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전체보고서

발간물

목록으로
전략지역심층연구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한국의 대중앙아시아 진출전략 경제협력, 해외직접투자

저자 윤성학, 오영일, 변현섭, 김일겸, 노형복, 홍성혁 발간번호 09-13 자료언어 Korean 발간일 2009.12.30

원문보기(다운로드:1,488) 저자별 보고서 주제별 보고서

2008년 발생한 글로벌 금융위기는 고도성장 중인 중앙아시아 경제에 치명적인 결과를 초래하였다. 금융위기에 따른 중앙아시아 경제의 급격한 위축은 1차 원자재 수출에 절대적으로 의존하여 외부 충격에 취약한 경제구조가 근본적인 원인이라고 할 수 있다. 중앙아시아 국가들은 장기적으로 지속가능한 성장(sustainable development)을 위해 원자재 중심 수출경제구조를 획기적으로 개선하고자 하는 신성장전략을 추진하고 있다. 이 같은 전략에 따라 이 지역의 무역 및 투자 환경도 급속도로 변화되고 있어, 본 보고서에서는 급변하는 무역투자 환경에 대응하는 한국의 새로운 접근방법과 진출전략을 모색하였다.
The Global Financial Crisis had a catastrophic effect on Central Asian economies, which had been growing rapidly up to that point. The economic growth rate in Kazakhstan was over 10% annually from 2001 to 2007, but nose-dived to 3.2% in 2008, and the country would record minus growth in 2009. The sharp recession of the economies of Central Asian countries caused by the global financial crisis was the result of Central Asian countries having weak economic structures that were vulnerable to the external factors. Central Asian countries made an effort to transform their Soviet-style, centrally-planned economies to market economies starting in 1991, but had experienced difficulties in the rest of the 90s. Their economies began growing actively from early 2000s, yet it was growth driven by heavy dependence on natural resources such as petroleum, gas, nonferrous metals, and raw cotton. The exports of natural resources depends upon the world economic situation, and the lack of the demand for the natural resources following the crisis had a destructive impact on Central Asian economies, as the Crisis caused a drastic contraction of the world economy, which greatly reduced the demand for natural resources. In order to overcome the Global Financial Crisis, Central Asian countries are focusing on economic recovery and the stimulation of exports not through increasing investment in natural resources for a short-term strategy, but make an effort to build a sustainable system for economic development. A 'sustainable' development strategy for Central Asian countries means that they want to improve the structure of their economies, that are overly reliant upon exports of natural resources. This new development strategy following the Global Financial Crisis is rapidly changing the trading and investment environment in Central Asia. The purpose of this book is the study of the strategic approach to the rapidly-changing trading and investment environments of Central Asian countries. Chapter 2 analyzes the impact of the Global Financial Crisis on Central Asian countries, the possibility of their economic growth, and their new development strategy. Chapter 3, 4 are concerned with the study of the investment environment from the perspective of finance and logistics, and the search for investment strategies. Chapter 5, 6 looks at market opening strategies for Kazakhstan and Uzbekistan, the two representative Central Asian countries. Chapter 7 studies various cases of Korean investments, and Chapter 8 searches for possible strategies and new approaches for trade and investment to Central Asian countries after the Global Financial Crisis. New strategies for Korea's advance into Central Asia are as follows: First, the package strategy for natural resources has to be strengthened. These strategies are especially applicable to Central Asian countries, which have weak SOC infrastructure and manufacturing industry. As for details of the strategy, the exchange of the plant and natural resources would be very effective. Korea already signed contracts for the exploitation of the Surgil gas field and construction of the oil and gas complexes in Uzbekistan. And the contract for the construction project of the Balkhash Power Station in Kazakhstan can be considered part of a package strategy. Furthermore, neighboring countries like Azerbaijan and Turkmenistan are placing orders for plants in spite of the Global Financial Crisis, which makes application of the Korean model for 'exchange of natural resources and plant' that much more hopeful. Second, the Korea Investment Fund for Korean companies intending to enter the Central Asia market must be created. 'Natural Resources-Plants package model' needs a great amount of money for the development of natural resources and construction of plants. Therefore we need to devise a plan for suppling the money for the project. Third, there is a need to expand actively into logistic and financial markets, which have existed as obstacles for the investment of Korea. Central Asia's financial market is premature, but has a highly-rated growth potential. Korean financial agencies are already achieving notable successes in Central Asia thanks to advanced financial technologies, risk management, and by securing customer confidence. The Korea Development Bank in Uzbekistan and Kookmin Bank in Kazakhstan adapted successfully to local markets and are ready to move forward to a new stage. Other commercial banks are advised to follow suit and invest actively in the Central Asian market. Fourth, the Korean government should take aggressive measures, to show that official attention is being given to the service market concerning the business environment in Central Asian countries. Kazakhstan is currently a member of a customs union formed with Russia and Belarus, and is also trying to get the membership for WTO. It is necessary