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기본연구보고서

발간물

목록으로
기본연구보고서 한국형 그린경제협정 로드맵 연구 무역정책, 환경정책

저자 이주관, 조문희, 박지현, 박혜리, 김민성 발간번호 24-29 자료언어 Korean 발간일 2024.12.31

원문보기(다운로드:607) 저자별 보고서 주제별 보고서 정책연구브리핑

글로벌 기후변화 대응이 주요국의 일방적 통상조치로 이어지는 현실 속에서도 국가 간 협력은 새로운 형태로 진화하고 있다. 본 연구는 ‘그린경제협정’을 탄소중립을 축으로 한 환경보호와 경제성장의 균형적 실현을 추구하는 새로운 협력체계로 정의한다. 그린경제협정은 그린경제와 관련된 국경 간 무역과 투자 활성화로 새로운 경제적 기회를 창출하고,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규범의 조화를 통해 안정적인 기후-통상 협력관계를 만들어 가는 협정이다. 현재 그린경제협정은 파트너십을 포함한 구속력이 없는 MOU, 기후변화 및 환경과 통상 정책을 연계한 FTA, 독립적인 형태의 기후통상조약 등 다양한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그린경제협정은 크게 경제구조의 친환경 전환을 추구하는 포괄적인 그린경제전환협정과 탄소감축 협력 등 구체적 기후변화 대응수단에 초점을 맞춘 협력협정으로 구분된다. 그린경제 전환을 위한 통상협정의 대표적 사례로는 「IPEF 청정경제협정」, 「EU-뉴질랜드 FTA」의 ‘지속가능한 발전’ 장, 「호주-싱가포르 그린경제협정」 등이 있다. 한국의 경우 기체결 FTA의 ‘환경’ 장과 「한-호주 기후·에너지 그린경제 파트너십」, 「한-EU 그린 파트너십」 등을 통해 이러한 포괄적 접근을 추진하고 있다. 한편 기후변화 대응에 특화된 협력협정은 탄소배출권의 국경간 이전과 같은 구체적 수단에 중점을 두고 있는데, 스위스의 「파리협정에 대한 이행협정」, 일본의 「저탄소성장 파트너십을 위한 공동감축메커니즘(JCM) 양자 협력각서」가 대표적이며, 한국은 2024년 현재 7개국과 기후변화협력 기본협정을 체결하고 20여 개국과 추가 협상을 진행 중이다.

글로벌 및 한국의 그린경제협정은 에너지 전환, 환경상품·서비스, 기술 협력, 시장 메커니즘, 이행 지원이라는 5대 핵심영역으로 구성된다. 에너지 전환 영역은 재생에너지와 수소를 중심으로 한 청정에너지 개발·활용과 운송, 산업, 농업 등 부문별 탈탄소화 과제를 포함한다. 환경상품·서비스 영역은 리스트 작성, 비관세장벽 완화, 정부조달 확대 등 무역 촉진과 표준·인증체계 구축을 다룬다. 기술 협력 영역은 CCUS 등 핵심기술의 R&D와 상용화에 초점을 맞추고 있으며, 시장 메커니즘 영역은 국제 탄소시장 참여와 MRV 체계 구축, ESG 투자 활성화를 포함한다. 이행 지원 영역은 정의로운 전환을 위한 역량 강화와 이해관계자 참여, 분쟁 해결 등 거버넌스 체계를 규정한다.

