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전체보고서

발간물

목록으로
연구자료 한국 체류 중남미인 실태조사 및 활용방안 연구 경제협력, 정치경제

저자 김창민, 주종택, 최진숙, 강정원 발간번호 11-57 자료언어 Korean 발간일 2011.12.30

원문보기(다운로드:3,344) 저자별 보고서 주제별 보고서

이 연구에서는 다양한 자격으로 국내에 체류하고 있는 중남미 출신 외국인을 대상으로 2011년 6월부터 11월에 걸쳐 설문조사와 심층면담, 참여관찰 등 현지조사를 실시하여 전반적이고 심층적인 현황을 파악하고 분석했다. 그 결과를 토대로 중남미 이주민들과 인적 연결망을 형성해 지속적으로 접촉할 수 있는 방안과 한국문화를 체득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다양한 제도 수립 및 프로그램 구축 방안을 모색했다.
이 연구는 결론까지 포함하여 모두 6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 1장에서는 한국에 체류하는 중남미인들의 현황을 파악하고 기초 자료를 마련하기 위해 법무부 출입국ㆍ외국인정책본부의 출입국ㆍ외국인 정책통계연보를 연도별로 검토⋅분석했다. 제 2장에서는 중남미인들의 현황을 다각도로 분석하여 이주 특성을 보다 세부적으로 검토하였다. 제 3장 ‘중남미 이주노동자의 이주과정과 사회문화 관계’는 중남미 이주노동자의 이주역사와 정착과정에서 한국과 유사한 경험을 갖고 있는 일본의 사례를 비교 연구하여, 한국에서 중남미인들의 이주가 갖는 성격과 의미, 영향을 명확하게 드러내고 있다. 이 연구는 노동이주의 역사⋅과정과 이주자가 사회에 적응할 때 경제적 요인 이외에 사회문화적 요인 또한 중요하다는 점을 밝히고 있다. 제 4장 ‘국내 체류 중남미 전문직의 사회문화적 적응 양상’은 중남미 출신 전문직의 사회문화적 적응을 다루고 있다. 전문직 이주자에 대한 기존의 사회과학적 연구들이 주로 통계조사에 의존하면서 모호한 사회문화적 적응의 개념을 적용했던 것을 극복하고자 이 연구에서는 질적 연구를 적극 활용하여 전문직 이주자의 구체적 경험에 주목하였다. 국내 중남미 전문직 이주자들은 직종⋅지역에 따라 사회적 연계망 형성 및 문화적 적응을 할 때 다양한 전략적 선택을 하는 것으로 보인다. 제 5장 ‘체류자격에 따른 이주 경험과 이주연결망 분석’은 체류자격에 따른 이주연결망 형성과 활용 및 체류 경험을 분석하였다. 이 연구에 따르면 중남미인들은 체류자격에 따라 상이한 사회적 연결망을 활용하고 있으며, 이러한 경향은 이주를 준비하고 입국하는 단계에서도 마찬가지로 나타난다. 또한 중남미인들의 이주는 개인 단위의 생존전략이라기보다는 가족 단위의 생계전략의 성격이 더 강하다는 점에 주목하고 있다.
이상과 같이 다양한 출신 국가와 체류 지역 및 자격을 포괄하는 국내 중남미 이주자들을 연구한 결과 이주자의 특징, 이주의 계기와 과정은 물론, 한국 적응 실태와 전략, 한국에서의 사회문화 관계 등을 파악할 수 있었다. 이 연구는 현재 한국에 체류하는 중남미 출신 외국인들이 한국사회에서 수행하는 역할에 대한 이해는 물론, 향후 거취 및 진로를 예측하는 데 기여할 것이다. 중남미 이주민을 대상으로 하는 정책 수립에도 있어서 수의 증가를 도모하기보다는 질적 측면을 향상시키는 노력이 중요하며, 특히 중남미 이주민이 입국, 정착, 체류, 귀환 등 이주의 전 단계를 보다 긍정적으로 경험하고 활용할 수 있도록 이와 관련된 정책에 중점을 둘 것을 제안한다.

 In this report we provide in depth information on the anthropological study carried out and the distribution of Latin American immigrants and their experiences in Korea. Our research methods include a survey, interview, and participant observation carried out between June and November 2011. Data were gathered with the aim of finding ways for immigrants to develop social networks and to make better adjustments to life in Korea, and furthermore, to make suggestions for institutional aid and programs for immigrants.
This report consists of 6 chapters including the conclusion. Chapters 1 and 2 respectively provide general statistics on Latin American immigrants in Korea and characteristics of their immigration processes. Chapter 3 <The Process of Migration and Sociocultural Relations of Latin American Immigrants> comparatively examines the Japanese case and the Korean case of Latin American immigration. Through this comparison, the study clearly reveals the nature, meanings and impacts of Latin American immigration to Korea and sheds light on the importance of sociocultural factors for understanding the history of immigration, immigration processes, and immigrants' social adjustment in addition to economic factors. Chapter 4 <Latin American Expats' Sociocultural Adjustment in Korea> deals with the ways in which Latin American expats select adjustment strategies. While previous social scientific studies have tended to rely on quantitative analysis of expats' psychological adjustment and to deploy overgeneralized notions of sociocultural adjustment, this study utilizes qualitative methodology in order to pay more attention to the specifics of Latin American expats' experiences in Korea.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s that Latin American expats in Korea select from among various strategies to adjust to Korean culture, depending on the nature of their job and where they live. Chapter 5 <An Analysis of Immigration Experience and Immigration Network according to status of sojourn> examined network formation and how it is used, and immigrants' experiences according to their status of sojourn.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s that Latin American immigrants utilize different kinds of network and this tendency is visible in the process of immigration to Korea. In addition, Latin American immigration to Korea is characterized in this study as a family-based strategy rather than an individual strategy.
In conclusion, having conducted research on Latin American immigrants from various countries and of various visa types in Korea, we reached an understanding of some of the characteristics of Latin Americans' immigration process in Korea, sociocultural adjustment strategies, and sociocultural relations in Korea. This study contributes to an understanding of Latin American immigrants' statuses and roles in Korea, and aids in predicting their future path in Korea society. We suggest that it is necessary to improve qualitative aspects of immigrants' lives rather than to simply increase the number of immigrants in Korea; we also recommend that the Korean government develop policies to facilitate immigrants' positive experience of the overall process of immigration.

