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전체보고서

발간물

목록으로
연구보고서 아프리카 건설·플랜트 시장특성 분석 및 한국의 진출방안 경제개발, 경제협력

저자 박영호, 곽성일, 전혜린, 장종문 발간번호 12-25 자료언어 Korean 발간일 2012.12.31

원문보기(다운로드:1,966) 저자별 보고서 주제별 보고서

 아프리카의 인프라는 세계에서 가장 열악하다. 도로는 화물과 승객 수송의 80~90%를 담당하는 주요 국가 기간망이지만 포장비율은 20% 정도에 불과하며, 철도 역시 대부분이 식민시대에 건설된 것으로 노후화 정도가 심각하여 제 기능을 다하지 못하고 있다. 항만 및 공항 시설 역시 크게 낙후되어 있어 경제발전의 발목을 잡고 있다. 전력 인프라 또한 그 사정이 크게 다르지 않은데, 사하라이남 지역의 경우 인구는 8억 명에 달하고 있지만 발전능력은 인구 4,500만 명의 스페인보다도 적으며, 이것도 남아공을 제외하면 아르헨티나와 비슷해진다. 더욱이 전력설비가 크게 노후화되어 1/4 정도는 제대로 가동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 결과 30여 개국에서는 매일 정전이 발생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막대한 규모의 경제적 손실을 겪고 있다.


그런데 최근 들어 정치적 안정과 괄목할 만한 경제성장에다가 자원개발 붐과 국제사회의 인프라 개발자금 지원이 결부되면서 아프리카에서 새로운 건설수요가 창출되고 있다. 많은 아프리카 국가의 건설부문 성장률이 경제성장률은 물론 다른 산업의 성장률을 크게 상회하고 있는데, 이러한 현상은 앙골라, 수단, 알제리, 콩고(DRC) 등 자원부국을 중심으로 더욱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다. 국가별로 정도의 차이는 있으나 많은 아프리카 국가들의 공공투자 계획을 보면 교통 및 전력 인프라 등 사회간접자본(SOC) 확충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으며, 여기에 더하여 산유국들은 국제유가 상승으로 축적한 오일머니 재원을 바탕으로 산업기반시설 확충에 나서고 있어 고부가가치 산업인 플랜트 건설수요도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아프리카의 높은 경제성장은 앞으로도 계속 이어질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건설 수요가 이에 비례하여 지속적으로 확대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세계적인 경제전문기관인 「The Economist」는 머지않아 아프리카의 경제성장률이 아시아의 경제성장률을 추월할 것으로 전망하며 향후 5년간(2011~15년) 세계에서 가장 빠른 경제성장을 시현할 10개국에 아프리카 7개국이 포함될 것으로 예측하였다. 급속한 도시화에 따른 인프라 수요도 빠르게 확산되고 있다. 아프리카의 도시화는 다른 개도국 지역에 비해 훨씬 빠른 속도로 진행되고 있는데, 2040년경에는 인구 100만 이상의 도시가 100개로 늘어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자원개발에 따른 건설수요도 빠르게 확산되고 있다. 전 세계적으로 자원 확보 경쟁이 가열되면서 아프리카 자원개발 붐이 탄력을 받고 있는데, 오는 2020년경에는 외국자본이 대거 몰리면서 아프리카가 전 세계 석유생산의 30%를 차지하게 될 것이라는 전망도 제기된다. 이처럼 아프리카 자원개발 붐이 본격화되면서 도로, 철도, 항만 등 교통 인프라는 물론 전력설비, 정유시설, 송유관, 해양 플랜트 등과 같은 고부가가치 플랜트 건설 수요가 확산되고 있는데, 국제에너지기구(IEA)는 2010~35년간 아프리카 석유 및 천연가스 개발과 관련된 인프라 개발시장 규모가 2.1조 달러(연간 830억 달러 이상)에 달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아프리카에 가장 공세적으로 접근하고 있는 국가는 중국으로 대규모의 원조 공세를 앞세우며 인프라 건설시장을 사실상 석권해 나가고 있다. 아프리카 건설시장은 전통적으로 유럽 기업들이 선점해 왔으나, 막대한 자금력을 바탕으로 중국 업체들이 대거 진출하면서 유럽의 지위를 대신하고 있다. 중국의 아프리카 건설매출액은 2002~11년간 21배나 증가하여 2011년에는 아프리카 건설시장 점유율이 40%를 넘어섰다. 과거 식민종주국으로서 영향력을 유지하고 있는 프랑스는 밀접한 정치ㆍ경제적 관계를 바탕으로 아프리카 건설시장에 여전히 높은 지배력을 보이고 있다. 프랑스 건설기업의 전체 해외 매출액(2011년)에서 아프리카가 차지하는 비중은 13% 정도이지만, 이는 유럽 지역을 제외하면 가장 높은 수치이다. 프랑스 건설기업들은 분야별로 특화된 전문성과 컨소시엄 구성을 통해 아프리카 시장 확대에 주력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남아공, 나이지리아, 앙골라, 케냐 등 비전통적인 시장으로의 다변화를 꾀하고 있다. 미국은 전통적으로 유럽과 함께 아프리카 인프라 시장에서 높은 시장 지배력을 유지해 왔으나, 중국의 아프리카 시장공략이 거세지면서 시장점유율이 2000년대 초반 15%대에서 2011년에는 5%대로 대폭 축소되었다. 교통 인프라 분야에서 미국이 가지고 있었던 주도권은 이미 중국에 넘어간 상태이며, 현재 미국은 비교우위가 높은 석유화학 분야를 중심으로 시장영역을 확대해 나가고 있다. 현재까지 일본기업의 아프리카 건설시장 점유율은 미미한 수준이다. 그러나 2008년 이후 아프리카 진출 기업에 대한 정부 차원의 지원책이 강화되고 있는 가운데, 건설경기의 장기 불황과 동일본 대지진 등의 악재에 대한 돌파구로 아프리카 진출을 확대해 나가고 있다. 이에 따라 아프리카 건설ㆍ플랜트 시장에서 일본기업의 수주 실적이 뚜렷한 증가세를 보이고 있는데, 2011년에는 전년대비 2.3배 증가한 42.6억 달러를 기록했다.


