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OPUP
등록된 팝업이 없습니다.
등록된 팝업이 없습니다.
▶ 국제남북운송회랑(INSTC: International North-South Transport Corridor)은 러시아, 이란, 인도 등 회원국간 운송협력 촉진을 목표로 설립된 복합 운송망으로, 최근 지역 내 핵심 물류망으로서 그 중요도가 높아지고 있음. - INSTC는 러시아에서 인도까지 연결된 3개의 운송회랑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한 기존 물류망 불안과 경제제재 속에서 새로운 교역로 및 경제협력 방안을 모색하던 러시아의 전략적 필요에 따라 최근 관심이 집중됨.
정동연▶ 전 세계적인 에너지 시장 지형 변화 및 에너지를 둘러싼 EU-러시아 간 갈등으로 유럽 내 에너지 수급이 비상 상황이며, 이에 유럽은 안정적이고 지속가능한 에너지 공급망 확보를 위한 대책 마련에 박차를 가하고 있음. - 구조적인 에너지 수급 불균형 상황에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에 따른 여파가 더해져 에너지 시장의 불확실성이 증폭된바, 에너지 안보와 재생에너지 확대를 통한 새로운 에너지 자원 질서로의 전환이 더욱 강조될 전망임. - 재생에너지 확대정책과 화석에너지에 대한 높은 해외 의존도가 결합하여 에너지 위기가 발생함. - 유럽은 에너지 비상사태에 대한 단기적 대응으로 △ 에너지 절약 △ 화석에너지 재가동 방침을 세우고, 장기적으로는 △ 해외 에너지 의존도 감축 및 공급원 다변화 △ 재생에너지 전환 가속화를 통한 에너지 안보를 강화하고 있음.
한선이, 김예진▶ 2022년 7월 10일 실시된 일본 참의원(상원) 선거 결과, 자민당이 단독 과반의석을 확보함과 동시에 개헌 세력인 자민당, 일본유신회, 국민민주당 등이 의석의 2/3를 차지 - 해당 정당들은 이번 참의원 선거에서 총 93석을 차지하며 전체 248석 중 177석을 확보함으로써 개헌안 발의에 필요한 의석수 확보에 성공 - 2021년 10월 실시된 중의원(하원) 선거에서도 개헌 세력은 465석 중 2/3인 352석을 확보
김규판, 김서희▶ UAE는 2020년 9월 15일 미국의 중재하에 이스라엘과 외교관계 완전 정상화를 골자로 하는 ‘아브라함 협정(Abraham Accords)’에 서명하였음. - 같은 날 ‘중동과 전 세계에서 평화, 안보, 번영의 비전을 추구할 것’을 선포한 해당 협정에 바레인도 서명하였으며, 이후 수단(동년 10월 23일)과 모로코(동년 12월 10일)도 이스라엘과의 관계 정상화 행렬에 동참하였음.
손성현, 이지은▶ 제12차 WTO 각료회의(MC12)에서 제네바 패키지가 성공적으로 도출됨. - 164개 WTO 회원국들은 코로나19 팬데믹과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가운데 개최된 MC12에서 폐막을 이틀 연기한 끝에 제네바 패키지 도출에 성공함. - 제네바 패키지는 MC12 결과문서, 3개의 ‘각료선언’(①식량위기 대응 ②팬데믹 대응 ③동식물검역), 6개의 ‘각료결정’(①WFP 식량구매 수출제한 면제 ②지재권 일시면제 ③전자상거래 모라토리엄 연장 ④수산보조금 철폐 ⑤소규모경제 ⑥지재권 비위반제소)으로 구성됨. - 미국이 핵심쟁점에 대한 주요국 간의 입장 절충과 타협을 주도하면서 패키지 도출에 중요한 역할을 함.
서진교, 이주관, 김지현▶ [현황] 유로 지역 및 영국의 인플레이션이 각각 8.6%(’22. 6)와 9.1%(’22. 5)로 유례없는 수준을 기록하며 시장의 전망치를 상회 - 유로 지역과 영국의 물가상승률은 각각 ’21년 7월과 ’21년 9월 이후 연속 상승세를 시현하고 있으며, 이는 변동성이 큰 에너지 및 식품 가격 급증에서 기인 - 한편 소비자물가의 선행지표로 활용되는 생산자물가의 경우(’22. 5) 유로 지역에서 2년 만에 처음으로 상승세가 둔화되면서 36.3%를 기록한 반면, 영국에서는 상승세를 지속하며 15.7%를 기록
오태현▶ [국내외 물가 동향] 글로벌 인플레이션과 함께 우리나라에서도 기록적인 물가상승이 나타나고 있음. - 최근 미국, 유로 지역 등 주요국에서는 전년동월대비 8% 이상의 높은 인플레이션이 관측되고 있으며, 에너지 및 식료품 이외에 근원 인플레이션의 기여도 역시 높아진 상황임. - 원자재 중심의 수입가격 상승과 공산품 위주의 생산자가격 급등으로 인해 2021년 이후 모든 국내 물가지수가 오르고 있으며, 전년동월대비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올해 6월 6.05%로 집계되어 1998년 외환위기 이후 최고치를 기록함.
백예인, 한원태, 김현석코로나19 이후 글로벌 가치사슬(GVC) 이렇게 변했다 2022-08-04
[KIEP Live] ‘한국판 인도태평양 전략 구상과 대외협력 방.. 2022-07-29
Vol.106 일본 ‘남녀 임금차' 공개.. 노동 생산성 향상에 도.. 2022-07-29
Vol.105 사우디산 원유 판매가 인상.. 정유사 ‘먹구름' 기.. 2022-07-29
부동산세가 집값, 불평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국제적 고찰 2022-07-15
‘말레이시아 디지털' 이니셔티브 발표
더보기 EAER(영문학술지)EAER Vol.26, No.2 (June 2022)
더보기 숫자로 보는 세계경제글로벌 인플레이션의 국내 전가와 시사점
더보기이슈&트렌드
경제안보 더보기이슈&트렌드
코로나19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