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간물
구 발간자료
목록으로
본 연구는 최근 독립노선을 가시화하고 있는 팔레스타인 현황을 살펴보고, 이에 대한 우리의 정책 제안을 목적으로 한다. 팔레스타인은 1948년 이스라엘 독립 이후 중동 분쟁의 핵심이 되어 왔다. 중동지역에 만연한 고질적 사회갈등의 근원이 팔레스타인이었고, 따라서 현 중동정세의 안정구축을 위해서는 팔레스타인의 안정화가 시급한 실정이다. (생략)
The main purposes of this research are to examine the current situation and its implications in and around Palestinian territory, and to make policy recommendations for Korea in this area. Palestine has been the main focal point of ceaseless conflicts in the Middle East. For this reason, in order to establish a meaningful and peaceful regime in the region, it is inevitable that we must set up sustainable peace mechanisms in Palestinian territory. (The rest is omitted.)
국문요약
제1장. 팔레스타인의 일반 현황
1. 지정학 및 인구 현황
2. 정치적 배경 및 현재 역학 구도
3. 경제 현황
제2장. 팔레스타인 분쟁의 성격
1. 냉전종식 이후 중동 분쟁 성격의 변화
2. 미국의 대(對)중동정책: “이스라엘.팔레스타인 우선 정책” 대“걸프 우선 정책”
3. 이스라엘-팔레스타인 분쟁의 좌표
제3장. 팔레스타인 평화협상: 과정, 쟁점, 성격
1. 평화협상의 전개
가. 마드리드 중동평화회담: “최초의 다자회담”
나. 1.2차 오슬로 협정: “영토와 평화의 교환”
다. 1.2차 와이리버 협정: “팔레스타인 테러조직의 무장해제 및 이스라엘의 점령지 철수”
라. 부시 행정부의 「로드맵」과 아나폴리스 중동평화회의
2. 평화협상의 핵심 현안
가. 정착촌 및 분리장벽의 문제
나. 동예루살렘의 지위 및 귀속협상
다. 팔레스타인 난민 귀환의 문제
3. 평화협상의 도전 요인
가. 협상 당사자의 불안정성
나. 중재자의 이행 감독 강제력 및 불편부당성의 부재: 엄밀한 국제중재 보장 시급
다. 쟁점의 비타협적 성격: 리더십의 결단 필요
제4장. 최근 이스라엘-팔레스타인 내외 정세
1. 이란의 부상과 시아파 연대의 확산
2. 레바논 사태와 이스라엘 내정 혼란
3. 파타와 하마스간의 갈등관계 증폭
4. 4자 중재 외교(Quartet Diplomacy): 국제사회의 공동 관심사 유도
제5장. 팔레스타인 문제의 국제적 함의
1. 아랍의 박탈감 중첩 지역
2. 이란 주도 이슬람 혁명 확산의 잠재 거점
3. 글로벌 테러리즘의 잠재적 온상
4. 문명(종교) 담론의 격전지
5. 미국의 이스라엘 안보정책 변화
제6장. 한국의 대(對)팔레스타인 정책방향
1. 팔레스타인 문제의 의미
가. 냉전시대 중동 외교의 사각지대
나. 팔레스타인 독립국가 건설 추구와 한국의 기여 여지
다. 국제평화의 기여와 대중동 외교 레버리지 확보
2. 한.팔레스타인 정무 및 경제 관계 현황
가. 정무관계 현황
나. 경제관계 현황
3. 향후 대(對)팔레스타인 정책방향 및 제언
가. 평화체제 구축 관련 정무교류 확대
나. 공동 번영을 위한 경제교류 협력방안
다. 관광산업 투자
제7장. 결론
참고문헌
Executive Summary
제1장. 팔레스타인의 일반 현황
1. 지정학 및 인구 현황
2. 정치적 배경 및 현재 역학 구도
3. 경제 현황
제2장. 팔레스타인 분쟁의 성격
1. 냉전종식 이후 중동 분쟁 성격의 변화
2. 미국의 대(對)중동정책: “이스라엘.팔레스타인 우선 정책” 대“걸프 우선 정책”
3. 이스라엘-팔레스타인 분쟁의 좌표
제3장. 팔레스타인 평화협상: 과정, 쟁점, 성격
1. 평화협상의 전개
가. 마드리드 중동평화회담: “최초의 다자회담”
나. 1.2차 오슬로 협정: “영토와 평화의 교환”
다. 1.2차 와이리버 협정: “팔레스타인 테러조직의 무장해제 및 이스라엘의 점령지 철수”