아직까지 아프리카 건설시장 규모는 다른 신흥국가에 비해 영세하지만, 자국 건설업체의 공급능력이 부족하여 상당 부분을 해외 건설업체에 의존하고 있다. 2010년 기준 세계 해외건설시장에서 차지하는 아프리카의 비중은 16%로 중남미(9%)와 북미지역(12%)을 능가하고 있다. 이는 해외건설업체 입장에서 보면 그만큼 진출의 여지가 크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아프리카(마그레브)는 우리 건설기업의 인력 및 장비가 대규모로 진출해 있는 중동지역과 지리적으로 인접해 진출상의 이점이 있다. 물론 이러한 시장진출 기회의 이면에는 많은 리스크가 상존해 있는 것이 사실이다. 정치적 위험 말고도 사회 전반에 만연해 있는 부정부패, 정책의 일관성 결여, 신뢰 부족 등 여러 종류의 사업 리스크가 프로젝트 수행을 어렵게 하고 있다. 게다가 대부분의 아프리카 국가들은 국가 신용도가 낮기 때문에 국제 금융시장에서 자금조달이 용이하지 않다. 인프라 건설은 대규모의 자본이 소요되고 투자 성과가 장기간에 걸쳐 나타나는 자본집약적 사업으로 장기 자금조달이 관건이라고 할 수 있는데, 아프리카는 이를 뒷받침할 수 있는 제반 환경을 갖추지 못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시장 리스크는 다른 많은 개도국에서도 나타나는 일반적인 현상으로 진출 가능성 전체를 가려서는 곤란할 것이다. 아프리카의 잠재력만을 지나치게 부각시켜 과대평가하는 것도 경계해야 할 부분이지만, 기존에 우리가 아프리카에 대해 가졌던 부정 일변도적인 시각 또한 교정될 필요가 있다. 아프리카 진출에는 현실적으로 많은 장애요인이 있는 것이 사실이지만, 이와 동시에 새로운 건설시장으로 평가받을 만큼 충분한 잠재력을 지니고 있다는 점에도 주목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견지에서 본 연구는 아프리카 건설ㆍ플랜트 시장의 개발 잠재력을 살펴보고, 아프리카 진출의 후발주자인 우리의 입장에서 모색해 볼 수 있는 진출 방안을 도출하였다. 이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첫째, 해외 금융기관 활용을 통한 금융지원을 들 수 있다. 아프리카 국가들은 남아공과 일부 산유국을 제외하고는 국가재정 사정이 열악하여 인프라 개발자금을 자체적으로 조달하기가 쉽지 않다. 또한 대부분의 아프리카 국가들은 국가위험이 높고 신용등급이 극히 낮기 때문에 국제 금융시장에서 자금조달(financing)도 용이하지 않다. 아프리카 인프라 투자수익률이 높은 데도 불구하고 투자를 꺼리는 가장 큰 이유 중 하나는 바로 자금조달이 어렵기 때문이다. 이러한 현실을 감안하여 국내 공적수출신용기관(ECA)이 적극 나서 양자간 또는 다자간 개발금융기관(DFI: Development Financial Institution)들과 협조융자(Co-financing) 등 자금협력을 통해 사업을 발굴하고 우리 기업에 대한 금융지원 역량을 강화해 나가는 것이 필요하다. 국내 금융기관이 단독으로 아프리카 사업에 대해 금융지원을 확대한다는 것은 현실적으로 어렵기 때문에 세계 여러 금융기관들을 협조융자 파트너로 활용할 수 있도록 금융협력 네트워크를 확대해 나가는 노력이 필요하다. 그동안 수출입은행은 선진국 ECA와 국제개발금융기관(MDB)과의
협조 융자를 통해 국내건설기업의 아프리카 진출을 측면에서 지원한 바 있는데, 이를 보다 확대해 나가는 노력이 필요하다.