그린경제협정이 기후변화 대응과 지속가능한 경제성장을 추구하면서, 협정과 관련된 상품과 서비스의 범위가 지속적으로 확대되고 있다. 이러한 확대는 무역구조와 산업 경쟁력에 광범위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므로, 제3장에서는 협정의 경제적 파급효과에 대한 체계적인 분석을 시도했다. 우선 최근 체결된 그린경제협정들의 환경상품 범위를 비교해 보면 「호주-싱가포르 그린경제협정」은 HS6 단위 기준 372개 품목을, 「영국-뉴질랜드 FTA」는 293개 품목을, 「EU-뉴질랜드 FTA」는 48개 품목을 지정하고 있다. 「호주-싱가포르 그린경제협정」이 가장 많은 품목을 포함하고 있으나, 품목 수만으로 협정의 수준을 평가하기는 어려우며 각 협정이 정의하는 환경상품의 종류와 범위도 상이하다. 해당 품목들이 한국의 수출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큰 차이를 보인다. 기업 수준에서의 동향을 보면 매년 약 3만 개의 기업이 매년 「영국-뉴질랜드 FTA」와 「EU-뉴질랜드 FTA」에서 정의하고 있는 환경상품을 수출하는 것으로 집계되었다. 수출기업의 진입과 퇴출이 있음에도 매년 수출하는 기업 수는 크게 변하지 않은 것으로 파악되었다. 이들 환경상품 수출기업 특성을 보면 상대적으로 매출액과 1인당 매출액이 높고 연구개발비를 더 많이 지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향후 그린경제협정 협상에서는 각국이 자국의 이해관계에 따라 환경상품을 다양하게 정의하고 있는 현실을 고려하여, 한국산업 여건에 맞는 전략적 접근이 필요하다.

아울러 그린경제협정이 한국 수출과 경제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았다. 한국의 경우 아직 그린경제협정을 명시적으로 체결하지 않은 만큼 그린경제협정의 효과를 직접적으로 추정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이에 우선 「파리협정」을 이용하여 그린경제협정이 한국의 수출에 미친 영향을 간접적으로 살펴보았다. 즉 「파리협정」 전후 한국의 환경상품 수출에서 넷제로를 법제화한 국가로의 수출이 증가하였는지를 삼중차분 모형을 통해 살펴보았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음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한국의 그린경제협정 체결은 환경상품 관련 산업 영역에서 수출 증대를 가져온다는 결론을 도출하였다. 다음으로 관세감축뿐 아니라 다양한 실험적 상황을 함께 고려한 시나리오 분석을 통해 그린경제협정의 효과를 살펴보았다. GTAP E-Power 모형을 활용한 시뮬레이션 결과, 협력대상국 그룹별로 상이한 효과가 관찰되었다. 한국 입장에서는 탄소중립 법제화를 완료한 국가들과는 기술 협력이 가장 효과적이었고, 탄소배출권 연계도 다른 국가조합에 비해 효과가 높았다. 또한 정책화 단계 국가들과는 시장개방에 따른 관세감축효과가 높게 나타났다. 한편 협정상대국의 입장에서는 NDC 미제출 국가들이 한국과 기술 협력을 이행했을 때 그 효과가 가장 크게 기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제4장에서는 2장에서 살펴본 그린경제협정의 구성요소인 에너지 전환, 환경상품·서비스, 기술 협력, 시장 메커니즘을 실행하기 위한 핵심 정책 분야를 기술, 공급망, 투자, 국제감축 분야로 구분하여 한국의 그린경제 협력정책을 분석하였다. 특히 최근 그린경제협정의 동향과 비교·평가하여 실효성 있는 그린경제협정 로드맵 구축방향과 세부과제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한국 기후기술의 수준은 선진국 대비 약 80%에 머물고 있으며 특히 수소, 연료전지, 탄소 포집·활용·저장(CCUS) 분야에서 기술격차가 두드러진다. 이에 한국정부는 기후기술 분야 경쟁력을 확보하고 에너지 전환을 달성하기 위해 미국, 독일, 일본 등 기술선도국과 협력하여 원천기술 확보, 대규모 실증사업 참여, 기술표준 정립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국제협력 과정에는 전문인력 부족, 자금 문제, 현지 마케팅의 어려움 등 여러 장애 요인이 존재한다. 이에 정부는 그린경제협정의 기술 협력 채널을 적극 활용하여 글로벌 R&D 투자를 확대하고 전략적 기술 협력을 강화하며, 국제기술표준을 선도하는 데 주력해야 한다. 또한 협력 네트워크 구축과 현지화 전략을 통해 글로벌 기후기술 시장에서 경쟁력을 확보해야 한다.

