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전체보고서

발간물

목록으로
연구보고서 동남아 주요 국가들의 인력송출 현황과 한국의 대응방안 경제협력, 정치경제

저자 오윤아, 허재준, 강대창, 김유미, 신민금 발간번호 12-21 자료언어 Korean 발간일 2012.12.31

원문보기(다운로드:10,660) 저자별 보고서 주제별 보고서

한국은 현재 아시아ㆍ태평양 지역의 주요 인력수입국으로 2011년을 기준으로 체류외국인 139만 5천 명 중 약 70만 5천 명이 국내 노동시장에 참여하는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외국인력의 급증은 한국 사회에 큰 변화를 가져왔고, 이에 대한 사회적 갈등과 관심 또한 높아지고 있다.
한국의 외국인력 수입은 ① 중소기업 인력난 해소를 위한 단순기능인력의 제한적 유입과 ② 전문인력의 적극적 유치를 목표로 정부의 적극적인 주도하에 이루어졌다. 그동안의 단순기능외국인력의 수입은 제조업, 농축산업, 건설업 등의 인력난을 해소하는 데 기여하였으나, 내국인 고용과 임금에 대한 부정적 영향, 불법체류자 양산, 산업구조조정 지연, 사회ㆍ경제적 외부성 등에 대한 우려를 초래하였고, 고급 외국인력의 유치는 정부의 적극적인 노력에도 불구하고 그 성과가 미미한 편이다. 


이 연구는 한국에 대한 주요 송출지역인 동남아 국가들의 구조적 송출요인과 정책적 요인을 분석하여 송출국가들의 ‘공급측 요인’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한국이 이들 국가들과의 노동협력에 어떻게 접근해야 하는가를 모색하였다. 동남아 주요 송출국들은 경제발전 단계와 인구구조, 산업구조, 노동시장 등을 고려할 때 인력송출을 촉진하는 구조적 요인을 가지고 있고, 송출국 정부들은 인력송출을 고용창출과 외화획득의 기회로 보고 이를 장려하고 있다. 소득이 낮은 동남아의 개발도상국들이 해외로 인력을 송출하게 된 지는 오래되었지만, 정부의 주도하에 송출과정이 정비되고 인력송출을 장려하게 된 것은 많은 국가들에서 1990년대 이후 본격화되었다. 대부분 동남아 국가들의 인력송출 정책과 제도는 송출과정 제도화로 요약되며, 인력송출 정책의 적극성은 국가별로 차이가 있다. 또한 이들 국가에서 해외송출이 국가경제에 대해 갖는 중요성 역시 차이가 있는데, 필리핀과 같이 해외송금에 의존적인 나라부터 태국과 같이 영향이 미미한 국가까지 그 범위가 다양하다. 또한 이들의 일반적인 송출 행태와 결과로 한국이 해당 국가에 얼마나 중요한 시장인지 역시 국가별 차이가 있다.


주요 동남아 송출국별로 살펴보면, 한국에 인력을 가장 많이 송출하고 있는 베트남의 경우 경제발전 단계와 인구구조 측면에서 구조적 요인들이 인력송출을 촉진하고 있으며, 정부 차원의 정책적 장려와 제도화도 어느 정도 진행된 편이다. 경제구조상 해외취업과 해외송금 수취는 베트남의 경제 전반에 큰 비중을 차지하지는 않는다. 베트남의 특이성은 한국으로 인력송출이 집중되고 있다는 점인데, 이는 한국의 입장에서는 향후 유연한 외국인력 정책의 운영을 저해할 가능성이 있어 정책담당자들의 주의가 필요하다.
인도네시아의 경우 구조적 측면에서 인력송출 촉진요인이 강하나, 인도네시아 정부 차원의 정책적 추진이나 송출 과정과 노동자 보호에 대한 제도화는 효과적이지 않다고 판단된다. 또한 인도네시아의 경제규모를 반영하여 해외취업이나 해외송금이 인도네시아 경제 전반에 있어서 크게 중요하지는 않다. 한국은 인도네시아의 주요 송출대상국이 아니지만, 중동과 말레이시아에 비해 한국의 양호한 외국인력 노동여건을 이유로 한국 송출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필리핀의 경우 인력송출을 촉진하는 구조적 요인이 강하며, 정부 차원에서 송출정책을 체계적이고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필리핀은 해외송금의 국가경제적 중요성이 높으나, 송출대상국이 다변화되어 있어 한국으로의 집중도는 높지 않다.