둘째, 리스크를 최소화하면서 수주 확대를 꾀하기 위해서는 아프리카 현지시장에서 많은 사업경험과 노하우를 가진 외국 건설업체와 협력을 통해 진출해야 한다. 프랑스, 스페인, 이탈리아 등 유럽 기업은 아프리카 건설시장에서 역사적으로 공고하게 구축된 진출기반을 가지고 있을 뿐만 아니라, 사업 발굴 및 금융조달에서도 탁월한 능력을 가지고 있으므로, 이 기업들과 컨소시엄 구성 등을 통한 전략적 제휴를 모색하는 것이 필요하다. 일본과의 동반 진출도 더 확대해 나가야 한다. 일본은 아프리카 건설시장에 관한 한 한국과 마찬가지로 후발주자이고, 또한 아프리카 리스크에 대해 커다란 부담감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한국과의 협력 진출을 선호하고 있다. 그동안 양국 기업은 컨소시엄 구성을 통해 이집트, 모로코, 케냐, 마다가스카르 등에서 건설 프로젝트를 수주하는 데 성공한 바 있다.


터키와의 협력 진출도 적극 모색할 필요가 있다. 회교 국가인 터키는 지리적 인접성과 역사적 관계, 동일한 종교, 인종 및 문화적 유대관계를 바탕으로 북아프리카 건설시장에서 강점을 보인다. 터키 건설업체는 지난 1972년부터 2012년까지 해외건설시장에 진출하여 2,267억 달러(6,663건)를 수주했는데, 이 중 리비아와 알제리가 각각 11.6%, 2.6%를 차지할 정도로 북아프리카 진출이 활발하다. 국내 건설업체가 터키 건설업체와 합작 진출한다면, 노동력 수급문제 해소는 물론 건설 기자재 조달 측면에서도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다. 중국과의 협력 진출 모색도 필요하다. 물론 장기적으로는 중국과의 차별화 전략이 필요하겠지만, 중ㆍ단기적으로 보면 아프리카 건설시장에서 급부상하는 중국과의 협력 전략이 현실적으로 필요하다. 예컨대 대규모 건설공사에는 컨소시엄을 구성하여 한국과 중국이 각각 설계와 기술, 자금과 시공을 담당하고, 우리 기업이 도급을 맡은 건설 공사는 중국 기업을 하청업체로 활용하는 방안 등을 고려해 볼 수 있다. 아프리카에 진출해 있는 자원 메이저와의 협력 진출도 고려해 볼 수 있다. 아프리카 산유국에는 다수의 오일 메이저가 진출하여 활동하고 있는데, 이 오일 메이저들이 석유개발 관련 건설 프로젝트의 실질적인 발주처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석유개발과 관련된 인프라 및 플랜트 건설을 주도하고 있는 외국 오일 메이저들과 협력을 통해 진출기회를 모색하는 방안을 적극 추진할 필요가 있다.


