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전체보고서

발간물

목록으로
연구보고서 인도의 FTA 확대가 한·인도 교역에 미치는 영향 경제협력, 무역정책

저자 이웅, 조충제, 송영철, 최윤정, 이정미 발간번호 14-19 자료언어 Korean 발간일 2014.12.30

원문보기(다운로드:2,269) 저자별 보고서 주제별 보고서

한‧인도 양국은 1973년 국교를 체결하였으나 양국의 본격적인 경제협력은 1991년 인도의 개혁개방 이후 구체화되었다. 특히 2000년 이후 인도가 개방 확대와 고성장을 거치면서 양국간 협력이 강화되어 2010년 한‧인도 CEPA 발효라는 의미 있는 성과를 이루어냈다. 인도는 총 25개국과 13개의 지역무역협정을 체결하고 있으며, EU를 비롯한 상당수의 국가와 협상을 진행 또는 검토하는 등 적극적인 FTA 확대전략을 추진하고 있다. 특히 2014년 출범한 모디 정부는 지금까지의 양적 확장에 치중하던 FTA 전략에서 벗어나 질적인 측면을 강조하고 있다. 이전 정부가 체결한 FTA가 상대국에만 혜택을 주고 인도에는 별다른 혜택이 없었다는 모디 총리의 평가를 통해 볼 때, 앞으로 인도정부가 자국의 실리를 보다 강조하는 실용적 FTA 전략을 추구할 것으로 전망된다.
본 연구는 인도의 FTA 확대전략이 한‧인도 교역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특히 인도시장에서의 경쟁관계를 고려하여 한‧인도 교역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는 한‧인도 CEPA와 일‧인도 CEPA에 초점을 맞추어 연구를 진행하였다.
제2장에서는 인도의 FTA 정책을 포함한 통상정책의 변화를 분석하였고, 주요국과 기체결된 FTA를 배경, 특이사항, 상품, 서비스 및 인력이동, 투자, 기타 협력 분야로 나누어 비교‧정리하였다. 다음으로 한‧인도 교역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는 FTA인 한‧인도 CEPA와 일‧인도 CEPA의 협정문을 부문별로 정밀하게 비교하였으며, 특히 두 협정문의 부문별 차이점, 특히 우리나라가 일본에 비해 불리한 사항을 규명하는 데 중점을 두었다. 추후 한‧인도 CEPA 업그레이드 협상이 진행되면 우선적으로 논의될 수 있는 상품들에 대해 협정 양허표를 HS 코드 8단위 기준으로 비교하여 우리나라가 일본에 비해 불리한 품목들을 선정하고 개선 우선순위를 제시하였다. 또한 수출상위 150대 품목 중 일본에 비해 상대적으로 불리한 품목들이 많은 분야인 금속산업(HS 72~83)과 고무화학(HS 29~40)에 대한 한‧인도 CEPA와 일‧인도 CEPA 양허수준을 비교하여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제3장에서는 한‧인도와 일‧인도 교역구조의 변화를 품목별로 비교분석 하였으며 한‧일 양국의 대인도 수출경합도를 비교하여 최근 한국과 일본의 대인도 시장 경쟁력을 분석하였다. 다음으로 인도의 FTA 확대가 한‧인도 교역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현재 발효 중인 한‧인도 CEPA와 일‧인도 CEPA, 그리고 협상 진행 중인 EU‧인도 FTA를 가상으로 설정한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였고, 이를 통해 인도의 FTA 확대가 인도의 수입(Import), 관세수입(Tariff revenue), 소비자잉여 및 한국의 대인도 수출에 미치는 영향을 추정하였다. 품목별 시뮬레이션에서는 현재의 상황을 가장 잘 반영한 한‧인도 CEPA와 일‧인도 CEPA를 가정하여 한국과 일본의 수출증가를 추정하였다. 특히 한국과 일본이 인도와 FTA를 체결하여 얻을 수 있는 수출증가효과에 중점을 두었으며, 품목별 한‧일간 수출증가 추정치를 비교하여 양국의 대인도 시장 잠재력을 비교하였다. 마지막으로 본고는 제2장에서 제시한 개선 우선순위와 제3장에서의 시뮬레이션 결과를 토대로 한‧인도 CEPA 업그레이드 협상에서의 우선품목 선정에 대한 방법론을 제시하였다. 우선품목들은 양허내용을 비교하여 개선 우선순위와 시뮬레이션을 통해 추정된 대인도 수출잠재력을 반영하여 선정되었다. 저자는 이 자료가 향후 한‧인도 CEPA 업그레이드 협상에서 유용한 자료로 활용되기를 희망한다.

