제명 중국 권역별 · 省별 연구단 운영
개요
  • 중국을 단일경제권으로 보지 않고 권역별 · 성별로 주요 지방정부의 경제동향 · 정책, 투자환경, 내수시장의 특성 및 우리 진출 기업의 애로사항 등을 분석하여, 우리 정부 및 기업이 맞춤형 전략을 도출하는 데 기여
  • 중국의 경제환경이 급속히 변하고 있는 상황에서 중국의 권역별 · 성별로 현장감 있는 기초 자료집 및 심층 분석자료를 제공함으로써 각종 대중국 정책결정을 지원하며, 또한 우리 기업의 비즈니스 기회탐색과 진출전략 수립을 지원
7 과제명 온라인 지식 네트워크 운영
개요
  • 세계지역 관련 DB의 다양화를 통한 국가정보자원을 확충, 이를 국가지식으로 활용(지역정보, 기업정보, 비즈니스정보, 인물정보, 학술정보 등 다양한 DB 제공)
8 과제명 유라시아 시대의 한 · 몽골 전략적 협력 방안
개요
  • 경제인문사회연구회가 추진하는 ‘유라시아 지식네트워크’ 구축사업의 일환으로, 양국간 교역·물류·에너지·관광·건설 등의 분야에서 협력방안에 대해 논의
9 과제명 국제행사 타당성 조사
개요
  • 국제행사 심사위원회의 효율적 심사 지원을 위한 국제행사 사전 타당성조사 전담 시행
  • 국제행사의 실효성 강화 및 타당성조사의 객관성 제고
10 과제명 동북아 경제공동체 추진방안
개요
  • 동북아 경제통합의 심화 및 확대의 구심점 제공을 위한 동북아경제공동체 관련 국제세미나와 전문가 간담회, 워크숍 개최 및 보고서 작성
11 과제명 중국종합연구
개요
  • 중국의 중요성 증대에 부합하여, 종전에 부분적으로 접근하던 중국연구를 연구회 소속 연구기관 전체로 확대하여 종합적으로 접근하는 연구를 수행
12 과제명 KIEP 정보화사업 운영
개요
  • 정보시스템 운영관리 추진

시설사업

임차료 및 관리비

  • 연구원 사무실 임차료 및 관리비 반영

수탁용역사업

수탁용역사업비

  • 연구원의 정관상 설립목적인 ① ‘무역 · 통상, 국제금융협력, 국제투자, 해외지역을 비롯한 국가의 대외경제정책과 관련된 문제에 대한 조사 · 연구 · 분석과 정책수단의 개발’과 ② ‘세계경제 및 주요 경제권역 경제동향과 경제정책에 대한 연구 · 분석’ 등 연구원의 고유기능과 연구능력에 부합하는 수탁연구 용역사업 수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