셋째, MDB 차관 사업 수주를 들 수 있다. 지난 12년간(2000~11년) 세계은행의 지역별 차관지원 규모를 보면 아프리카가 중남미 다음으로 가장 많은 1,600억 달러 정도를 차지했는데, 이는 전체 차관의 21%에 해당하는 금액이다. 건수 기준으로 보면 아프리카가 남아시아의 3배에 달하는 30%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세계은행은 빈곤감축을 위한 사회기반 구축 사업에 재원을 집중하고 있는데, 전력을 비롯한 에너지, 교통, 위생 등 다양한 분야에 개발자금을 지원하고 있다. 이 중에서도 에너지 분야에 대한 차관 지원액 비중이 22.5%로 가장 크게 나타나고 있는데, 이는 그만큼 아프리카의 전력 인프라가 열악하기 때문이다. 앞으로 세계은행의 아프리카에 대한 차관 규모는 글로벌 ODA 시장 확대에 힘입어 지속적으로 확대될 것으로 전망된다. 국제사회는 MDG 달성을 위해 2015년까지 원조 공여국의 ODA 규모를 국민소득(GNI) 대비 0.7%로까지 확대할 것을 천명한 만큼, 이는 세계은행의 차관시장 확대에도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아프리카개발은행(AfDB)의 차관은 세계은행에 비해 규모가 작지만, 가장 역점을 두고 지원하는 분야는 인프라 개발로 전기ㆍ식수ㆍ위생ㆍ교통ㆍ통신 부문에 많은 재원을 할애하고 있다. 아프리카에서 MDB 차관사업 규모는 지속적으로 늘어나고 있지만, 우리 기업의 수주 실적은 매우 저조하다. 그동안 세계은행의 아프리카 차관사업 중에서 한국 기업이 수주한 실적은 단지 1건에 그쳤으며, AfDB 차관사업 역시 6건(1.37억 달러)에 불과하다. MDB 조달사업은 절차가 복잡하고 많은 기간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우리 기업의 과거실적이 크게 부족하여 진입 장벽이 높은 시장이다. 하지만 MDB 사업은 일단 사업 수주에 성공하여 실적을 축적하게 되면, 이후에 지속적인 사업 참여가 가능한 안정적인 시장이라는 점에서 매력적이다. 또한 MDB 사업은 리베이트 등 부패문제와 높은 리스크를 최소화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도 장점이 있다. 이 외에도 건설공사 대금 지급이 보장된다는 점, 환(foreign exchange) 리스크가 없다는 점 등이 MDB 발주사업의 장점으로 꼽힌다.


우리 기업의 MDB 조달시장 진출을 지원하기 위해서는 MDB 사업에 대한 정보를 일괄적이고도 체계적으로 수집, 분석하여 이를 기업에 적시에 제공할 수 있는 ‘원스톱’ 서비스 시스템 구축이 필요하다. 아울러 우리 기업의 참여 경험과 MDB 근무 경험자들의 전문지식 및 노하우를 공유할 수 있도록 ‘MDB 전문가 풀’을 조직하여 운영해야 한다. 또한 MDB 발주 인프라 조달시장에 효과적으로 접근하기 위해서는 MDB의 성격 및 정책, 업무절차, 프로젝트 사이클 등에 대한 충분한 이해가 전제되어야 하는데, 이를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사업의 준비단계(preparation)에서부터 우리 기업의 컨설팅 참여가 선행될 필요가 있다. 그 이유는 사업 준비단계에서 프로젝트의 성격과 목적을 설정하고 이를 바탕으로 사업에 필요한 요소(component)를 결정하는데, 여기에서 사업시행에 필요한 컨설팅 서비스와 설비, 장비 등 물품조달에 관한 밑그림이 그려지기 때문이다.
네트워크 구축도 중요한 사안이다. MDB 사업은 국가별 개발계획 수립, 프로젝트 계획안 작성, 승인, 입찰 등의 과정을 거치는데, 초기 단계에서부터 MDB와 수원국과의 접촉을 통해 정보수집 능력을 키우는 것이 수주 가능성을 높이는 방법이다. 인터넷 웹사이트에 게재된 입찰정보는 ‘낡은 정보’로 그 유용성이 크게 떨어진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지배적인 견해이다. 따라서 상시적인 네트워크를 통해 국가별 개발계획 수립 단계에서부터 필요한 정보를 입수, 분석하여 이를 기업에 제공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 외에도 인적 네트워크 구축을 들 수 있다. 아프리카 시장은 불확실성이 높고 프로젝트 발주의 불예측성이 특징이므로 정부와 발주처 등과의 밀접한 유대관계가 사업수주로 이어지는 경우가 적지 않다. 우리의 입장에서 볼 때, 아프리카는 일부 국가를 제외하면 비교적 생소한 시장이므로 정부 및 발주처 주요 인사와의 활발한 교류 등을 통한 인적 협력기반을 구축하는 것이 필요하다.

