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발간물

목록으로
동북아연구시리즈 Intra-Industry Trade between Japan and Korea: Vertical Intra-Industry Trade, Fragmentation and Export Margins 무역구조, 무역정책

저자 Yushi Yoshida 발간번호 09-03 자료언어 English 발간일 2009.06.30

원문보기(다운로드:572) 저자별 보고서 주제별 보고서

본 논문은 한국과 일본 소지역(sub-region) 간 산업내무역에 대한 새로운 결과를 제공함으로써 기존의 한․일 간 무역에 대한 실증적 분석에 기여한다. 본 논문에서는 일본의 지역별 무역데이터를 활용하여,1988~2006년 동안 일본 41개 소지역과 한국 간 교역의 Grubel-Lloyd 산업내무역지수(GL 지수)를 산출하였다. 산업내무역 흐름을 기존의 국가간이 아닌 소지역간으로 제한함으로써, 양국간 생산분할의 특징이 GL 지수에 보다 뚜렷이 반영되었다. 즉, 일본의 소지역(현, 縣)과 한국 간의 교역으로 데이터를 제한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산업내무역이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본 논문은 일본 소지역 수출의 외연적 한계(extensive margin) 및 내연적 한계(intensive margin)를 새로운 변수로서 설정하고 산업내무역 회귀분석을 시도하였는데, 분석 결과 산업내무역은 새로운 수출품목 다양화에 의해 촉진되는 반면, 기존 수출품의 가격 상승에 따라 저하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paper contributes to the existing empirical investigation of Japan-Korea international trade by providing new evidence of intraindustry trade between Korea and Japanese sub-regions. Taking advantage of a Japanese international trade dataset disaggregated by sub-regions, we calculate the Grubel-Lloyd intra-industry trade index for 41 regions of Japan with respect to Korea for the period between 1988 and 2006. By restricting the flows of intra-industry trade to sub-regions, the Grubel-Lloyd index is more likely to capture the effect of the fragmentation of production than the traditional index, which is based on the national level. By using the Japanese prefecture international trade data, it is revealed that intra-industry trade is still pervasive even when it is restricted to trade flows between prefectures and Korea. In intra-industry trade regression models, we introduce extensive and intensive margins of prefecture exports as new explanatory variables. We find that a rise in intra-industry trade is driven by the introduction of a new variety of exports, while intra-industry trade is discouraged by an increase in the trade value of products already exported.
Executive Summary

I. Introduction

II. The Measurement of Intra-Industry Trade and Export Variety
1. Grubel-Lloyd Index for Intra-Industry Trade
2. Hummels-Klenow Indices for Export Margins

III. Overview of International Trade of Japan with Korea in the Last Twenty Years
1. Exports and Imports
2. Japanese FDI into Korea
3. Intra-Industry Trade Between Japan and Korea

IV. Disaggregation of Japan-Korea Trade by Sub-regions
1. Prefecture Intra-Industry Trade
2. Prefecture Extensive Margins and Intensive Margins

V. A Deepening of Existing Trade or a Growth in Variety?
1. The Traditional Determinants of IIT
2. Extensive Margin and Intensive Margin on IIT
3. The Transformation of the IIT Index
4. The Data
5. The Empirical Results

VI. Discussion and Conclusion

References

판매정보

분량/크기, 판매가격
분량/크기 38
판매가격 2000 원

구매하기 목록

같은 주제의 보고서

연구보고서 디지털 플랫폼의 활용이 중소기업의 국제화에 미치는 영향과 정책 시사점 2021-12-30 중장기통상전략연구 글로벌 보조금 규제의 새로운 현상: 역외보조금·기후변화 보조금·환율보조금 2021-12-30 연구보고서 반덤핑조치의 국제적 확산과 조사기법 다양화의 영향 및 정책시사점 2021-12-30 연구보고서 코로나19 이후 글로벌 가치사슬의 구조 변화와 정책 대응 2021-12-30 연구보고서 신보호주의하에서 미국의 대외경제정책 평가와 방향 2021-12-30 연구보고서 미ㆍ중 갈등시대 중국의 통상전략 변화와 시사점 2021-12-30 연구보고서 제조업 서비스화의 수출경쟁력 제고 효과 연구 2021-12-30 연구보고서 인도의 통상정책 분석과 한-인도 협력 방안 2021-12-30 연구보고서 글로벌 탄소중립 시대의 그린뉴딜 정책과 시사점 2021-12-30 연구보고서 미ㆍ중 갈등시대 일본의 통상 대응 전략 2021-12-30 중국종합연구 RCEP 출범에 따른 공급망 변화와 한중 국제물류에 미치는 영향 비교: 해운·항만 서비스 교역과 공급자 중심으로 2021-12-30 중장기통상전략연구 지역별 중장기 통상전략 및 대외경제 협력 방안 2021-12-31 연구보고서 디지털 전환 시대의 디지털 통상정책 연구 2021-12-30 연구자료 미국과 EU의 농업보조 변화와 정책 시사점 2021-12-30 중장기통상전략연구 미·중 전략경쟁하 WTO 다자체제의 전망과 정책 시사점 2021-12-29 세계지역전략연구 한-인도 CEPA 10년, 우리 중소기업의 성과와 정책 과제 2021-12-30 연구자료 코로나19가 무역에 미치는 영향 2021-12-30 연구자료 탄소국경조정제도(CBAM)에 대한 중소기업 대응방안 연구 2021-12-30 중장기통상전략연구 4차 산업혁명 시대 무역원활화 제고를 위한 싱글윈도우 개선방안 및 시사점 2021-11-25 중장기통상전략연구 FTA가 중소기업의 고용과 혁신에 미치는 영향 2021-09-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