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보고서
발간물
전체보고서
목록으로
본 연구의 총괄보고서에서는 한국이 선진통상국가로 발돋움하기 위해서는 실질적 열린경제, 전략적 협력경제, 효과적 통상거버넌스 등 세 가지의 전략이 필요함을 설명하였다. 이 중에서도 전략적 협력경제는 최근 대내외환경의 변화에 따라 요구되고 있는 한국의 대외경제협력에 대한 새로운 방향을 제시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생략)
This study focuses on the policy challenges that face Korea in pursuing external economic cooperation. Special attention is given to how existing and newly emerging economic cooperation programs can be strategically utilized to transform Korea into an advanced trading nation. Against this backdrop, this study presents four strategic considerations for the sustainable development of the Korean economy. (The rest is omitted.)
서언 국문요약 제1장 서 론 제2장 지역주의를 활용한 적극적 무역정책의 전개 1. 지역주의와 다자주의의 현황 가. 지역주의 확산과 심화의 현황 나. 지역주의 확산과 심화의 배경 다. 지역주의와 다자주의 2. 한국의 FTA 정책 평가 가. FTA 추진 배경과 로드맵 나. FTA 전략의 문제점 3. 한국의 바람직한 FTA 정책방향 가. FTA 로드맵의 체계화 나. 수준 높은 FTA 추진 제3장 지역협력의 전략적 활용 1. 지역협력의 필요성과 고려해야 할 요소 가. 지역협력의 필요성 나. 지역협력에서 고려해야 할 요소 2. 동아시아의 지역협력 개관 가. 동아시아 역내 협력프로그램 현황 나. 동아시아가 참여하는 지역간 협력프로그램 현황 3. 지역협력에 대한 한국의 정책방향 평가 가. 지역협력에 대한 한국의 정책기조 나. 주요 지역협력의 현황 및 특징 다. 주요 지역협력의 가능성과 한계 4. 지역협력의 바람직한 방향 가. 개별 협력프로그램의 평가 나. 지역협력의 바람직한 방향: 지역협력의 로드맵 제4장 에너지자원 협력 1. 자원협력의 필요성 2. 세계의 중장기 에너지자원 수급 전망 가. 에너지원별 수급구조 전망 나. 석유의 수요와 공급 다. 가스의 수요와 공급 라. 에너지 안보의 중요성 증대 3. 중국, 일본, 인도 등 주요 경쟁국의 에너지자원 확보 전략과 시사점 가. 중국 나. 일본 다. 인도 라. 시사점 4. 한국의 에너지자원 확보정책에 대한 평가 5. 에너지자원 협력을 위한 정책과제 가. 해외 에너지자원 개발 및 지원 확대 나. 전략적 자원외교 강화 다. 에너지자원 수입선 다변화 라. 에너지자원 관련 기업의 대형화 유도 마. 민간기업의 경쟁력 제고 및 극대화 유도 필요 제5장 대개도국 협력 1. 대개도국 협력의 필요성 및 의미 2. 대개도국 협력 현황 가. 대개도국 협력 관련 정책환경 나. 대개도국 개발원조 지원 현황 다. 대개도국 시장접근 지원 현황 3. 대개도국 협력의 향후 추진방향 가. 대외원조의 규모 확대 및 품질 개선 나. 대외원조체계의 개선 다. 특혜관세제도의 확대를 통한 시장접근 지원방안 제6장 요약 및 결론 참고문헌 Executive Summary
판매정보
분량/크기 | 192 |
---|---|
판매가격 | 7000 원 |
같은 주제의 보고서
기본연구보고서
일본의 핵심광물자원 확보전략과 한ㆍ일 협력 시사점
2024-12-31
기본연구보고서
한-아프리카 자원 협력을 통한 핵심광물 확보 전략
2024-12-30
중장기통상전략연구
인도의 데이터 거버넌스 분석과 한·인도 협력에 대한 시사점
2024-12-31
기본연구보고서
보호무역정책의 정치경제적 결정요인 연구: 주요국 사례를 중심으로
2024-12-31
기본연구보고서
우크라이나 전쟁 이후 중앙아시아 글로벌 가치사슬 변화 전망과 한-중앙아 협력 시사점
2024-12-30
기본연구보고서
한국의 대중남미 통상환경 평가와 정책 과제
2024-12-30
기본연구보고서
EU의 기후중립 전략기술 육성 정책이 글로벌 공급망 재편에 주는 함의
2024-12-30
기본연구보고서
걸프 국가의 아시아 중시 정책과 한국의 대응방안
2024-12-30
기본연구보고서
인도의 국영기업 주도 경제개발전략과 한국-인도 협력 방안
2024-12-31
연구보고서
글로벌 반도체 산업 경쟁력과 공급망 구조 분석
2024-12-27
연구자료
핵심광물협정의 주요 내용과 정책 시사점
2024-11-08
Working paper
The Recent Rise of the Far Right and Voters’ Anti-Refugee Attitudes in Europe
2024-11-20
중장기통상전략연구
동남아 주요 5개국의 통상전략과 경제성장 경로 : 수출주도성장전략의 평가와 전망
2024-10-11
세계지역전략연구
Exploring Urban Perception on Climate Change in Developing Countries
2024-08-29
기본연구보고서
수출규제의 경제적 함의와 글로벌 공급망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2023-12-30
기본연구보고서
디지털 통상규범의 경제적 효과 추정에 관한 연구
2023-12-29
기타
2023 KIEP 정책연구 브리핑
2024-06-28
기본연구보고서
대러 경제 제재가 러시아 경제에 미치는 영향과 한-러 경제협력 안정화 방안
2023-12-29
기본연구보고서
글로벌 경제안보 환경변화와 한국의 대응
2023-12-29
중장기통상전략연구
인도의 중장기 통상전략과 한·인도 협력 방안
2023-12-29

대외경제정책연구원의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 금지 +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저작권정책 참조
콘텐츠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