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OPUP
등록된 팝업이 없습니다.
등록된 팝업이 없습니다.
▶ 2025년 3월 27일 개최된 제6차 국제북극포럼에서 푸틴 대통령은 ‘미국이 북극에서 지정학적·경제적 이익을 체계적으로 확대해나갈 것이 분명해 보인다’고 밝히며, 북극을 둘러싼 지정학적 경쟁과 주도권 다툼이...
브라질은 전 세계에서 중동 다음으로 그린수소 생산단가가 낮고 국내사용뿐 아니라 유럽으로의 수출 잠재력이 높아, 외국기업의 투자와 유럽 주요국과의 협력 사업이 진행되고 있음...
▶ 미국의 디지털 통상 압박 수준이 과거 어느 때보다 높아졌고 앞으로는 더욱 커질 것으로 예상되는바, 2025 NTE 보고서를 바탕으로 관련 논의와 쟁점을 살펴보고 대응 방향을 점검할 시점임...
▶ 트럼프 2기 행정부는 그간 있었던 관세 조치 중 가장 광범위한 상호관세 도입을 발표함(2025. 4. 2.). - 이번 상호관세 조치로 한국에는 25%의 관세가 566억 달러 규모의 수입액(`24년 기준)에 적용됨. - 10%의 기본 관세율에 더해 미국의 수입액 대비 무역수지 적자 폭이 큰 57개국에 대한 추가 관세로 중국(11→100%), EU(1→16%), 멕시코(0→19%), 베트남(4→45%), 대만(1→27%), 일본(2→25%), 한국(0→23%) 등 실효관세율이 트럼프 대통령 취임 전인 2024년에 비해 크게 상승할 예정임.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예정대로 미국의 무역 상대국에 대한 관세 부과를 골자로 하는 상호관세 행정명령을 발표하고, USTR을 통해 각국에 부과되는 상호관세 도출식을 공개함. - 이번 조치는 대선 유세 기간의 공약...
모디는 어떻게 인도를 세계에서 가장 잘나가는 경제대국으로 만들.. 2025-04-15
Vol.191 미얀마 강진에 태국 경제 영향..관광산업, 부동산시장 흔.. 2025-04-10
'기후위기', '산업발전' 두마리 토끼 잡는 EU의.. 2025-04-01
Vol.190 외국 기업의 러시아 시장 재진출..종전 기대감에 청신호 2025-03-27
‘숨은 기회의 땅', 중남미...우리나라의 정책 목표와 과제.. 2025-03-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