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구 발간자료

발간물

목록으로
SUN-KIEP EU센터 연구시리즈 The Impacts of Enlargement on the Central and Eastern European Countries 경제통합, 경제협력

저자 András Inotai 발간번호 09-02 자료언어 English 발간일 2009.12.24

원문보기(다운로드:714) 저자별 보고서 주제별 보고서

유럽연합(EU)의 확대는 중•동구유럽 통합의 성격을 바꿔 놓았다. 세계적인 변화의 추세를 반영한 것으로 볼 수 있는 EU의 확대는 EU 차원에서의 정책적 변화를 가져왔다.
본 연구는 신규 가입한 회원국들의 입장에서 EU 확대과정에서의 협상 및 결과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의사결정 과정, 공동농업정책, 예산, 확대된 EU에서의 정치•경제•사회적 활동 분야에 이르는 전통적이면서도 새로운 공동체 정책에 대해 논의한다. 또한 EU 통합이 심화되어 유럽의 국제적 위상이 빠르고 크게 강화되고 있음을 확인하고 있다.
EU 확대로 인한 단기적 효과분석에서 신규회원국들의 경제발전으로 인해 나타날 것으로 우려된 사항들이 대부분 실현되지는 않았으나 EU 차원에서의 신규가입국들에 대한 명확한 통합 전략이 요구됨을 강조한다. 이를 위해서는 현상유지적인 사고에서 미래지향적인 사고로, 편협적이고 국수적인 시각에서 유럽을 우선시하는 사고로의 전환이 필요하다.
자칫 신규회원국들의 특징도 비슷하고 성공적인 EU 회원국이 되기 위해 직면한 과제도 비슷한 것으로 오해할 수 있지만, 경제구조나 정치적 관심뿐만 아니라 준비정도, 더 나아가 EU 회원국으로서 경험하게 되는 긍정적•부정적 충격에 대한 적응력에서 서로 차이를 보인다. 이러한 차이로 말미암아, 확대된 EU 내에서 중•동구유럽이 한 목소리로 강력한 의견을 내기는 어려울 것이다. 그러나 전략적•전술적 동맹을 형성하여 예산의 재분배 혹은 재구성을 하도록 유도할 수는 있다.
The last and historic enlargement of the European Union by ten new countries has fundamentally changed the nature of the decades-long process of integration in Europe. , However, it is not only the enlargement but also the global challenges and the unprecedented reform pressure accumulated both in some key member countries and on the level of Community policies that urge to reconsider the mission, priorities and basic instruments of European integration for the coming years and decades.
The paper deals with the process of enlargement, focusing on the negotiations and their consequences. It gathers arguments in favour of joining the European Union on the side of the new members. Moreover, it addresses traditional and new community policies that have to cope with the new challenges, starting from the decision-making process and the reforming of the common agricultural policy, through budgetary considerations to desirable new activities of the enlarged Union in economic, social and political areas. The author strongly argues for a quick and fundamental process of deepening the integration, as a major requirement of strengthening or just creating the global position of Europe in the next decades.
The analysis of the short-term impacts of enlargement, mainly on the economic development of the new members indicates that most of the fears did not appear, while expectations have mostly still to be fulfilled in the next years. This, however, needs a clear integration strategy in the accession countries and a not less clear pro-integration strategy on the level of the EU. This should include a changing mentality from status-quo towards future-oriented thinking and a shift from narrow-minded national positions towards the awareness and implementation of European priorities.
Although, and at first glance, the new members reveal similar features and are confronted with similar challenges in order to become successful members of the European integration, a more detailed survey indicates substantial differences not only in their economic structure and political interests but also in their level of preparation and, even more importantly, in their capacity to absorb the positive and negative shocks connected with membership. Based on these considerations, it is hardly conceivable that the Central and Eastern European countries would form a cohesive and strong lobby within the enlarged Union. Excepting the efforts to redistribute and perhaps restructure the EU budget, their interests are likely to lead to the formation of different strategic and tactical alliances within the enlarged Community.
This paper is organized in the following order: first it reviews the most important stages of relations between the CEECs and the European integration (Chapter I), followed by the key arguments for membership (Chapter II). Chapter III deals with the most significant features of enlargement. Shorter and longer-term impacts of enlargement and tasks of successful membership are analyzed in Chapter IV. Chapter V tries to identify areas in which the CEECs may develop a common position within the enlarged EU. Chapter VI sums up the arguments and presents some concluding remarks.
Executive Summary

I. The Way to Membership

II. Why Membership?

III. Specific Features of the “Eastern” Enlargement

IV. Economic Impacts of Accession and Tasks of Successful Membership

V. Is There a Common Position of the CEECs in Key Integration Questions?

VI. Concluding Remarks

References

판매정보

분량/크기, 판매가격
분량/크기 74
판매가격 5000 원

구매하기 목록

같은 주제의 보고서

연구보고서 아세안 경제통합의 진행상황 평가와 한국의 대응 방향: TBT와 SPS를 중심으로 2023-12-29 중국종합연구 한중 탄소중립 협력 활성화 방안 연구 2023-12-29 중국종합연구 2023년 중국종합연구 총서 정책연구과제 요약집 2023-12-29 중국종합연구 탄소중립 시대 중국 동북지역 한중 지역개발 협력방안 : 중국 지린성을 중심으로 2023-12-29 연구보고서 MC13 주요 의제 분석과 협상 대책 2024-02-20 세계지역전략연구 한-인도 해운·항만산업 협력방안 연구 2023-12-29 세계지역전략연구 아세안 주요국의 난민지원정책과 한국에 대한 시사점 2023-12-30 세계지역전략연구 중동·북아프리카 식량위기에 대한 역내 인식과 대응 및 협력방안 2023-12-27 단행본 만화로 보는 세계경제 2023 2023-12-23 세계지역전략연구 사하라이남 아프리카 주요국의 탈탄소 정책과 청정에너지부문 협력 방안 2023-11-29 연구자료 동지중해 천연가스 개발 현황과 한국의 협력 방안 2023-10-20 연구보고서 경제안보 이슈의 부상과 대외협력 방향 2022-12-30 세계지역전략연구 주요국의 대남아시아 경제협력전략과 정책 시사점: 중국, 일본, 인도를 중심으로 2022-12-30 연구보고서 미·중 전략 경쟁 시대 글로벌 기업의 대응과 중국진출 한국기업에 대한 시사점 2022-12-30 중장기통상전략연구 일본의 중장기 통상전략과 한·일 협력 방안 2022-12-30 연구보고서 한국-동남아 가치사슬 안정화를 위한 메콩지역 협력 방안 연구 2022-12-30 중장기통상전략연구 아세안의 중장기 통상전략과 한-아세안 협력 방안 2022-12-30 중장기통상전략연구 중국의 중장기 통상전략과 한중 협력 방안 2022-12-30 연구자료 방글라데시 기후변화 영향 분석 및 시사점 2022-12-30 연구보고서 인도의 신·재생에너지 시장 및 정책 분석과 한-인도 협력 방안 2022-12-30
공공누리 OPEN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 출처표시, 상업용금지, 변경금지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표시기준 (공공누리, KOGL) 제4유형

대외경제정책연구원의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 금지 +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저작권정책 참조

콘텐츠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콘텐츠 만족도 조사

0/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