Korea and India established their diplomatic ties in 1973 but economic cooperation between the countries began in earnest after India’s economic reform in 1991. In particular, the economic cooperation was intensified as the Indian economy was opened up further and experienced high economic growth since 2000, which led to remarkable success of the Korea-India CEPA (Comprehensive Economic Partnership Agreement) implemented in January 1, 2010. India has aggressively expanded its FTAs as it concluded 13 RTAs (Regional Trade Agreements) with 25 countries and has been negotiating or reviewing agreements with several countries including the EU. Narendra Modi government inaugurated in 2014 has given priority to the quality aspect of FTAs rather than the quantity aspect that was emphasized by the previous government. Prime Minister Modi announced that the FTAs signed by the previous government in the last ten years have benefitted the partner countries but not India in terms of quality and volume of trade. Therefore, it is expected that the Indian government will further pursue its actual benefits with its practical FTA strategies.
This report analyzes the effects of India’s FTA enlargement on the trade between Korea and India. Especially, it focuses on the Korea-India CEPA and the Japan-India CEPA while giving consideration to high competition in the Indian market between Korea and India.
In Chapter 2, this report examines the Indian government’s trade policies including FTA policy. It also compares and analyzes ‘pillars’ including background, merchandise, service, investment, and others among FTAs already implemented by India. Next, it compares the Korea-India CEPA and the Japan-India CEPA in greater detail and presents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the two FTAs, focusing on disadvantages that Korea faces or will face.
In Chapter 3, simulations are performed using the World Bank SMART to analyze how expansion of FTAs by India affect the Korea-India trade and shows changes in import, tariff revenue and consumer surplus of India as well as changes in export by Korea. The report performs simulations not only for the entire economy but also for specific items (HS 2 or 6) and provides estimates for each case.
Using the results from the chapters 2 and 3, the report suggests a method for setting priorities among the list of items in the future Korea-India CEPA upgrade negotiations. The authors hope that the results from this report will be utilized as a useful resource to upgrade the Korea-India CEPA.

제1장 서론 
1. 연구 배경과 목적 
2. 연구 방법과 구성 
3. 선행연구와의 차별성과 연구의 한계 


제2장 인도의 FTA 정책과  주요 FTA 협정비교 
1. 인도의 주요국 경제협력 동향 
가. 한국 
나. 일본 
다. 싱가포르 
라. 아세안 
마. EU 
바. 중국 
2. 인도의 교역구조와 FTA 정책 
가. 인도의 교역구조 
나. 인도의 통상 및 FTA 정책  
다. 인도의 주요 FTA 체결현황과 주요 내용 
라. 협상 추진 중인 주요 FTA 
3. 한‧인도 CEPA와 일‧인도 CEPA 양허비교 
가. 상품 
나. 서비스 
다. 투자 
라. 인력이동 
마. 양자간 협력 및 기타 
4. 한‧인도 CEPA와 일‧인도 CEPA 상품양허 심층비교  
가. 주요 내용과 분석방법 
나. 상품 부문 전체 기준  
다. 대인도 수출상위 150대 품목 기준 
라. 주요 산업별 비교  


