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간물
연구보고서
목록으로
경제위기의 충격은 경기변동 차원에서 기업의 시장 진입, 성장, 쇠퇴, 그리고 퇴출 경로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산업 내뿐만 아니라 산업간 충격의 크기가 이질적이고, 기업 규모에 따라서도 반응을 달리한다. 거기에 더해 새로운 산업이 생성되기도 하고, 기존 산업이 쇠퇴하거나 소멸하는 등 경제 전체에 큰 변화를 가져온다. 본 연구는 글로벌 금융위기와 코로나19 위기 등 주요 경제위기에 따른 기업 및 산업에 대한 영향을 살펴본다. 글로벌 상위기업, 국내 대기업, 국내 중소규모 사업체 등에 대해 다양한 층위에서 분석을 시행한 후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크게 네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먼저 제2장에서는 ‘Global Compustat: Fundamental Annual’ 자료를 이용하여 규모가 큰 글로벌 기업의 활동과 특성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 기업의 집중도와 이윤율의 변화를 아시아, 북미, 유럽 3개의 권역으로 나누어서 기초통계량을 제시한 후 상위기업의 경제 비중이 위기별로, 혹은 시간의 흐름에 따라 어떻게 변화하였는지 살펴보았다. 이를 또한 산업별로도 분석하여 이질성을 찾아내었다. 이후 상위기업의 경제 비중 변화가 미치는 영향을 이해하기 위해 상위기업의 특성이 지난 20년간 어떻게 변해왔는지를 조사하였다. 기업의 특징으로 비용 대비 매출액, 매출액 대비 투자, 매출액 대비 연구개발비를 차례로 살펴보았다. 비용 대비 매출액은 영업이익률, 마크업과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매출액 대비 투자와 연구개발비는 경제발전에 큰 영향을 미치는데, 북미 기업과 여타 지역 기업 사이의 차이가 두드러졌다. 상위기업의 순위 변화를 살펴보아도, 북미 지역에서는 순위 변동이 활발한 반면 유럽과 동아시아 지역은 그렇지 못했다.
마지막으로 회귀분석에서는 기업의 특성에 따른 경기민감도 차이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매출 규모가 크고 비용 대비 매출액이 높은 기업일수록 경기 변동에 덜 민감한 것으로 나타났다. 즉, 규모가 큰 기업은 규모가 작은 기업보다 GDP 변화에 덜 민감했다. 현지 통화 기준으로 매출 성장률을 사용할 경우, 상위 500대 기업이 이하 기업보다 GDP 증가에 20~30% 덜 민감하게 반응하였다. 또한 비용 대비 매출액(마크업)이 높은 기업(지역 내 상위 500대 기업)과 작은 기업(500대 미만 기업)으로 나누어 분석한 결과, 비용 대비 매출액 비중이 높을수록 경제 충격에 대한 민감도가 낮았다. 즉, 비용 대비 매출액 비율이 높은 기업은 GDP 감소에 따른 매출 감소가 약 20~40% 정도 더 적게 나타났다.