국문요약

제1장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2. 연구의 범위와 보고서의 구성

제2장 한국 체류 중남미인 현황
1. 체류자격 현황
2. 국가별 구성 현황
3. 종합분석

제3장 이주과정과 사회문화 관계
1. 서 론
2. 이주노동과 사회문화 관계
3. 조사 대상과 연구 방법
4. 일본의 중남미 이주노동자의 이주역사와 과정, 사회문화관계
가. 닛케이진의 일본으로의 이주
나. 중남미로 향한 일본인의 이주와 닛케이진
다. 닛케이진의 증가와 중남미 이주노동자
라. 중남미 이주노동자와 일본의 사회문화
5. 한국의 중남미 이주노동자의 이주역사와 과정, 사회문화 관계
가. 한국사회와 이주노동자
나. 중남미 이주노동자의 역사적 변화와 이주과정
다. 중남미 이주노동자의 사회문화적 적응
라. 한국의 사회문화와 오늘날의 중남미 이주노동자
6. 한국과 일본의 중남미 이주노동자에 대한 비교문화적 이해
7. 결 론

제4장 국내 체류 중남미 전문직의 사회문화적 적응 양상
1. 서론: 국제적 노동이주와 전문직
가. 이주와 사회문화적 적응
나. 전문직 연구 개괄
2. 연구 방법 및 자료
가. 국내 중남미 전문직의 일반적 특성
나. 연구 대상 및 연구 방법
3. 중남미 전문직 종사자들의 사회문화적 적응 양상
가. 분리와 동화: 연계망 없는 사회문화적 적응
나. 통합과 분리: 지역 연계망 형성
다. 분리와 주변화: 제한된 사회적 연계망
4. 요약 및 결론

제5장 체류자격에 따른 이주 경험과 이주연결망 체류자격에 따른 이주 경험과 이주연결망
1. 서 론
가. 국제노동력 이주 이론
나. 사회적 연결망이론과 핵심 쟁점
다. 연구 주제와 연구 방법
2. 이주연결망과 이주 경험
가. 인구통계학적 특징
나. 이주 결정과 이동
다. 한국 체류
라. 향후 귀국/체류 결정
3. 결론과 정책적 함의
가. 종합분석
나. 정책적 함의

제6장 결 론

참고문헌

부록:서베이 설문지

Executive Summary

판매정보

분량/크기, 판매가격
분량/크기 168
판매가격

구매하기 목록

같은 주제의 보고서

연구보고서 영-미 사례를 통한 미중 패권 전환 가능성 분석: 무역, 금융, 안보, 다자주의를 중심으로 2023-12-29 Working paper Individualism and Political Stability 2023-12-29 중국종합연구 한중 탄소중립 협력 활성화 방안 연구 2023-12-29 중국종합연구 2023년 중국종합연구 총서 정책연구과제 요약집 2023-12-29 중국종합연구 탄소중립 시대 중국 동북지역 한중 지역개발 협력방안 : 중국 지린성을 중심으로 2023-12-29 세계지역전략연구 한-인도 해운·항만산업 협력방안 연구 2023-12-29 세계지역전략연구 아세안 주요국의 난민지원정책과 한국에 대한 시사점 2023-12-30 세계지역전략연구 중동·북아프리카 식량위기에 대한 역내 인식과 대응 및 협력방안 2023-12-27 단행본 만화로 보는 세계경제 2023 2023-12-23 세계지역전략연구 사하라이남 아프리카 주요국의 탈탄소 정책과 청정에너지부문 협력 방안 2023-11-29 연구자료 동남아·대양주 유권자들의 보호무역주의 성향 연구와 시사점: 필리핀, 태국, 호주, 뉴질랜드를 중심으로 2023-11-10 세계지역전략연구 인도·태평양 지역 경제안보: 주요국의 국내정치 동학과 한국의 경제안보전략 2023-09-13 연구자료 동지중해 천연가스 개발 현황과 한국의 협력 방안 2023-10-20 연구보고서 경제안보 이슈의 부상과 대외협력 방향 2022-12-30 세계지역전략연구 주요국의 대남아시아 경제협력전략과 정책 시사점: 중국, 일본, 인도를 중심으로 2022-12-30 연구보고서 미·중 전략 경쟁 시대 글로벌 기업의 대응과 중국진출 한국기업에 대한 시사점 2022-12-30 중장기통상전략연구 일본의 중장기 통상전략과 한·일 협력 방안 2022-12-30 연구보고서 한국-동남아 가치사슬 안정화를 위한 메콩지역 협력 방안 연구 2022-12-30 중장기통상전략연구 아세안의 중장기 통상전략과 한-아세안 협력 방안 2022-12-30 중장기통상전략연구 중국의 중장기 통상전략과 한중 협력 방안 2022-12-30
공공누리 OPEN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 출처표시, 상업용금지, 변경금지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표시기준 (공공누리, KOGL) 제4유형

대외경제정책연구원의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 금지 +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저작권정책 참조

콘텐츠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콘텐츠 만족도 조사

0/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