한국정부의 그린공급망 협력정책은 수소, 배터리, 핵심광물 등 미래산업 핵심자원의 안정적 확보 및 공급망 강화를 목표로 추진되고 있다. 현재 한국은 리튬, 코발트, 희토류 등 주요 자원의 수입의존도가 매우 높아, 핵심광물의 수입선 다변화와 그린공급망 구축을 위한 인프라 협력이 필수적이다. 이를 위해 정부는 국내적으로는 공급망 안정화를 위한 법적·정책적 체계를 마련하는 한편, 대외적으로는 호주, 몽골, 캐나다 등 자원부국과 전략적 MOU를 체결하여 자원개발과 가공 부문에서의 협력을 강화하고 있다. 그린공급망 협력에서 논의되어야 하는 핵심요소는 핵심광물의 탐사 및 개발, 핵심광물의 지속가능 협력, 친환경 기술의 이전, 녹색금융과 투자 확대 등이다.

한국정부의 국제투자 협력정책은 정부 주도의 양자협정 체결, ODA 연계, 국제기구와의 협력이 추진되고 있으며, 민관합동으로는 다양한 협의체 운영과 사업 발굴, 금융 지원이 이루어지고 있다. 민간 주도의 경우 수소기업협의체와 같은 자발적 협력체를 중심으로 국제협력이 확대되고 있다. 최근의 그린경제협정에서 투자 협력의 특징은 기후·환경과 무역·투자를 연계하는 흐름이 보이고, 기후변화 적응과 완화를 위한 방안으로 청정에너지의 투자확대 협력을 강조한다는 점이다. 또한 그린전환 활동에 대한 민간투자를 동원하기 위한 협력과 지속가능한 금융, 혁신적인 금융 메커니즘 육성, 전환금융 촉진 등을 통해 투자를 활성화하도록 협력한다는 내용을 포함하고 있다. 향후 그린경제협정 로드맵 구축 시 투자 협력 부문에서 고려해야 할 사항은 투자를 통한 한국기업의 해외 진출 기회 확대 부문이다. 그린산업과 기업의 해외시장 진출을 연계한 투자 협력 내용이 로드맵에 포함될 필요가 있다. 또한 지속가능한 금융 개발, 혁신적인 금융 메커니즘 육성, 전환금융 촉진 등에 대한 구체적인 세부 협력 활동을 로드맵에 명시할 필요가 있다. 다만 이를 위해서는 국내에서 전환금융 제도화에 대한 논의와 합의가 먼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한국정부가 추진 중인 국제감축 협력정책은 국외 온실가스 감축 협력을 위한 기후변화협력협정 기반의 국제감축사업, FTA를 통한 국제감축 협력, ODA와 연계한 국제감축 협력사업 등을 들 수 있다. 최근 그린경제협정에서 국제감축 협력 관련 특징은 대부분의 그린경제협정이 탄소시장 개발, 운영, 참여를 위한 협력을 규정하고 있다는 점이다. 특히 일부 협정은 온실가스 감축 성과뿐 아니라 친환경 기술이나 제품의 투자 확산과 수출을 위한 목적도 포함하고 있다. 주목할 것은 최근 체결된 FTA에서 기후변화 관련 협력 조항이 추가되고 있다는 점이다. 따라서 앞으로 체결될 FTA 협정들에서는 기후변화 관련 협력 규정이 포함될 가능성이 매우 높다. 한국형 그린경제협정 로드맵 구축 시 국제감축 협력 부문에서 고려해야 할 사항은 NDC 달성을 위한 협력뿐 아니라 국내기업의 해외 진출, 한국의 기후기술 확산 및 협력 등을 모두 포괄한 내용이 다루어져야 한다는 점이다. 또한 FTA를 통한 기후변화/국제감축 협력, 환경규제에 대응하기 위한 논의와 협력 활동, ODA와 연계한 국제감축 협력 활동 조항 등도 로드맵에 포함할 필요가 있다.