 Africa is the poorest continent in the world in terms of public infrastructure. In any country with functioning public infrastructure, roads form the backbone of transportation, responsible for the 80-90% of movements of people and goods. In Africa, however, only 20% or so of existing roads have been paved. The vast majority of existing railways was laid during the colonial era and is now obsolete, unable to function properly. Much of its port and airport facilities are similarly outdated becoming, in effect, major obstacles to the continent’s economic development. Particularly conspicuous as well is the absence of proper electricity infrastructure. Almost 800 million Africans live in the sub-Saharan region, but the aggregate power generation capacity of the region lags behind the capacity of Spain (with a population of 45 million). If South Africa is not counted in with Sub-Saharan Africa, the region’s power capacity is lowered to the level of Argentina. Nearly a quarter of the existing power facilities are out of order and obsolete. Thirty or so African countries, therefore, experience power outages on a daily basis, and serious economic losses as a consequence.
The increasing measure of political stability and signs of significant economic growth in Africa, coupled with activities in resource extraction market and the increasing influx of infrastructure development funds from the international community, have led to the explosive growth of the construction industry on the continent. The growth rate of the construction sector in numerous African countries hovers well above the average economic growth rate. This pattern is especially evident in such resource-rich countries as Angola, Sudan, Algeria, and the Democratic Republic of Congo. The public investment plans of these African states, notwithstanding differences in detail, mostly focus on expanding the social overhead capital (SOC), such as the infrastructure for transportation and electricity. Oil-producing countries now actively channel the wealth they have gained from the rise in international oil prices toward expanding their industrial infrastructure, fueling the growing demand for the development of various plants.
The explosive economic growth of Africa is expected to continue its trajectory for the time being with the concomitant rise in the demand for construction and real estate development. The Economist has speculated that Africa would soon outdo Asia in terms of economic growth. Seven of the ten countries that the magazine predicted to achieve the fastest rates of economic growth over the next five years (2011-2015) are African countries.
The rapid growth of demand for public infrastructure also stems from urbanization. The rate of urbanization in Africa is well ahead of those in other developing regions. By 2040, the continent is expected to boast at least 100 cities with a population of over one million. Another major source of the rising demand for infrastructure expansion is resource extraction. As the international competition over securing access to greater reservoirs of natural resources continues to ramp up, the resource extraction market in Africa is booming. With the continued influx of foreign capital, Africa may well grow to produce more than 30% of all petroleum in circulation worldwide by 2020. The activity of the resource extraction market has consequently led to growing demand for the expansion of transportation infrastructure, including roads, railways, and port facilities. It is also fueling the rising demand for the development of plants including power plants, oil refineries, oil pipelines, and offshore plants. The International Energy Agency projects that the public infrastructure development market in Africa, formed and sustained by the exploitation of petroleum and natural gas in the region, would grow to USD 2.1 trillion (or USD 83 billion annually) in total value between 2010 and 2035.
The most aggressive suitor in pursuit of Africa’s abundant natural resources is China, which has effectively come to dominate the African infrastructure development market by promising and delivering massive amounts of aid. European companies have mainly led construction in Africa in the past, but the power of Chinese capital is now rapidly replacing these traditional leaders. The aggregate revenue that Chinese investors earned from construction in Africa increased 21 times between 2002 and 2011, with their share of the region’s construction market exceeding 40% in 2011.
Notwithstanding the impressive accomplishments of China, France still continues to exert major influence over Africa, thanks to the political and economic connections that trace their origins to the French colonial rule over the region. Africa accounted for 13% of the total revenue that French construction companies earned in 2011. This means that Africa, aside from Europe, is the biggest market for French construction businesses. These French investors are actively expanding their share of the African market by launching consortia and advertising their sector-specific expertise. They have recently begun to diversify their portfolio, to include clients in such nontraditional markets as South Africa, Nigeria, Angola, and Kenya.
The United States, along with Europe, has traditionally played a leading role in the African infrastructure market. Its market share, however, fell from 15% to 5% between 2000 and 2011 due to the increasing vigor with which Chinese investors have been expanding their presence in Africa. The United States no longer claims leadership in the transportation infrastructure market. Instead, it has begun to focus increasingly on the petrochemical market in order to take better advantage of the comparative advantage it has over that area.
