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전체보고서

발간물

목록으로
연구자료 중앙아시아 플랜트시장의 특징과 한국의 참여방안: 카자흐스탄과 우즈베키스탄을 중심으로 산업정책, 해외직접투자

저자 윤성학 발간번호 10-05 자료언어 Korean 발간일 2010.10.06

원문보기(다운로드:1,572) 저자별 보고서 주제별 보고서

2000년대 초반 자원가격 폭등으로 기록적인 경제성장률을 경험한 중앙아시아 국가들은 석유와 가스 등 원자재 상품을 파이프라인을 통해 단순하게 수출하는 성장모델은 수익성이 낮을 뿐만 아니라 국내산업을 육성하지도 못하고, 결과적으로 성장을 지속적으로 보장하지 못한다는 깨닫게 되었다. 원자재 자원의 단순한 해외 수출보다는 부가가치를 더 높인 석유화학류 제품 등을 만들어야겠다는 의지는 플랜트산업 발전전략으로 나타나고 있다. 카자흐스탄의 경우 이미 1997년 ‘카자흐스탄 2030 전략’에서 ‘지속가능한 경제발전(sustainable economic growth)’ 달성을 우선적인 추진사항으로 결정하였다. 아제르바이잔은 에너지 산업에 대한 효율성 향상을 위해 EBRD가 제시한 ‘지속가능한 에너지 프로그램(Sustainable Energy Programme)’을 중심으로 신규 유전 및 가스전 개발, 파이프라인 건설 및 보수를 추진하고 있다.
중앙아시아 지역에서 대규모 플랜트시장이 열리면서 플랜트산업의 시공과 운영에 세계적인 경쟁력을 갖고 있는 한국은 중요한 기회를 맞이하고 있다. 중앙아시아 플랜트시장은 한국의 주력 시장인 중동과 다른 특징을 갖고 있다. 무엇보다 중동 플랜트시장의 경우 투자리스크 없이 외국인 업체와의 경쟁을 통한 수주 프로젝트 성격을 띠고 있지만 중앙아시아는 아직 제대로 된 제도와 법적 장치도 갖추지 못한 상황에서 대규모 자금이 소요되는 플랜트를 발주할 만한 여력도 충분하지 못한 실정이다. 더욱이 글로벌 금융위기는 수출 부진에 따른 중앙아시아 정부의 재정악화로 플랜트사업 추진을 연기하거나 규모를 축소하게 만들었다.


중앙아시아 시장을 노리는 중국, 일본, EU, 러시아는 자국 플랜트 기업의 중앙아시아 시장 진출을 위해 대규모 차관, ODA, 정치적 영향력을 행사하면서 한국기업이 참여할 여지를 축소시키고 있다. 최근 중국이 ‘중앙아시아~중국 가스관’을 통해 이 지역의 석유와 가스를 독차지하는 상황에서 한국의 해외 자원개발전략은 커다란 위기를 맞이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treatise is to ascertain Kazakhstan & Uzbekistan's potential for economic growth through the study of the industrial plant market in the Central Asia, widely considered the newest Greenfield of the rising these economy, and contemplate measures that will allow Korea to make inroads into that market.
The industrial plant market recently taking shape in the Central Asia, a region bordering the Korean Peninsula, presents Korea with new opportunities for growth, considering Korea's world-class competitiveness in the construction and operation of industrial plants. However, the plant market in the Central Asia also presents significant obstacles including lack of institutional/legal support, unlike the Middle East, Korea's current No. 1 industrial plant market; insufficient funds to place orders for plant construction; not to mention fierce competition from China and Japan. This paper intends to outline strategies Korea might want to consider for its entry into the Central Asia industrial plant market, in the face of massive financial wherewithal and political clout possessed by the Chinese and the Japanese.

국문요약


제1장 서론
1. 연구의 목적
2. 연구의 범위와 방법


제2장 카자흐스탄 플랜트시장의 동향과 특징
1.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카자흐스탄 경제와 플랜트산업
2. 주요 플랜트산업별 시장 동향
가. 석유․가스 개발 플랜트시장
나. 정유 플랜트
다. 석유화학 플랜트
라. 발전 플랜트
마. 기타 플랜트시장
3. 카자흐스탄 플랜트시장의 특징과 외국인 동향


제3장 우즈베키스탄 플랜트시장의 동향과 특징
1.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우즈베키스탄 경제와 플랜트산업
2. 주요 플랜트산업별 시장 동향
가. 석유․가스 개발 플랜트
나. 정유 플랜트
다. 석유화학 플랜트
라. 발전 플랜트
마. 기타 플랜트
3. 우즈베키스탄 플랜트시장의 특징과 외국인 동향


제4장 한국의 중앙아시아 플랜트시장 참여방안
1. 한국의 중앙아시아 플랜트시장 참여 현황
가. 우즈베키스탄
나. 카자흐스탄
2. 패키지전략의 유형과 한계
3. 한국형 패키지전략과 과제


제5장 결론


참고문헌


Executive Summary

판매정보

분량/크기, 판매가격
분량/크기 98
판매가격 5000 원

구매하기 목록

같은 주제의 보고서

Working paper Industrial Policy, Rise of Skilled Labor, and Firm Growth in the Early Stage of Economic Development 2023-12-15 Working paper An Analysis on the Regional Integration of Northeast Asia by Developing NARCI (Northeast Asia Regional Cooperation Index) 2023-10-27 연구자료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이후 유럽 주요국의 에너지 위기 대응 정책 분석 2023-08-28 연구보고서 한국의 서비스무역 통계 개선 방안 연구 2022-12-30 연구자료 국제사회의 산업부문 탄소중립 추진 동향과 대응방향: 중소기업을 중심으로 2023-05-28 연구보고서 코로나19 위기와 기업경쟁구도 변화: 과거 경제위기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2022-12-30 연구보고서 중국 도시의 녹색전환 정책과 시사점 2022-12-30 연구자료 대러시아 제재가 중동부유럽 경제에 미치는 영향과 시사점 2022-12-30 연구보고서 바이든 행정부의 글로벌 공급망 재편 정책과 시사점: 반도체 및 배터리 산업을 중심으로 2022-12-30 세계지역전략연구 인도의 농업 경쟁력과 한-인도 협력 방안 2022-12-30 세계지역전략연구 아프리카 문화콘텐츠 산업의 발전과 한국에 주는 함의 2022-12-30 연구보고서 디지털세가 다국적기업의 해외 투자에 미치는 영향 2021-12-30 연구자료 주요 선진국의 외국인직접투자 정책변화와 시사점 2022-07-29 중장기통상전략연구 글로벌 보조금 규제의 새로운 현상: 역외보조금·기후변화 보조금·환율보조금 2021-12-30 연구보고서 포용적 혁신성장을 위한 주요국의 경쟁정책 분석과 정책적 시사점 2021-12-30 연구자료 일본 디지털전환 정책의 평가와 시사점 2022-05-20 연구보고서 신보호주의하에서 미국의 대외경제정책 평가와 방향 2021-12-30 연구보고서 중국의 디지털 전환 전략과 시사점: 5G 네트워크 구축과 데이터 경제 육성을 중심으로 2021-12-30 연구보고서 제조업 서비스화의 수출경쟁력 제고 효과 연구 2021-12-30 연구보고서 미ㆍ중 갈등시대 일본의 통상 대응 전략 2021-12-30
공공누리 OPEN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 출처표시, 상업용금지, 변경금지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표시기준 (공공누리, KOGL) 제4유형

대외경제정책연구원의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 금지 +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저작권정책 참조

콘텐츠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콘텐츠 만족도 조사

0/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