제3장의 2절은 첫째, Kis-Value 데이터를 통해 주식시장 상장 비금융업 기업을 대상으로 2020년 코로나19 위기와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당시의 각 산업별 성과지표를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2020년 감염병 확산에 의한 충격과 2008년 미국발 금융위기의 충격이 우리나라 산업별로 어떻게 다르게 나타났는지 비교하였고, 특히 각 위기 동안 산업별 매출액을 기준으로 부정적 충격의 영향을 정량적으로 조사한 결과 두 번의 위기 동안 서비스업의 충격이 제조업 부문에 대한 충격보다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코로나19 위기는 감염병 확산에 대응하기 위한 사회적 거리두기 및 공장 폐쇄 조치 등으로 인해 산업별로 비대칭적인 충격을 초래함을 확인하였다. 9차 한국표준산업분류를 통해 각 산업을 (ⅰ) 대면 산업과 (ⅱ) 비대면 산업으로 나누고, 코로나19 위기 전개 과정에서 나타난 대면 산업과 비대면 산업의 성과지표를 바탕으로 그 차이를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감염병 확산 및 정부의 대응 조치가 대면 산업 부문에 유의미한 음의 충격을 가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제3장의 3절에서는 보다 작은 기업에 초점을 맞추어 이들의 지역별, 업종별 인허가율과 폐업률에 어떤 특징이 있는지 지방행정 인허가 데이터를 통해 살펴보았다. 업종별, 기간별로 유의미한 패턴의 차이를 보이는 가운데, 특이하게도 코로나19 위기 동안 공통적으로 대부분의 업종에서 인허가율과 폐업률이 하락하는 현상을 확인할 수 있었다. 설립 3년차 이하인 신생기업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였으나, 다만 폐업률 수준은 전체 업종 대비 상당히 높은 수준을 유지하였다. 이어 코로나19 확산을 막기 위해 도입된 사회적 거리두기 정책이 전 업종과 식품업의 폐업률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 패널회귀분석을 시행한 결과, 사회적 거리두기 단계 개편 이전인 2021년 7월까지의 분석에 따르면 전체 업종과 음식업 등의 하위 부문에서 거리두기 강화가 유의미하게 폐업률을 높이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제4장에서는 코로나19로 피해를 본 기업에 대한 한국 및 주요국의 지원정책을 정리하고, 우리나라 정부의 지원을 받은 산업의 기업 크기 분포를 분석하였다. 지원 수혜 대상인 자동차 부품 제조업, 섬유·의류 산업, 스포츠 및 오락 관련 서비스업과 타 산업의 기업 크기 분포의 꼬리지수로 불균등을 측정하여 코로나19 지원정책 효과를 유추했다. 분석 결과에 따르면 코로나19 시기에 자동차 부품 제조업은 기업 크기 분포의 불균등 정도가 약간 감소했지만, 섬유·의류 산업에서는 불균등이 심화되었다. 같은 시기에 전체 제조업 분포의 불균등이 급격히 악화된 점과 대비되어 자동차 부품, 섬유·의류 기업에 대한 지원정책 효과를 유추해 볼 수 있었다. 특히 자동차 부품 제조업은 매출액 분포의 불균등이 해소된 점에서 섬유·의류 산업에 비해 지원 효과가 컸음을 짐작하게 한다. 대면 업종인 스포츠 및 오락 관련 서비스업은 코로나19 시기에 기업 크기 분포의 불균등이 급격하게 변하는 양상을 보였다. 정부의 지원에도 불구하고 사회적 거리두기로 인해 산업 내 모든 기업에 타격이 컸음을 알 수 있다. 지원이 없었던 전자부품·컴퓨터 제조업은 전반적으로 꼬리지수가 하락 또는 상승하는 추세가 없는 점이 특징이며, 코로나19 시기에 변화가 거의 없는 것은 비대면 수요 증가와 관련 있을 것이다.
마지막으로 제5장에서는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첫째, 글로벌 경기변동을 방어하고 국제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서는 최상위기업을 육성하고 지원하는 것이 필요하다. 특히 국내적으로 경쟁정책을 관장하는 기관과 기업의 경쟁력 향상을 돕는 기관이 상이하고 정책의 초점이 다르므로 정책입안자의 종합적인 관심과 시각이 필요하다. 둘째, 국내 시장에서 경쟁정책 관련 새로운 이슈 대응이 절실하다. 신흥 빅테크, 플랫폼 기업의 행태는 과거 독과점 기업과 달라 소비자 후생을 해치지 않으나, 인근 및 다른 시장 참여자에게 부담을 안긴다. 따라서 독과점 가격 책정에 대한 초점에서 벗어난 시각이 경쟁정책에도 긴요하다. 셋째, 글로벌 기업 성장 지원책 및 산업 판도 변화에 대한 대응책이 마련되어야 한다. 기업 수준에서의 투자와 연구개발 확대가 기업 성장에 필수적이며, 특히 최근 대두되는 무형자산에 대한 투자를 원활화하기 위한 대책이 필요하다. 더불어 위기에 수반되는 산업간 판도 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경제적 자원의 이동 활성화도 중요하다. 넷째, 창업과 폐업의 원활화 및 동학 활성화 정책이 요구된다. 새로운 기업의 시장 진입 저하와 퇴출률 하락은 경제의 고령화를 야기하고 생산성을 저하한다. 따라서 기업 생태계의 활성화 제고와 진입한 기업의 규모 확대는 경제의 동학을 높이기 위해 꼭 필요하다. 다섯째, 위기 시 정부 역할의 적정 조합을 찾아내어야 한다. 특히 중소기업과 관련하여 경기안정화 정책을 위한 세밀한 현황 파악이 중요함과 동시에, 지원책의 적정 규모와 지원 기간, 거둬들이는 시점에 대한 명확한 판단이 절실하다.