The presence of Japanese businesses can barely be felt in the African construction market. Nevertheless, since the Japanese government introduced a new policy in 2008 for increasing support for companies entering the African market, coupled with the sluggish domestic construction industry and effects of the recent major tsunami earthquake that hit Japan, Japanese construction firms are increasingly eyeing Africa as the next major base of their businesses. The number and volume of orders that Japanese companies have secured for the development of buildings and plants in Africa are noteworthy in their rate of growth, increasing by 2.3 times in just one year from 2010 to 2011 to USD 4.26 billion in total.
The construction market in Africa is still in a nascent stage and lags far behind the counterparts in other developing regions. Due to the absolute shortage of African companies capable of meeting increasing demand on their own, however, much of the rising demand in Africa now must be satisfied by foreign and international businesses. In 2010, Africa represented 16% of the international construction demand, well ahead of South-Central America (9%) and North America (12%). These indicate ample opportunities for success from the perspective of international construction companies. There are, nevertheless, still a number of risks complicating the prospects of success, including political instability, pervasive corruption, inconsistent policies of African governments, and the lack of mutual trust between investors and investment-seeking governments. In particular, the low sovereign credit ratings of most African countries also make it quite difficult for investors to secure the needed financial resources from the international financial market. Long-term financing is crucial, however, to the success of public infrastructure development projects, as these capital-intensive projects tend to require much investment and a long time before they begin to yield tangible returns. Africa still lacks the structural and systemic conditions to support the financing projects it requires. Many of these risks are more or less repeated in other developing countries. It would be unwise to be blinded by these risks and lose sight of the great potential for success that Africa has. While one must avoid overestimating Africa’s potential, one must also awaken to the waves of hope and expectations sweeping across the continent and that demand us to eschew our biases against the continent’s capability for development. Obstacles and risk factors persist, but the potential of emerging African construction market is real and warrants thoughtful appraisal.
In light of sizable opportunities that Africa presents, this study examines the potential that the incipient construction and plant development market in the region has. This study then identifies directions that Korean businesses, relative latecomers to the African boom, may take in order to ensure the success of their endeavors. The findings and conclusion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Korean investors may seek and find the financial resources they need from international financial institutions. With the exception of a few petroleum-producing countries, most African countries are suffering from extreme fiscal deprivation and are unable to fund development projects on their own. As most African countries have low sovereign credit ratings and present serious risks, it is not so easy to secure the financing they need in the international financial market, either. The chronic difficulty of securing financial means is the major reason that makes investors avoid infrastructure development projects in Africa in spite of the high returns they promise. The export credit agencies in Korea thus need to become more proactive, and enhance financial capacity of Korean companies by securing the required financial means in the forms of cofinancing projects with multilateral or bilateral development financial institutions (DFIs). Such financing partnerships are especially important because Korean financial institutions alone cannot handle the development projects of the size and scope that Africa needs. Increasing the network and cofinancing opportunities with these international DFIs will be also beneficial because it will allow Korean investors to make use of the abundant amounts of information, expertise, and experience that these institutions can offer with respect to Africa.
Second, strategic alliances will also be helpful for entering the African market. At present, the African construction market is in effect dominated by Chinese and European companies. Backed by massive amounts of financial and capital assistance from the central Chinese government, Chinese companies almost exclusively in their ability to meet the new demand across Africa for construction and development projects. Former European colonial states also continue to exert significant influence over the construction market in Africa by taking advantage of well-established political and economic “connecting” with these established leaders would indeed be an uphill battle. It is thus crucial to seek strategic alliances with European companies that boast extensive historical and financial presence in Africa by launching consortia or organizing other forms of partnership. Such strategic alliances would allow Korean investors effectively to overcome their relative lack of information, capital, and experience in the region, and significantly mitigate the risks facing new market entrants.
Forming strategic alliances is also important to spreading out the multiple, complex risks Africa presents by virtue of its political and economic circumstances. Partnership with companies backed by the governments of states that hold significant diplomatic sway over African countries can help Korean investors to lessen their risks, especially associated with unexpected changes or cancellations of their projects. To this end, partnership with Chinese companies is also advised. While Korean investors will have to differentiate themselves from their Chinese counterparts in the long run, they cannot remain blind to the realistic necessity of forming partnerships with these rising leaders of the African construction market. An example of effective partnership would involve a consortium between Korean and Chinese companies in which different partners handle different aspects of the project, such as designing and engineering, technology, financing, and construction. Korean contractors of construction projects may also consider hiring Chinese subcontractors.