마지막으로 태국의 경우 소득수준과 인구구조 등 구조적 요인을 고려했을 때, 인력송출국의 지위를 졸업할 가능성이 가장 높은 국가이다. 태국 정부는 이러한 상황을 반영하여 적극적인 인력송출 정책을 추진하거나 이를 국제노동협력에서 공세적으로 채택하고 있지는 않다. 해외송금이 태국의 국가경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크지 않고, 송출대상국 역시 다변화되어 있어 인력송출을 한국에 크게 의존하지 않는다.
이러한 송출국 특성을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정책시사점을 도출할 수 있다. 베트남의 경우 한국에 대한 최대 동남아 송출국으로 그 파급효과가 크기 때문에 양자노동협력을 통해 단순기능인력 수급 조절과 불법체류자 해결을 집중적으로 다룰 필요가 있다. 단순기능인력 유입에 대해서 송출국을 보다 다변화할 필요가 있는데, 이와 관련하여 주요 송출국 중 태국의 경우 현재 주요 송출국 중 소득수준이 가장 높아 인력송출이 향후 감소할 가능성이 가장 높다는 점에서 쿼터 비중을 높이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 또한 전문인력 유치 방안으로, 동남아 국가 중 연구역량과 중등교육 여건이 상대적으로 양호한 베트남, 필리핀, 태국에 ODA를 재원으로 두뇌순환 원칙에 입각해 유학생 유치 사업을 집중적으로 활성화하는 것을 검토해 볼 수 있다. 그러나 근본적으로 외국인력 운영의 수단으로 양자협상은 한계가 있기 때문에 외국인력 정책의 전반적인 개선과 함께 추진해야 할 것이다.

Like many migrant-receiving countries, South Korea has pursued the dual policy goals of restricting the inflow of low-skilled workers while trying to attract and retain highly-skilled workers. Yet after twenty years of labor immigration, the foreign labor force in Korea is largely made up of low-skilled workers whereas the number of highly-skilled, professional foreign workers remains decisively small. Such challenges are compounded by the existence of a large number of undocumented migrant workers, which has persisted due to complex economic and political reasons.
This study approaches such challenges faced by Korean immigration policy makers from origin-country perspectives with a focus on Southeast Asia. Southeast Asia is a major region of origin for labor migrants in Korea. Understanding the “supply side”— the structural forces and policy factors that contribute to labor emigration—will certainly improve bilateral labor cooperation between Korea and origin countries in the region. By doing so, this study also addresses the scarcity of research on labor migration from the origin-country perspective in Korea’s policy and academic circles.
A survey of several structural factors of major Southeast Asian economies; including their wage gaps with Korea, levels of economic development, sectoral composition, and labor market conditions; suggest that these countries have strong, although varied, incentives to promote labor emigration such as reducing unemployment and securing overseas remittances. Reflecting the importance of overseas employment and remittances to their economies, some countries in Southeast Asia have developed policies and institutions to promote labor migration and protect their workers abroad. The priorities of labor migration in their external economic policy as well as government capacity to promote labor migration in bilateral cooperation with Korea vary from country to country, but some countries have come to see Korea as a highly important destination of their labor migration and to actively pursue the labor mobility agenda with Korea.
In view of Korea’s policy challenges in controlling the influx of low-skilled migrant workers and to increase high-skilled worker migration, this study of Southeast Asian origin countries suggest a number of policy recommendations. First, while Korea needs to strengthen its efforts to reduce the entry of low-skilled workers and the number of undocumented workers across the board, it can better achieve such goals by concentrating on countries with largest potential impact. Bilateral labor flows into Korea are highly uneven in their distribution among countries, so improvement with major labor cooperation partners can have disproportionate effects on overall foreign labor outcomes. In addition, this will also help diversify the labor flows from the origin countries, which is another important recommendation this study makes. The reliance on a limited number of origin countries can lead to an inflexible policy environment with adverse implications for bilateral labor cooperation. Second, Korea needs to pay more attention to high-skilled workers from Southeast Asia. Considering fierce global competition for talent, Korea is most likely to secure highly-skilled migrant workers in the form of foreign students. The close relationship between Korea and Southeast Asia should work as an advantage, and Korea could design scholarship and employment programs for Southeast Asian graduate students based on a brain return platform where after a period of employment in Korea they should return home to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human resources in origin countries. Attracting foreign talent and graduate students from Southeast Asia needs to focus on countries with relatively good math and science education, such as Thailand, the Philippines and Vietnam.
 

