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구 발간자료

발간물

목록으로
SUN-KIEP EU센터 연구시리즈 The Impacts of Enlargement on the Central and Eastern European Countries 경제통합, 경제협력

저자 András Inotai 발간번호 09-02 자료언어 English 발간일 2009.12.24

원문보기(다운로드:969) 저자별 보고서 주제별 보고서

유럽연합(EU)의 확대는 중•동구유럽 통합의 성격을 바꿔 놓았다. 세계적인 변화의 추세를 반영한 것으로 볼 수 있는 EU의 확대는 EU 차원에서의 정책적 변화를 가져왔다.
본 연구는 신규 가입한 회원국들의 입장에서 EU 확대과정에서의 협상 및 결과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의사결정 과정, 공동농업정책, 예산, 확대된 EU에서의 정치•경제•사회적 활동 분야에 이르는 전통적이면서도 새로운 공동체 정책에 대해 논의한다. 또한 EU 통합이 심화되어 유럽의 국제적 위상이 빠르고 크게 강화되고 있음을 확인하고 있다.
EU 확대로 인한 단기적 효과분석에서 신규회원국들의 경제발전으로 인해 나타날 것으로 우려된 사항들이 대부분 실현되지는 않았으나 EU 차원에서의 신규가입국들에 대한 명확한 통합 전략이 요구됨을 강조한다. 이를 위해서는 현상유지적인 사고에서 미래지향적인 사고로, 편협적이고 국수적인 시각에서 유럽을 우선시하는 사고로의 전환이 필요하다.
자칫 신규회원국들의 특징도 비슷하고 성공적인 EU 회원국이 되기 위해 직면한 과제도 비슷한 것으로 오해할 수 있지만, 경제구조나 정치적 관심뿐만 아니라 준비정도, 더 나아가 EU 회원국으로서 경험하게 되는 긍정적•부정적 충격에 대한 적응력에서 서로 차이를 보인다. 이러한 차이로 말미암아, 확대된 EU 내에서 중•동구유럽이 한 목소리로 강력한 의견을 내기는 어려울 것이다. 그러나 전략적•전술적 동맹을 형성하여 예산의 재분배 혹은 재구성을 하도록 유도할 수는 있다.
The last and historic enlargement of the European Union by ten new countries has fundamentally changed the nature of the decades-long process of integration in Europe. , However, it is not only the enlargement but also the global challenges and the unprecedented reform pressure accumulated both in some key member countries and on the level of Community policies that urge to reconsider the mission, priorities and basic instruments of European integration for the coming years and decades.
The paper deals with the process of enlargement, focusing on the negotiations and their consequences. It gathers arguments in favour of joining the European Union on the side of the new members. Moreover, it addresses traditional and new community policies that have to cope with the new challenges, starting from the decision-making process and the reforming of the common agricultural policy, through budgetary considerations to desirable new activities of the enlarged Union in economic, social and political areas. The author strongly argues for a quick and fundamental process of deepening the integration, as a major requirement of strengthening or just creating the global position of Europe in the next decades.
The analysis of the short-term impacts of enlargement, mainly on the economic development of the new members indicates that most of the fears did not appear, while expectations have mostly still to be fulfilled in the next years. This, however, needs a clear integration strategy in the accession countries and a not less clear pro-integration strategy on the level of the EU. This should include a changing mentality from status-quo towards future-oriented thinking and a shift from narrow-minded national positions towards the awareness and implementation of European priorities.
Although, and at first glance, the new members reveal similar features and are confronted with similar challenges in order to become successful members of the European integration, a more detailed survey indicates substantial differences not only in their economic structure and political interests but also in their level of preparation and, even more importantly, in their capacity to absorb the positive and negative shocks connected with membership. Based on these considerations, it is hardly conceivable that the Central and Eastern European countries would form a cohesive and strong lobby within the enlarged Union. Excepting the efforts to redistribute and perhaps restructure the EU budget, their interests are likely to lead to the formation of different strategic and tactical alliances within the enlarged Community.
This paper is organized in the following order: first it reviews the most important stages of relations between the CEECs and the European integration (Chapter I), followed by the key arguments for membership (Chapter II). Chapter III deals with the most significant features of enlargement. Shorter and longer-term impacts of enlargement and tasks of successful membership are analyzed in Chapter IV. Chapter V tries to identify areas in which the CEECs may develop a common position within the enlarged EU. Chapter VI sums up the arguments and presents some concluding remarks.
Executive Summary

I. The Way to Membership

II. Why Membership?

III. Specific Features of the “Eastern” Enlargement

IV. Economic Impacts of Accession and Tasks of Successful Membership

V. Is There a Common Position of the CEECs in Key Integration Questions?

VI. Concluding Remarks

References

판매정보

분량/크기, 판매가격
분량/크기 74
판매가격 5000 원

구매하기 목록

같은 주제의 보고서

중국종합연구 대전환기의 대중국 전략 연구2 2024-12-31 중국종합연구 대전환기의 대중국 전략 연구1 2024-12-31 세계지역전략연구 인도의 인프라 정책 및 수요 분석과 한·인도 협력방안: 개발협력을 중심으로 2024-12-31 연구자료 홍해 위기가 우리 경제에 미친 영향과 물류 회랑 다변화에의 시사점 2025-05-27 기타 2024 KIEP 정책연구 브리핑 2025-04-30 기본연구보고서 일본의 핵심광물자원 확보전략과 한ㆍ일 협력 시사점 2024-12-31 기본연구보고서 한-아프리카 자원 협력을 통한 핵심광물 확보 전략 2024-12-30 중장기통상전략연구 인도의 데이터 거버넌스 분석과 한·인도 협력에 대한 시사점 2024-12-31 기본연구보고서 북미 3개국 주요 산업별 공급망 연계 강화 정책과 시사점 2024-12-30 기본연구보고서 우크라이나 전쟁 이후 중앙아시아 글로벌 가치사슬 변화 전망과 한-중앙아 협력 시사점 2024-12-30 기본연구보고서 한국의 대중남미 통상환경 평가와 정책 과제 2024-12-30 전략지역심층연구 민족공동체 통일방안의 재고찰 및 주변국의 인식 분석 2024-12-30 기본연구보고서 걸프 국가의 아시아 중시 정책과 한국의 대응방안 2024-12-30 기본연구보고서 인도의 국영기업 주도 경제개발전략과 한국-인도 협력 방안 2024-12-31 세계지역전략연구 Exploring Urban Perception on Climate Change in Developing Countries 2024-08-29 기타 2023 KIEP 정책연구 브리핑 2024-06-28 기본연구보고서 대러 경제 제재가 러시아 경제에 미치는 영향과 한-러 경제협력 안정화 방안 2023-12-29 기본연구보고서 글로벌 경제안보 환경변화와 한국의 대응 2023-12-29 중장기통상전략연구 인도의 중장기 통상전략과 한·인도 협력 방안 2023-12-29 중장기통상전략연구 몽골의 중장기 통상전략과 한·몽골 협력 방안 2023-12-29
공공누리 OPEN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 출처표시, 상업용금지, 변경금지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표시기준 (공공누리, KOGL) 제4유형

대외경제정책연구원의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 금지 +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저작권정책 참조

콘텐츠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콘텐츠 만족도 조사

0/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