for Korea to occupy advance positions ahead of the competition in service sectors such as IT, finance, medicine and transportation. In order to achieve this goal, it is desirable that Korea take the initiative in agreeing to a CEPA with Kazakhstan and Uzbekistan which already have formed strategic partnerships with Korea. To enhance cooperation in trade with Central Asian countries, there is a need to strengthen investment and cooperation in the Special Economic Zones. In particular, Korea's participation in 'Navoi FIEZ' is highly recommended, which Uzbekistan is driving forward at the government level. Korea needs access not simply through strategies on all the various possible industries, but through strategy focused on competitive high technologies, asking the Uzbek government for market-friendly investment atmosphere in currency exchange and customs service. Fifth, elements of soft power such as experience in economic development and the Korean Wave should be enhanced. Korea is regarded as one of the role models to Central Asian countries and they consider Korea to be an ideal partner that is not politically imposing. Moreover, to strengthen cooperation in the private sector, the Korean government needs to encourage introduction of various development models in a diverse field that includes economy, medicine, education, culture, etc. Sixth, Korea should take the initiative in Green Growth. Despite their huge endowments of natural resources, Central Asia suffers from desertification and shortage of water caused by the global warming. Once Korea is able to show its capabilities in reforestation, desalination and green energy recycling, Koreans will be able to secure support from the locals and find new potential for economic growth. Seventh, Korea should also look towards countries like Turkmenistan and Azerbaijan as areas holding future promise, aside from Kazakhstan and Uzbekistan where her investment has hitherto been centered. In Turkmenistan, there is much room to take advantage of its resources and Korean participation in plant export and construction is greatly anticipated. Since Azerbaijan has already accepted Korea's know-how in IT and New Town Construction, the Korean government should sustain a more aggressive strategy. In addition, the Korean government must support medium-size and small companies in expanding into Kyrgizstan and Tajikistan through overseas assistance and KSP. Lastly, Korea has to enlarge exchange of human resources with Central Asian countries. The ethnic Koreans living in that area will be especially very helpful in establishing the Korean Entrepreneur Network to gain reliable information and to help companies obtain localization. Sustainable and stable relationship with Central Asia is possible when the relations are developed in all social and cultural fields beyond simple economic cooperation. Since Korean and Central Asia share much in terms of common cultural and ethnic heritage because of their common Altaic roots, it is easier for Korea to expand exchange in cultural, social, and human resources with those countries. This will make for a more reliable relationship and help establish more successful economic relations.
국문요약 제1장 서론 제2장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중앙아시아 경제와 신성장전략 1. 글로벌 금융위기가 중앙아시아 경제에 미친 영향 2.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중앙아시아 경제성장 전망 3. 중앙아시아의 차이나 임팩트 4.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중앙아시아의 신성장전략 가. 산업다각화 전략 나. 산업고도화 전략 다. 녹색성장전략 라. 동아시아 국가와의 협력 전략 제3장 중앙아시아 진출환경 분석: 중앙아시아 금융시장 환경과 한국의 진출전략 1. 중앙아시아 금융시장 개요 2. 카자흐스탄 금융시장의 현황과 전망 가. 카자흐스탄 금융시장 개관 나.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카자흐스탄 금융시장의 변화 다. 향후 전망 3. 우즈베키스탄 금융시장의 현황과 전망 가. 우즈베키스탄 금융시장 개관 나.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우즈베키스탄 금융시장의 변화 및 향후 발전 전망 4. 진출의 관점에서 보는 중앙아시아 금융시장 가. 진출대상으로서의 중앙아시아 금융시장 평가 나. 국내 금융기관들의 진출 현황 및 특징 다. 성공적 진출을 위한 핵심 사항 5. 한국의 전략적 대응방안 제4장 중앙아시아 진출환경 분석: 중앙아시아 물류시장 환경과 한국의 진출전략 1. 중앙아시아 운송ㆍ물류 시장 개요 2. 중앙아시아 운송ㆍ물류 시장 환경 평가 3. 카자흐스탄의 운송ㆍ물류 시스템 현황과 특징 4. 우즈베키스탄의 운송ㆍ물류 시스템 현황과 특징 가. 항공운송 나. 도로운송 다. 철도운송 5. 중앙아시아 국가들의 물류시장 진출 우선순위 평가 6. 카자흐스탄 물류시장의 잠재력과 유망 분야 7. 한국의 중앙아시아 물류시장 진출전략 8. 한국의 전략적 대응방안 제5장 중앙아시아 대외개방환경 분석: 카자흐스탄의 WTO 가입과 한국의 통상전략 1. 카자흐스탄의 WTO 가입 가. 카자흐스탄의 WTO 가입 필요성과 추진 경과 나. 관세동맹으로 WTO 가입 문제 다. 관세동맹과 WTO 가입에 대한 카자흐스탄의 입장 2. 카자흐스탄의 WTO 가입의 경제적 효과 가. WTO 가입으로 인한 경제효과 나. 카자흐스탄의 산업경쟁력 3. 카자흐스탄 WTO 가입 이후 한ㆍ카자흐스탄 교역 전망 가. WTO 가입으로 인한 교역환경의 변화와 한국에 미치는 영향 나. 한국의 전략적 대응방안 4. 카자흐스탄 WTO 가입 이후 한국의 투자 전망 가. WTO 가입으로 인한 투자환경 변화와 한국의 투자에 미치는 영향 나. 한국의 전략적 대응방안 제6장 중앙아시아 대외개방환경 분석: 우즈베키스탄의 나보이 자유산업경제지역(FIEZ) 경제발전전략과 한국의협력 방안 1. 나보이 FIEZ의 전략적 목표와 추진 현황 가. 우즈베키스탄의 산업정책과 발전전략 나. '나보이 FIEZ'의 전략적 목표 다. '나보이 FIEZ' 추진 현황 2. '나보이 FIEZ' 개발사업의 문제점 가. '나보이 FIEZ' 개발사업 투자 유치의 문제점 나. 우즈베키스탄 투자 시 주의할 점 3. '나보이 FIEZ' 개발사업에 대한 우리나라의 전략적 협력 및 지원 방안 가. 우리나라와의 전략적 협력방안 나. '나보이 FIEZ' 구축을 위한 우리나라 지원방안 다. '나보이 FIEZ'을 위한 실천적 발전방안 4. 한국의 전략적 대응방안 제7장 한국의 대중앙아시아 진출 성과와 시사점 1. 한국의 대중아시아 진출목적과 시기 구분 2. 1990년대 한ㆍ중앙아시아 경제교류의 전개와 특징 가. 한국의 대중앙아시아 진출 배경과 특징 나. 대우의 우즈베키스탄 투자의 특징과 성과 다. 대우의 우즈베키스탄 사업 위기와 해체 라. 삼성물산의 카자흐스탄무스 위탁경영 성공사례 마. 삼성물산의 카자흐스탄무스 위탁경영 성공의 시사점 바. 기타 기업의 진출사례 3. 2000년 이후의 한ㆍ중앙아시아 경제교류의 전개와 특징 가. 2000년대 한국의 대중앙아시아 무역의 전개와 특징 나. 한국의 대중앙아시아 자원 투자 다. 카자흐스탄 경제의 성장과 한국 건설기업의 진출 라. 대우, 갑을의 우즈베키스탄 면방업 투자사례와 시사점 마. 한국의 대중앙아시아 금융, IT 투자 바. 한국의 대중앙아시아 ODA, EDCF, KSP 사업과 특징 4. 한국의 대중앙아시아 투자의 성과와 시사점 제8장 결론: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한국의 대중앙아시아 진출전략 모색 참고문헌 Executive Summary