Other key candidates for strategic alliances in Africa include major players in resource extraction. Multiple petroleum companies have established their presence in oil-producing African countries. These corporations are in effect the main source of the rising demand for various construction and development projects. Cooperation with these international petroleum companies will allow Korean investors to take better advantage of the growing demand for the development of petrochemical plants and other components of the expanding petroleum infrastructure.
Also, Korean investors need to consider securing loans from multilateral development banks. Over the last 12 years, from 2000 through 2011, Africa was the second-largest regional recipient, after Central-South America, of World Bank loans, receiving USD 160 billion or 21% of all the loans provided during the period. In terms of the number of loans provided, Africa claimed triple the number of loans provided for South Asia or 30% of the total number of loans the World Bank provided. The World Bank provides financial means for various projects in social infrastructure building for eradicating poverty, funding development projects in the areas of energy, transportation, public sanitation, and so forth. Loans for energy development represent the biggest share (22.5%) of all loans provided, attesting to the poor status of electricity infrastructure in Africa. The World Bank will continue to provide increasing amounts of loans for Africa in the coming years, as part of the increasing 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 (ODA) the region will be attracting.
With the international society resolved to achieve the Millennium Development Goals by increasing, among others, the amount of ODA to 0.7% of the gross national income of each contributing state, the World Bank is expected to expand the scope and range of the loans it provides significantly. Loans from the African Development Bank (AfDB) may not be comparable to the loans from the World Bank in amount, but they provide intensive support for the development of core infrastructure, including power plants, waterworks, public sanitation, transportation, and communication. While the number of development projects in Africa backed by funding from multilateral development banks (MDBs) is steadily rising, Korean investors make almost no use of such increasing financial support. Ever since Korea began to provide ODA for Africa, it has so far secured only a single project supported by a World Bank loan for Africa. While Korean investors have secured six loans so far from the AfDB, the total amount of those loans amount is a relatively small USD 137 million. The procedures for securing MDB-backed projects tend to be quite complex and time-consuming, and the dearth of records of Korean investors working on such projects only adds to the difficulty of securing such projects. MDBs, however, are appealing sources of financing in that success in an MDB-backed project can more or less guarantee continued, secure relations with the given MDB for some time to come. MDB-backed projects are also attractive because they minimize the risks of corruption. In addition, MDBs guarantee payments for construction projects and carry no foreign exchange risks.
Therefore, in order for Korean investors to benefit from MDB loans, it is vital to establish a comprehensive and integrated service system that can systematically collect, analyze, and provide information on pertinent MDB projects for Korean investors. Furthermore, it may also be useful to form a pool of experts on MDBs to encourage Korean companies, investors, and participants in MDB projects to share their experience and information. In particular, an important precondition for effective access to MDB-backed infrastructure project market are: good grasp of MDB inner workings, policy, procedures, and project cycles. This means that Korean investors need to participate as consultants from the very beginning of each project they want to secure, including its preparation. Participation in the preparatory stage will enable these investors to contribute to the decision of the project’s purposes, characteristics and the related components, thereby allowing them to develop a workable blueprint regarding the requirements of the project, including the services and equipment it needs.
Equally important is the need to form a network of exchange and information with other countries. The MDB-backed projects involve the submission of development and project plans from each participating country, MDB approval, and bidding. Networking with MDBs and recipient countries from the first phase of this process will help Korean investors gain greater information, and thus strengthen their chances of winning the bids. The bidding information announced on the Internet is already too public and obsolete according to experts. A well-functioning network with the officials of MDBs and recipient countries will be crucial to collecting the information necessary to draft effective project proposals.
Another key factor that must not be overlooked is the need to build and maintain an effective network of human exchange. The African market entails high levels of uncertainty, unpredictability, and risks. Close working ties with officials of African governments and clients are therefore vital for securing development projects in the region. Most African countries remain unfamiliar markets for Korean investors. It is therefore strongly recommended that the Korean government facilitate these investors’ activities in the region by forming and fostering active exchange with representatives of local governments and clients.

