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발간물

목록으로
Working paper The Recent Rise of the Far Right and Voters’ Anti-Refugee Attitudes in Europe 무역정책, 정치경제

저자 김윤정, 김남석 발간번호 24-01 자료언어 English 발간일 2024.11.20

원문보기(다운로드:591) 저자별 보고서 주제별 보고서

본 연구에서는 유럽 내 극우 포퓰리즘 정당의 부상과 이와 관련된 이민 및 난민 정책에 대한 개인의 태도 간의 관계를 심층적으로 탐구하였다. 유럽 다국가에 걸쳐 ‘이민과 난민 유입 관련 태도’에 대해 조사한 설문조사 자료와 네덜란드 및 프랑스의 선거 설문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분석한 결과, 교육 수준, 소득, 정치 이념 등의 개인적 특성을 통제한 후에도 이민에 대한 태도가 극우 투표를 설명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미국 등 일부 지역에서 종사 산업의 비교 우위와 열위가 투표 행위에 설명력을 갖는 것을 보인 기존 연구결과와 달리, 종사산업의 비교우위와 열위를 고려하는 것은 극우 정당 투표에 설명력을 갖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이민 장벽에 대한 선호는 여전히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를 통해 유럽의 경우 이민 정책이 뚜렷한 정치적 쟁점이 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네덜란드와 프랑스에서 실시된 선거 설문조사 자료를 통해서는 난민 장벽에 대한 정책 선호가 극우 투표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강조하였다. 특히 과거 선거에서 극우 정당에 투표하지 않다가 가장 최근의 선거에서 극우 정당에 투표함으로써 극우 정당에 대한 지지를 표현하는 경우를 설명하는 데에 있어 난민 장벽에 대한 선호가 중요한 설명력을 가진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LASSO 회귀 분석을 활용한 설명 변수 선택을 통해 이민에 대한 태도 정보가 극우 정당에 대한 투표 행위를 예측하는 데에 필수적임을 재확인하였다. 향후 연구에서는 장벽 선호가 어떻게 결정되는지를 탐구하고, 각국의 다양한 선거 유형과 선거 제도가 투표 행동에 미치는 영향도 직접적으로 고려한 후 분석할 필요가 있다.
This paper explores the connection between individuals’ barrier preference toward immigration and refugee policy and how they are linked to voting behavior. We use three different datasets to tackle these two questions. We utilize multi-country survey data with abundant information regarding voters’ subjective attitudes toward immigrants to study the determinants of far-right voting in Europe. Notably, even after controlling for education, income level, or current employment status, which represents the human capital endow-ment of natives, industry-level comparative advantage and disadvantage, and political scale from left to right, we still find that a preference for immigration barriers has strong explanatory power for far-right voting behavior. We find that educational attainment and income level are important in explaining vot-ers’ anti-immigration attitudes, as the Heckscher-Ohlin model predicts. On average, voters with higher education and higher income are relatively more open to immigration and aware of their role in the economy.

In addition to the cross-country election studies that allow us to study the anti-immigration attitude, we also use election surveys conducted in the Neth-erlands and France to add more details on the role of individual immigration and refugee policy preference in the voting behavior. The election survey on the parliamentary election of the Netherlands provides a special identification approach that is not available in cross-country election surveys. The panel structure of the Dutch survey allows us to observe the voting history of re-spondents in 2012, 2017, 2019, and 2021 parliamentary elections. Using this information, this paper clarifies the characteristics of voters who newly join supporting right-wing populism. In other words, we study determinants of ‘switching’ voting behavior from non-populist parties to right-wing populist parties focusing on the refugee barrier preference. We explore whether atti-tudes towards refugees affect this switching behavior in the politics of the Netherlands. The election survey on French voters covers the most recent presidential election in France. We elaborate on how immigration policy pref-erences of French voters are related with the popularity of right-wing popu-list presidential candidates in France.

Considering that non-economic factors contribute to explaining the far-right voting behavior, utilizing other non-economic variables such as individ-uals’ sentiments towards various entities (including the government, legal sys-tem, and the European Parliament), and subjective evaluation of their own health and happiness can also add explanatory power, as numerous previous findings imply. For systematic consideration of these abundant variables in the ESS data, we use LASSO for variable selection. For this exercise, we con-sider two approaches in selecting the optimal penalty term, namely cross-validation (CV) and Bayesian information criterion (BIC). It is worth high-lighting that almost all of the immigration barrier preference variables are se-lected when using both CV and BIC for variable selection criteria.
Executive Summary

1. Introduction

2. Background

3. Data
3-1. European Social Survey
3-2. Dutch Parliamentary Election Panel Study
3-3. French Electoral Study

4. Econometric Specifications
4-1. European Social Survey
4-2. DPES and French Electoral Study

5. Estimation Results
5-1. Estimation Results Using ESS Data
5-2. Estimation Results Using DPES
5-3. Estimation Results Using French Electoral Study
5-4. Variable Selection Using LASSO

6. Conclusion

References

판매정보

분량/크기, 판매가격
분량/크기 50
판매가격 3,000 원

구매하기 목록

같은 주제의 보고서

연구자료 핵심광물협정의 주요 내용과 정책 시사점 2024-11-08 중장기통상전략연구 동남아 주요 5개국의 통상전략과 경제성장 경로 : 수출주도성장전략의 평가와 전망 2024-10-11 연구보고서 수출규제의 경제적 함의와 글로벌 공급망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2023-12-30 연구보고서 디지털 통상규범의 경제적 효과 추정에 관한 연구 2023-12-29 중장기통상전략연구 몽골의 중장기 통상전략과 한·몽골 협력 방안 2023-12-29 중장기통상전략연구 남아프리카공화국의 중장기 통상전략과 한·남아공 협력 방안 2023-12-29 중장기통상전략연구 멕시코의 중장기 통상전략과 한·멕시코 협력 방안 2023-12-29 중장기통상전략연구 호주의 중장기 통상전략과 한·호주 협력 방안 2023-12-29 연구보고서 유럽 주요국의 경제안보 분야 대중국 전략과 시사점 2023-12-29 연구보고서 영-미 사례를 통한 미중 패권 전환 가능성 분석: 무역, 금융, 안보, 다자주의를 중심으로 2023-12-29 연구자료 산업보조금의 글로벌 확산 현황과 시사점 2023-12-29 Working paper Individualism and Political Stability 2023-12-29 연구자료 WTO 서비스 국내규제 규범의 분석과 시사점 2023-11-24 연구자료 동남아·대양주 유권자들의 보호무역주의 성향 연구와 시사점: 필리핀, 태국, 호주, 뉴질랜드를 중심으로 2023-11-10 세계지역전략연구 인도·태평양 지역 경제안보: 주요국의 국내정치 동학과 한국의 경제안보전략 2023-09-13 연구자료 국제사회의 성평등 무역규범 도입 현황과 한국의 정책과제 2023-05-06 연구자료 최근 Mega FTA SPS 규범의 국제논의 동향 및 시사점 2023-05-19 중장기통상전략연구 일본의 중장기 통상전략과 한·일 협력 방안 2022-12-30 연구보고서 포용적 무역을 위한 국내보완대책의 성과와 시사점 2022-12-30 연구자료 무역 자유화와 소비자 후생효과: 품질 다양성을 중심으로 2023-05-25
공공누리 OPEN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 출처표시, 상업용금지, 변경금지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표시기준 (공공누리, KOGL) 제4유형

대외경제정책연구원의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 금지 +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저작권정책 참조

콘텐츠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콘텐츠 만족도 조사

0/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