 서언 


국문요약 


제1장 서론 
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2. 선행연구와의 차별성 
3. 연구의 방법과 구성 


제2장 한국의 외국인력 현황과 과제 
1. 한국 내 외국인노동자 현황 
   가. 전체 외국인 체류자 및 노동시장 참여자 수 
   나. 단순기능외국인력 
   다. 전문외국인력 
   라. 국적별 외국인력 
2. 한국 외국인력 정책의 과제 
   가. 단순기능인력 편중과 운용 개선 
   나. 불법체류자 규모 축소 
   다. 전문외국인력 유치 


제3장 동남아의 지역적 특성 
1. 전 세계적 인력이동의 현황과 요인 
2. 동남아 지역의 인력이동 특성: 구조적 요인을 중심으로 
   가. 동남아 인력이동 현황 
   나. 동남아 인력이동의 구조적 요인 
3. 동남아 인력송출 결정요인에 대한 실증분석 
   가. 기본모형 
   나. 자료 
   다. 분석 결과 


제4장 동남아 주요 송출국의 현황과 정책 분석 
1. 베트남 
   가. 양국 경제협력과 베트남의 한국에 대한 인력송출 
   나. 베트남 인력송출 현황 
   다. 인력송출 제도와 관련 정책 
   라. 전문인력 송출 여건 
2. 인도네시아 
   가. 양국 경제협력과 인도네시아의 한국에 대한 인력송출 
   나. 인도네시아 인력송출 현황 
   다. 인력송출 제도와 관련 정책 
   라. 전문인력 송출 여건 
3. 필리핀 
   가. 양국 경제협력과 필리핀의 한국에 대한 인력송출 
   나. 필리핀 인력송출 현황 
   다. 인력송출 제도와 관련 정책 
   라. 전문인력 송출 여건 
4. 태국 
   가. 양국 경제협력과 태국의 한국에 대한 인력송출 
   나. 태국 인력송출 현황 
   다. 인력송출 제도와 관련 정책 
   라. 전문인력 송출 여건 
5. 동남아 주요 송출국의 특성 


제5장 결론 및 송출국가별 시사점 
1. 외국인력정책 개선에 대한 일반적 대안들 
2. 동남아 주요 송출국에 대한 시사점 
   가. 베트남 
   나. 인도네시아 
   다. 필리핀 
   라. 태국 
3. 연구의 한계와 향후 연구방향 


참고문헌 


부 록 
부록 1. 국내 결혼이민자 현황 
부록 2. 필리핀과 태국의 인력송출 관련 부서 및 정책 
부록 3. 필리핀과 태국의 이주노동자 보호 및 사후관리제도 


Executive Summary

판매정보

분량/크기, 판매가격
분량/크기 208
판매가격 10000 원

구매하기 목록

같은 주제의 보고서

Working paper Individualism and Political Stability 2023-12-29 중국종합연구 한중 탄소중립 협력 활성화 방안 연구 2023-12-29 중국종합연구 2023년 중국종합연구 총서 정책연구과제 요약집 2023-12-29 중국종합연구 탄소중립 시대 중국 동북지역 한중 지역개발 협력방안 : 중국 지린성을 중심으로 2023-12-29 세계지역전략연구 한-인도 해운·항만산업 협력방안 연구 2023-12-29 세계지역전략연구 아세안 주요국의 난민지원정책과 한국에 대한 시사점 2023-12-30 세계지역전략연구 중동·북아프리카 식량위기에 대한 역내 인식과 대응 및 협력방안 2023-12-27 단행본 만화로 보는 세계경제 2023 2023-12-23 세계지역전략연구 사하라이남 아프리카 주요국의 탈탄소 정책과 청정에너지부문 협력 방안 2023-11-29 연구자료 동남아·대양주 유권자들의 보호무역주의 성향 연구와 시사점: 필리핀, 태국, 호주, 뉴질랜드를 중심으로 2023-11-10 세계지역전략연구 인도·태평양 지역 경제안보: 주요국의 국내정치 동학과 한국의 경제안보전략 2023-09-13 연구자료 동지중해 천연가스 개발 현황과 한국의 협력 방안 2023-10-20 연구보고서 경제안보 이슈의 부상과 대외협력 방향 2022-12-30 세계지역전략연구 주요국의 대남아시아 경제협력전략과 정책 시사점: 중국, 일본, 인도를 중심으로 2022-12-30 연구보고서 미·중 전략 경쟁 시대 글로벌 기업의 대응과 중국진출 한국기업에 대한 시사점 2022-12-30 중장기통상전략연구 일본의 중장기 통상전략과 한·일 협력 방안 2022-12-30 연구보고서 한국-동남아 가치사슬 안정화를 위한 메콩지역 협력 방안 연구 2022-12-30 중장기통상전략연구 아세안의 중장기 통상전략과 한-아세안 협력 방안 2022-12-30 중장기통상전략연구 중국의 중장기 통상전략과 한중 협력 방안 2022-12-30 연구자료 방글라데시 기후변화 영향 분석 및 시사점 2022-12-30
공공누리 OPEN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 출처표시, 상업용금지, 변경금지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표시기준 (공공누리, KOGL) 제4유형

대외경제정책연구원의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 금지 +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저작권정책 참조

콘텐츠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콘텐츠 만족도 조사

0/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