라. 부시 행정부의 「로드맵」과 아나폴리스 중동평화회의
2. 평화협상의 핵심 현안
가. 정착촌 및 분리장벽의 문제
나. 동예루살렘의 지위 및 귀속협상
다. 팔레스타인 난민 귀환의 문제
3. 평화협상의 도전 요인
가. 협상 당사자의 불안정성
나. 중재자의 이행 감독 강제력 및 불편부당성의 부재: 엄밀한 국제중재 보장 시급
다. 쟁점의 비타협적 성격: 리더십의 결단 필요
제4장. 최근 이스라엘-팔레스타인 내외 정세
1. 이란의 부상과 시아파 연대의 확산
2. 레바논 사태와 이스라엘 내정 혼란
3. 파타와 하마스간의 갈등관계 증폭
4. 4자 중재 외교(Quartet Diplomacy): 국제사회의 공동 관심사 유도
제5장. 팔레스타인 문제의 국제적 함의
1. 아랍의 박탈감 중첩 지역
2. 이란 주도 이슬람 혁명 확산의 잠재 거점
3. 글로벌 테러리즘의 잠재적 온상
4. 문명(종교) 담론의 격전지
5. 미국의 이스라엘 안보정책 변화
제6장. 한국의 대(對)팔레스타인 정책방향
1. 팔레스타인 문제의 의미
가. 냉전시대 중동 외교의 사각지대
나. 팔레스타인 독립국가 건설 추구와 한국의 기여 여지
다. 국제평화의 기여와 대중동 외교 레버리지 확보
2. 한.팔레스타인 정무 및 경제 관계 현황
가. 정무관계 현황
나. 경제관계 현황
3. 향후 대(對)팔레스타인 정책방향 및 제언
가. 평화체제 구축 관련 정무교류 확대
나. 공동 번영을 위한 경제교류 협력방안
다. 관광산업 투자
제7장. 결론
참고문헌
Executive Summary
판매정보
분량/크기 | 80 |
---|---|
판매가격 | 5000 원 |
같은 주제의 보고서
ODA 정책연구
Research on Household Consumption Patterns and Sustainable Development in India
2024-12-31
중국종합연구
대전환기의 대중국 전략 연구2
2024-12-31
중국종합연구
대전환기의 대중국 전략 연구1
2024-12-31
세계지역전략연구
인도의 인프라 정책 및 수요 분석과 한·인도 협력방안: 개발협력을 중심으로
2024-12-31
연구자료
홍해 위기가 우리 경제에 미친 영향과 물류 회랑 다변화에의 시사점
2025-05-27
기타
2024 KIEP 정책연구 브리핑
2025-04-30
기본연구보고서
일본의 핵심광물자원 확보전략과 한ㆍ일 협력 시사점
2024-12-31
기본연구보고서
한-아프리카 자원 협력을 통한 핵심광물 확보 전략
2024-12-30
중장기통상전략연구
인도의 데이터 거버넌스 분석과 한·인도 협력에 대한 시사점
2024-12-31
기본연구보고서
우크라이나 전쟁 이후 중앙아시아 글로벌 가치사슬 변화 전망과 한-중앙아 협력 시사점
2024-12-30
기본연구보고서
한국의 대중남미 통상환경 평가와 정책 과제
2024-12-30
세계지역전략연구
Strengthening Korea’s Economic and Development Cooperation with Africa: Focusing on Key Agendas of the 2024 Korea-Africa Summit
2024-12-31
기본연구보고서
걸프 국가의 아시아 중시 정책과 한국의 대응방안
2024-12-30
기본연구보고서
인도의 국영기업 주도 경제개발전략과 한국-인도 협력 방안
2024-12-31
세계지역전략연구
Exploring Urban Perception on Climate Change in Developing Countries
2024-08-29
기타
2023 KIEP 정책연구 브리핑
2024-06-28
기본연구보고서
대러 경제 제재가 러시아 경제에 미치는 영향과 한-러 경제협력 안정화 방안
2023-12-29
기본연구보고서
글로벌 경제안보 환경변화와 한국의 대응
2023-12-29
중장기통상전략연구
인도의 중장기 통상전략과 한·인도 협력 방안
2023-12-29
중장기통상전략연구
몽골의 중장기 통상전략과 한·몽골 협력 방안
2023-12-29

대외경제정책연구원의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 금지 +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저작권정책 참조
콘텐츠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