서언 


국문요약 


제1장 머리말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2. 연구의 방법 및 구성ㆍ범위 
3. 연구의 의의 및 한계 


제2장 아프리카 인프라 현황 및 개발 잠재력 
1. 인프라 저개발 현황 
   가. 운송 인프라 
   나. 전력 인프라 
   다. 에너지 인프라 
2. 인프라 개발자금 조달구조 및 개발자금 수요 
   가. 인프라 개발자금 조달구조 
   나. 인프라 개발자금 수요 
3. 잠재적 인프라 수요 측정 
   가. 분석 방법 및 분석자료 
   나. 사하라이남 아프리카지역의 인프라 결정인자 
   다. 벤치마킹(benchmarking)을 활용한 잠재수요 분석 
4. 인프라 확충 사례: 나이지리아 
   가. 운송 인프라 
   나. 전력 인프라 
   다. 에너지 인프라 
5. 인프라 개발 잠재력 
   가. 경제개발과 도시화: 수요 측면 
   나. 자원개발 붐: 수요 측면 
   다. 국제사회의 인프라 개발자금 지원: 공급 측면 


제3장 주요국의 아프리카 건설시장 진출 현황 및 특징 
1. 중국 
   가. 진출 현황 
   나. 주요 분야별 진출 사례 
   다. 진출 전략 및 특징 
2. 프랑스 
   가. 진출 현황 
   나. 기업별 진출 사례 
   다. 프랑스 건설기업의 아프리카 진출 전략 특징 
3. 일본 
   가. 아프리카 건설ㆍ플랜트 진출 현황 
   나. 주요 분야별 진출 사례 
   다. 진출 전략 및 특징 
4. 미국 
   가. 미국 해외건설업체 현황 
   나. 아프리카 건설시장 진출 현황 
   다. 미국 건설기업의 아프리카 진출 특징 


제4장 한국의 아프리카 건설수주 현황 및 애로요인 
1. 아프리카 건설수주 현황 및 특징 
   가. 건설수주 추이 
   나. 국가 및 분야별 수주 실적 
2. 진출 성공 사례 
   가. 알제리: 신도시 개발 
   나. 나이지리아: 석유ㆍ가스 생산시설공사 
   다. 앙골라: LNG 플랜트 
   라. 이집트: 벤젠 생산시설 
3. 진출(관심) 이유 및 진출상의 애로사항 
   가. 아프리카 진출(관심) 이유 및 주요 고려사항 
   나. 진출 여건 및 애로사항 


제5장 한국의 진출확대방안 
1. 분석 내용 요약 및 한국에의 시사점 
   가. 분석 내용 요약 
   나. 한국에의 시사점 및 진출방향 도출 
2. 금융지원: 해외 금융기관 활용 
   가. 필요성 
   나. 협조융자 사례 
3. 전략적 제휴를 통한 협력 진출 
   가. 필요성 
   나. 외국 건설업체와의 협력 진출 
   다. 자원 메이저와의 협력 진출 
4. MDB 차관사업 수주 
   가. MDB 차관 규모 
   나. MDB 사업 수주방안 


제6장 맺음말 


참고문헌 


Executive Summary

판매정보

분량/크기, 판매가격
분량/크기 270
판매가격 10000 원

구매하기 목록

같은 주제의 보고서

중국종합연구 한중 탄소중립 협력 활성화 방안 연구 2023-12-29 중국종합연구 2023년 중국종합연구 총서 정책연구과제 요약집 2023-12-29 중국종합연구 탄소중립 시대 중국 동북지역 한중 지역개발 협력방안 : 중국 지린성을 중심으로 2023-12-29 세계지역전략연구 한-인도 해운·항만산업 협력방안 연구 2023-12-29 세계지역전략연구 아세안 주요국의 난민지원정책과 한국에 대한 시사점 2023-12-30 세계지역전략연구 중동·북아프리카 식량위기에 대한 역내 인식과 대응 및 협력방안 2023-12-27 단행본 만화로 보는 세계경제 2023 2023-12-23 세계지역전략연구 사하라이남 아프리카 주요국의 탈탄소 정책과 청정에너지부문 협력 방안 2023-11-29 연구자료 동지중해 천연가스 개발 현황과 한국의 협력 방안 2023-10-20 연구보고서 경제안보 이슈의 부상과 대외협력 방향 2022-12-30 연구보고서 인도의 주별 인구구조 변화가 노동시장과 산업별 고용구조에 미치는 영향 2022-12-30 세계지역전략연구 주요국의 대남아시아 경제협력전략과 정책 시사점: 중국, 일본, 인도를 중심으로 2022-12-30 연구보고서 미·중 전략 경쟁 시대 글로벌 기업의 대응과 중국진출 한국기업에 대한 시사점 2022-12-30 중장기통상전략연구 일본의 중장기 통상전략과 한·일 협력 방안 2022-12-30 연구보고서 한국-동남아 가치사슬 안정화를 위한 메콩지역 협력 방안 연구 2022-12-30 중장기통상전략연구 아세안의 중장기 통상전략과 한-아세안 협력 방안 2022-12-30 중장기통상전략연구 중국의 중장기 통상전략과 한중 협력 방안 2022-12-30 연구자료 방글라데시 기후변화 영향 분석 및 시사점 2022-12-30 연구보고서 인도의 신·재생에너지 시장 및 정책 분석과 한-인도 협력 방안 2022-12-30 연구보고서 미·중 경쟁 하 중남미의 GVC 참여와 RVC 구축 연구 2022-12-30
공공누리 OPEN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 출처표시, 상업용금지, 변경금지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표시기준 (공공누리, KOGL) 제4유형

대외경제정책연구원의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 금지 +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저작권정책 참조

콘텐츠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콘텐츠 만족도 조사

0/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