판매정보

분량/크기, 판매가격
분량/크기 262
판매가격 10000 원

구매하기 목록

같은 주제의 보고서

중국종합연구 한중 탄소중립 협력 활성화 방안 연구 2023-12-29 중국종합연구 2023년 중국종합연구 총서 정책연구과제 요약집 2023-12-29 중국종합연구 탄소중립 시대 중국 동북지역 한중 지역개발 협력방안 : 중국 지린성을 중심으로 2023-12-29 세계지역전략연구 한-인도 해운·항만산업 협력방안 연구 2023-12-29 세계지역전략연구 아세안 주요국의 난민지원정책과 한국에 대한 시사점 2023-12-30 세계지역전략연구 중동·북아프리카 식량위기에 대한 역내 인식과 대응 및 협력방안 2023-12-27 단행본 만화로 보는 세계경제 2023 2023-12-23 세계지역전략연구 사하라이남 아프리카 주요국의 탈탄소 정책과 청정에너지부문 협력 방안 2023-11-29 연구자료 동지중해 천연가스 개발 현황과 한국의 협력 방안 2023-10-20 연구보고서 경제안보 이슈의 부상과 대외협력 방향 2022-12-30 세계지역전략연구 주요국의 대남아시아 경제협력전략과 정책 시사점: 중국, 일본, 인도를 중심으로 2022-12-30 연구보고서 미·중 전략 경쟁 시대 글로벌 기업의 대응과 중국진출 한국기업에 대한 시사점 2022-12-30 중장기통상전략연구 일본의 중장기 통상전략과 한·일 협력 방안 2022-12-30 연구보고서 한국-동남아 가치사슬 안정화를 위한 메콩지역 협력 방안 연구 2022-12-30 중장기통상전략연구 아세안의 중장기 통상전략과 한-아세안 협력 방안 2022-12-30 중장기통상전략연구 중국의 중장기 통상전략과 한중 협력 방안 2022-12-30 연구자료 방글라데시 기후변화 영향 분석 및 시사점 2022-12-30 연구보고서 인도의 신·재생에너지 시장 및 정책 분석과 한-인도 협력 방안 2022-12-30 연구보고서 미·중 경쟁 하 중남미의 GVC 참여와 RVC 구축 연구 2022-12-30 세계지역전략연구 한-인도네시아 포괄적 미래 협력 방안 연구 2022-12-30
공공누리 OPEN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 출처표시, 상업용금지, 변경금지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표시기준 (공공누리, KOGL) 제4유형

대외경제정책연구원의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 금지 +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저작권정책 참조

콘텐츠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콘텐츠 만족도 조사

0/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