그린경제협정(GEA) 로드맵과 추진전략은 제5장에 제시되어 있다. 본 연구는 ‘효율적 탄소중립 달성과 경제성장 동력 확보’를 비전으로 설정하였다. 그린경제협정을 앞서 3장과 4장에서 확인한 공통 분야를 중심으로 무역·기술·투자·감축이라는 4대 분야로 재구성했으며, 각 핵심축을 중심으로 세부 협정 내용이 협상 상대에 따라 다르게 채워지는 모듈형 구성을 제안했다. 또한 모듈화된 협정 구성요소를 바탕으로 단계적 이행방안을 제시했다. 현재의 자국우선주의 심화와 감축의지 둔화라는 도전적 국제 정세와 탄소중립 추진 환경을 고려하여 단계별 추진전략 마련에 초점을 맞췄다. 단기(~2028년)에는 한국형 모델 개발과 전략적 파트너십 구축에 주력하고, 중기(~2035년)에는 ‘K-그린솔루션 패키지’를 통해 기술, 인력, 금융 지원을 통합 제공하는 접근을 제시하였다. 장기적(~2050년)으로는 이를 아시아-태평양 지역의 포괄적 기후통상 거버넌스로 발전시키는 것을 제안하였다.
In an era where global climate change responses increasingly manifest as unilateral trade measures by major countries, cooperation continues to evolve into novel forms. This research defines Green Economy Agreements (GEAs) as innovative cooperative frameworks that seek to achieve a balanced realization of environmental protection and economic growth, centered on carbon neutrality. These agreements aim to generate new economic opportunities through cross-border trade and investment in green economies while establishing stable climate-trade cooperative relationships through regulatory harmonization for climate change response.

Currently, GEAs are being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including non-binding MOUs with partnerships, FTAs that integrate climate change and environmental policies with trade policies, and independent climate-trade treaties. These agreements can be broadly categorized into two types: comprehensive green economy transition agreements pursuing environmental transformation of economic structures, and cooperation agreements focusing on specific climate change response measures such as carbon reduction collaboration.

Notable examples of trade agreements for green economy transition include the IPEF Clean Economy Agreement, the sustainable development chapter of the EU-New Zealand FTA, and the Australia-Singapore Green Economy Agreement. Korea is pursuing this comprehensive approach through environmental chapters in existing FTAs and partnerships such as the Korea-Australia Green Economy Partnership and the Korea-EU Green Partnership. Meanwhile, cooperation agreements specialized in climate change response focus on specific mechanisms like cross-border carbon credit transfer, exemplified by Switzerland's Paris Agreement Implementation Agreement and Japan's Joint Crediting Mechanism (JCM) bilateral memoranda. As of 2024, Korea has established basic climate change cooperation agreements with seven countries and is conducting additional negotiations with over 20 nations.

Global and Korean GEAs are structured around five core domains: energy transition, environmental goods and services, technological cooperation, market mechanisms, and implementation support. The energy transition domain encompasses clean energy development and utilization centered on renewable energy and hydrogen, along with sector-specific decarbonization challenges in transportation, industry, and agriculture. The environmental goods and services domain addresses trade facilitation through list compilation, non-tariff barrier reduction, government procurement expansion, and the establishment of standards and certification systems. The technological cooperation domain focuses on R&D and commercialization of core technologies such as CCUS, while the market mechanism domain includes participation in international carbon markets, establishment of MRV systems, and promotion of ESG investment. The implementation support domain defines governance systems including capacity building for just transition, stakeholder engagement, and dispute resolution.