제3장 인도의 FTA 확대가 한‧인도 교역에 미치는 영향 
1. 개요 
2. 시뮬레이션 관련 선행연구 및 차이점 
가. 시뮬레이션 관련 선행연구 
나. 시뮬레이션 관련 선행연구와의 차이 및 한계 
3. 최근 한‧인도와 일‧인도 교역패턴 비교 
가. 최근 한국과 일본의 대인도 교역량 추이 
나. 최근 한국과 일본의 대인도 무역수지 비교 
4. 품목별 한‧인도와 일‧인도 교역패턴 비교  
가. 일본의 품목별 대인도 교역 
나. 한국의 품목별 대인도 교역 
다. 한국과 일본의 인도시장 내 수출경합도 비교 
5. 한‧인도, 일‧인도 FTA 시뮬레이션 
가. SMART 모형 
나. 시뮬레이션 결과(전체교역) 
다. 시뮬레이션 결과(품목별) 
6. 개선협상 우선순위 선정의 예 


제4장 결론 및 시사점 
1. 요약 
2. 시사점 
가. 인도의 대한국 무역수지 관련 
나. 인도의 통상 및 FTA 정책 기조변화 
다. 한‧인도 CEPA와 일‧인도 CEPA 서비스, 투자 및  원산지 비교 
라. 한‧인도 CEPA와 일‧인도 CEPA 상품 부문 양허내용 
마. 한‧일 양국의 대인도 수출경합도 비교 
바. 인도의 FTA 확대 시뮬레이션 
사. 양허개선 우선순위와 무역효과  


참고문헌 


부록 
1. 한‧인도 CEPA 협정문 주요 내용 
2. 일‧인도 CEPA 주요 내용 
3. 인도‧싱가포르 CECA 주요 내용  
4. 기타 FTA 주요 내용 
 

판매정보

분량/크기, 판매가격
분량/크기 242
판매가격 10000 원

구매하기 목록

같은 주제의 보고서

연구자료 산업보조금의 글로벌 확산 현황과 시사점 2023-12-29 중국종합연구 한중 탄소중립 협력 활성화 방안 연구 2023-12-29 중국종합연구 2023년 중국종합연구 총서 정책연구과제 요약집 2023-12-29 중국종합연구 탄소중립 시대 중국 동북지역 한중 지역개발 협력방안 : 중국 지린성을 중심으로 2023-12-29 세계지역전략연구 한-인도 해운·항만산업 협력방안 연구 2023-12-29 세계지역전략연구 아세안 주요국의 난민지원정책과 한국에 대한 시사점 2023-12-30 세계지역전략연구 중동·북아프리카 식량위기에 대한 역내 인식과 대응 및 협력방안 2023-12-27 단행본 만화로 보는 세계경제 2023 2023-12-23 세계지역전략연구 사하라이남 아프리카 주요국의 탈탄소 정책과 청정에너지부문 협력 방안 2023-11-29 연구자료 WTO 서비스 국내규제 규범의분석과 시사점 2023-11-24 연구자료 동지중해 천연가스 개발 현황과 한국의 협력 방안 2023-10-20 연구자료 국제사회의 성평등 무역규범 도입 현황과 한국의 정책과제 2023-05-06 연구보고서 경제안보 이슈의 부상과 대외협력 방향 2022-12-30 세계지역전략연구 주요국의 대남아시아 경제협력전략과 정책 시사점: 중국, 일본, 인도를 중심으로 2022-12-30 연구자료 최근 Mega FTA SPS 규범의 국제논의 동향 및 시사점 2023-05-19 연구보고서 미·중 전략 경쟁 시대 글로벌 기업의 대응과 중국진출 한국기업에 대한 시사점 2022-12-30 중장기통상전략연구 일본의 중장기 통상전략과 한·일 협력 방안 2022-12-30 연구보고서 포용적 무역을 위한 국내보완대책의 성과와 시사점 2022-12-30 연구보고서 한국-동남아 가치사슬 안정화를 위한 메콩지역 협력 방안 연구 2022-12-30 중장기통상전략연구 아세안의 중장기 통상전략과 한-아세안 협력 방안 2022-12-30
공공누리 OPEN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 출처표시, 상업용금지, 변경금지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표시기준 (공공누리, KOGL) 제4유형

대외경제정책연구원의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 금지 +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저작권정책 참조

콘텐츠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콘텐츠 만족도 조사

0/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