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최신연구자료

Regulatory Similarity Between APEC Members and its Impact on Trade
APEC Study Series Regulatory Similarity Between APEC Members and its Impact on Trade

본 논문은 APEC 회원국 간의 규제거리를 NTM의 유형 및 세부산업별로 계산하여 APEC 회원국 경제의 규제유사성을 정량적으로 살펴보았다. 이러한 분석을 바탕으로 아시아·태평양 자유무역 지역(FTAAP)을 통한 규제협력이 가능하거나 필요한 산업과 NTM 유형을 식별하였다. 또한 APEC 역내에서 규제의 차이가 무역의 저해요인으로 작용하는 것을 막기 위해 기체결된 메가FTA들의 TBT·SPS 조항을 분석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FTAAP실현에 대한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분석결과, 산업마다 규제거리가 상이하기 때문에 CPTPP와 같이 특정 산업을 중심으로 보다 구체적인 협정조항을 포함하는 방안을 고려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선진국과 개발도상국 간의 규제거리가 특히 크기 때문에 기술지원 및 역량구축과 관련된 조항을 포함하는 것 역시 매우 중요하다는 사실도 알 수 있었다.

최보영, 허인애
2022년 북중 무역 평가: 경제난의 가중과 위드코로나 전환
오늘의 세계경제 2022년 북중 무역 평가: 경제난의 가중과 위드코로나 전환

▶ 북한은 가중되는 경제난을 타개하기 위해 2022년 하반기부터 위드코로나 전환을 시도하고 있음. - 대규모 아사자 보도, 식량 수입량 증가 등 식량 수급이 원활하지 않은 징후가 관찰되는 가운데, 북한은 대내적으로 사회적·경제적 통제를 강화하고 농업 증산을 강조하면서 위기에 대응하고 있으며, 대외적으로는 국경봉쇄를 완화하고 있음. - 대내 코로나19 확산(2022. 5) 이후 위드코로나 전환(2022년 하반기)의 일환으로 수입 화물의 검역·통관 시간을 단축(2022. 6)하였으며, 수입 경로를 해상 운송, 화물 열차, 화물 트럭으로 다양화하고 있음.

최장호, 최유정
노동소득분배 결정요인 분석과 정책적 시사점
연구보고서 노동소득분배 결정요인 분석과 정책적 시사점

전 세계적으로 노동소득분배율이 감소하는 추세가 발견되면서 그 원인에 대한 다양한 가설이 연구되었다. 이러한 노동소득분배율의 감소는 소득불평등의 심화로 연결될 수 있으므로 불평등의 주요 지표 중 하나로 이용됐다. 노동자 계급 안에서도 저숙련 노동자가 노동소득분배율 감소의 영향을 크게 받을 수 있으며, 자영업자를 포함한 저소득층의 주요 소득원은 노동소득이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여러 불평등 지표 중 노동소득분배율 변화의 주요 요인에 대해서 분석한다. 로봇도입에 따른 자동화, ICT의 발전, 4차 산업혁명 등의 노동절약적 기술 변화가 노동시장을 변화시킬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이러한 기술 변화의 영향을 분석하여 정책적 대응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백예인, 한민수, 김원기, 김현석
한-호주 공급망 협력 방향: 핵심광물과 수소를 중심으로
연구자료 한-호주 공급망 협력 방향: 핵심광물과 수소를 중심으로

미・중 패권 경쟁, 코로나19 사태 이후 공급망 취약성 부각 등의 영향으로 전 세계적으로 공급망 재편 움직임이 나타나고 있다. 우크라이나 전쟁에 따른 러시아의 천연가스 수출제한 조치와 같은 자원 무기화 현상은 정부 차원의 공급망 안정 대책이 필요함을 보여준다. 한국은 주요 핵심 산업인 전기자동차와 이차전지 산업에 필요한 리튬, 코발트, 니켈, 희토류 등 핵심광물을 해외에 전량 의존하고 있다. 또한 2050 탄소중립 달성에 중요한 수소의 경우에도 해외 도입이 필요한 상황이다.

조승진, 신민이
OECD DAC 평가기준 개정안 적용방안에 대한 연구
ODA 정책연구 OECD DAC 평가기준 개정안 적용방안에 대한 연구

DAC 평가기준은 1991년 처음 도입된 이후 개발협력 사업과 정책을 평가하는 데 핵심 도구로 널리 사용되어왔다. 그러나 최근 몇 년간 ‘개발협력 환경과 가치의 변화를 충분히 반영하지 못한다’는 비판과 함께 본래 취지와는 달리 모든 종류의 평가에 모든 평가기준을 일괄적으로 적용하는 관행에 대한 우려가 심화되었다. 이러한 배경에서 OECD DAC은 3년여의 논의절차를 거쳐 2019년 말 공식 개정안을 도입하였다. 본 연구는 DAC 평가기준 개정안의 주요 내용을 분석하고 실제 ODA 평가에 적용된 사례를 정리하여 우리나라 ODA 시행기관이 평가에 참고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특히 개발협력 평가의 경험과 전문성이 상대적으로 부족한 정부부처와 공공기관의 ODA 평가품질을 개선하기 위한 지침성 연구로 계획되었다.

정지선, 유애라

KIEP NEW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