Here's the continuation of the comprehensive translation:
As GEAs pursue climate change response and sustainable economic growth, the scope of related goods and services continues to expand. A comparative analysis of recently concluded GEAs reveals varying scopes of environmental goods: the Australia-Singapore Green Economy Agreement designates 372 items at the HS6 level, the UK-New Zealand FTA includes 293 items, and the EU-New Zealand FTA lists 48 items. While the Australia-Singapore agreement encompasses the most items, the quantity alone cannot determine the agreement's sophistication, as the nature and scope of environmental goods differ significantly across agreements.

At the enterprise level, approximately 30,000 firms annually export environmental goods as defined in the UK-New Zealand and EU-New Zealand FTAs. Despite entry and exit dynamics, the number of exporting firms remains relatively stable. These environmental goods exporters demonstrate notably higher total sales, sales per employee, and R&D expenditure, indicating the capital-intensive and innovation-driven nature of the sector. Given that different countries define environmental goods according to their interests, strategic approaches aligned with Korea's industrial conditions are essential for future GEA negotiations.

The economic impact analysis employs general equilibrium mode, especially GTAP E-Power model, to simulate various cooperation scenarios. Results reveal differentiated effects across partner country groups. From Korea's perspective, technological cooperation proves most effective with nations that have completed carbon neutrality legislation, while carbon credit linkage also shows high effectiveness compared to other country combinations. Market opening and tariff reduction mechanisms demonstrate greater impact with countries in the policy development phase. For partner countries, those without NDC submissions show the highest expected benefits from technological cooperation with Korea.

Regarding Korea’s strategic positioning, Chapter 4 analyzes Korea’s green economy cooperation policies through four critical domains - technology, supply chains, investment, and international mitigation - that implement the key GEA components outlined in Chapter 2. The analysis evaluates current policies against recent GEA trends to develop actionable recommendations for an effective roadmap and implementation strategy. The country's climate technology capabilities currently stand at approximately 80% of advanced nations’ levels, with notable gaps in hydrogen, fuel cells, and carbon capture, utilization, and storage (CCUS) technologies. The government is actively pursuing international collaboration with technology leaders such as the United States, Germany, and Japan to secure foundational technologies, participate in large-scale demonstration projects, and establish international technical standards. However, challenges persist, including shortages of specialized personnel, financial constraints, and difficulties in market localization.

Korea’s green supply chain cooperation policy aims to secure stable supplies of critical resources for future industries such as hydrogen, batteries, and essential minerals while strengthening supply chain resilience. Given the country's high dependence on imports for crucial resources like lithium, cobalt, and rare earth elements, diversifying import sources and developing green supply chain infrastructure are paramount. The government has established domestic legal and policy frameworks while fostering strategic partnerships with resource-rich countries through MOUs focusing on resource development and processing cooperation.

In terms of international investment cooperation, Korea's approach combines government-led bilateral agreements, ODA linkages, and collaboration with international organizations, alongside public-private partnerships involving various councils, project development, and financial support measures. Recent GEAs demonstrate a trend toward linking climate and environmental sectors with trade and investment, emphasizing cooperation in clean energy investment expansion and promoting sustainable finance mechanisms. The private sector's international cooperation is expanding, primarily through voluntary cooperation groups such as the Hydrogen Business Council.

Korea's international mitigation cooperation policy encompasses international reduction projects based on climate change cooperation agreements, mitigation cooperation through FTAs, and initiatives linked with ODA. A notable feature of recent GEAs is their provision for cooperation in developing, operating, and participating in carbon markets. Some agreements extend beyond GHG reduction outcomes to include objectives for investment expansion and export of green technologies or products.

The research proposes a modular agreement structure centered on four pillars: trade, technology, investment, and emissions reduction. This is accompanied by a phased implementation strategy: developing a Korea-specific model in the short term (by 2028), implementing an integrated K-Green Solution Package for technology, human resources, and financial support in the medium term (by 2035), and ultimately establishing a comprehensive Asia-Pacific climate trade governance framework in the long term. This research provides strategic insights for policymakers navigating challenges of intensifying nationalism and diminishing reduction commitments, offering practical strategies for effective international climate cooperation while securing economic growth opportunities. The findings underscore the importance of tailored approaches to international partnerships, strategic resource allocation, and innovative policy mechanisms in advancing global climate objectives while maintaining economic competitiveness.
국문요약

제1장 서론
1. 연구의 배경과 목적
2. 연구의 주제와 구성
3. 그린경제협정의 정의

제2장 그린경제협정의 현황과 특징
1. 주요국의 그린경제협정 추진 현황
2. 한국의 그린경제협정 현황과 특징
3. 그린경제협정의 통상법적 의미

제3장 그린경제협정의 경제적 의의
1. 주요 그린경제협정에서의 환경상품
2. 환경정책이 한국 수출에 미치는 효과
3. 그린경제협정 요소별 체결효과

제4장 그린경제협정의 분야별 협력전략
1. 기술협력
2. 그린공급망 협력
3. 투자협력
4. 국제감축 협력

제5장 그린경제협정 로드맵과 추진전략
1. 로드맵의 비전과 목표
2. 그린경제협정의 구성요소와 모듈화
3. 그린경제협정의 핵심과제와 단계별 추진전략
4. 세부전략과 국내정책 보완

참고문헌

부록

Executive Summary

판매정보

분량/크기, 판매가격
분량/크기 284
판매가격 10,000 원

구매하기 목록

같은 주제의 보고서

기본연구보고서 보호무역정책의 정치경제적 결정요인 연구: 주요국 사례를 중심으로 2024-12-31 기본연구보고서 국제사회의 신규 기후재원 조성 방안과 한국의 과제 2024-12-31 기본연구보고서 EU의 기후중립 전략기술 육성 정책이 글로벌 공급망 재편에 주는 함의 2024-12-30 연구보고서 글로벌 반도체 산업 경쟁력과 공급망 구조 분석 2024-12-27 연구자료 핵심광물협정의 주요 내용과 정책 시사점 2024-11-08 Working paper The Recent Rise of the Far Right and Voters’ Anti-Refugee Attitudes in Europe 2024-11-20 중장기통상전략연구 동남아 주요 5개국의 통상전략과 경제성장 경로 : 수출주도성장전략의 평가와 전망 2024-10-11 세계지역전략연구 Exploring Urban Perception on Climate Change in Developing Countries 2024-08-29 기본연구보고서 수출규제의 경제적 함의와 글로벌 공급망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2023-12-30 기본연구보고서 디지털 통상규범의 경제적 효과 추정에 관한 연구 2023-12-29 기본연구보고서 기후클럽 형성에 대한 통상정책적 대응방안 연구 2023-12-30 기본연구보고서 에너지안보 강화와 탄소중립을 위한 한국의 대응방안 2023-12-29 중장기통상전략연구 몽골의 중장기 통상전략과 한·몽골 협력 방안 2023-12-29 중장기통상전략연구 남아프리카공화국의 중장기 통상전략과 한·남아공 협력 방안 2023-12-29 중장기통상전략연구 멕시코의 중장기 통상전략과 한·멕시코 협력 방안 2023-12-29 중장기통상전략연구 호주의 중장기 통상전략과 한·호주 협력 방안 2023-12-29 연구보고서 유럽 주요국의 경제안보 분야 대중국 전략과 시사점 2023-12-29 기본연구보고서 중동·북아프리카 지역 에너지 보조금 정책 개혁의 영향과 사회적 인식에 관한 연구 2023-12-29 연구자료 산업보조금의 글로벌 확산 현황과 시사점 2023-12-29 중국종합연구 한중 탄소중립 협력 활성화 방안 연구 2023-12-29
공공누리 OPEN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 출처표시, 상업용금지, 변경금지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표시기준 (공공누리, KOGL) 제4유형

대외경제정책연구원의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 금지 +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저작권정책 참조

콘텐츠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콘텐츠 만족도 조사

0/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