In terms of economic fluctuations, it is well recognized that the effects of an economic crisis have a detrimental impact on the entry, growth, decline, and exit of firms. In addition, the magnitude of the impact varies both within and between industries depending on the size and other characteristics of the firm. The economy is going through significant changes due to the emergence of new industries and the decline or disappearance of current ones. This study looks at how big economic events like the COVID-19 pandemic and the global financial crisis have affected businesses and industries. After completing a study at several levels of top international corporations, larger domestic enterprises, and domestic small and medium-sized businesses, it attempts to draw policy implications.
In chapter 2, we analyzed changes in the activities and characteristics of large global firms using Global Compustat: Fundamental Annual data. Specifically, we presented basic statistics on changes in concentration and profit margins in three regions (Asia, North America, and Europe) and then examined how the economic share of large firms has changed over time and across crises. We also looked at the data by industry to identify heterogeneity. To understand the impact of changes in the economic weight of top firms, we examined how the characteristics of top firms have changed over the past 20 years. We looked at cost-to-sales, investment-to-sales, and R&D-to-sales as firm characteristics. Cost-to-sales is closely related to operating margins and markups, while investment and R&D expenditures as a percentage of sales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economic development, with differences between North American companies and those in other regions. After reviewing the changes in the ranking of larger companies, we found that North American firms were more likely to move up and down, while those in Europe and East Asia were less likely to do so. Finally, the regression analysis examined differences in business cycle sensitivity based on firm characteristics. The results showed that firms with larger sales and higher sales-to-cost ratios were less sensitive to cyclical fluctuations, i.e. larger firms were less sensitive to changes in GDP than smaller firms. Using sales growth in local currency terms, the top 500 companies were 20-30% less sensitive to GDP increases than the companies below them. We also found that higher cost-to-sales ratios (mark-ups) were associated with lower sensitivity to economic shocks when analysing companies with higher cost-to-sales ratios (the top 500 companies in the region) versus smaller companies (those below the 500). This means that companies with higher cost-to-sales ratios experienced about 20-40% less revenue decline when GDP fell.
In chapter 3, we compared and analyzed the negative impacts of each industry in the 2008 global financial crisis and the COVID-19 crisis based on corporate sales, and diagnosed the asymmetrical impact on face-to-face and non-face-to-face industries during the pandemic for Korean listed firms. As a result, first, real sales of all companies fell by an average of 4.28 percent year-on-year in 2020, whereas real sales fell by 20.08 percent in 2009, shortly after the 2008 global financial crisis. This indicates that the intensity of the recession was greater during the 2008 global financial crisis than in the 2020 pandemic for listed firms. In other words, during the 2008 global financial crisis, corporate management activities shrank more significantly than during the 2020 pandemic crisis, and the economic recession lasted longer. Second, immediately after the 2008 financial crisis, all industries except mining, agriculture, forestry, and fisheries shrank. 2009 was particularly hard-hit with real estate and rental sales falling 87.73% compared to the 2008 average. In contrast, immediately after the 2020 pandemic outbreak, there was no significant decline in sales in other industries except for arts, sports and leisure services, transportation, agriculture, construction, wholesale and retail, accommodation and restaurant, facility management and business support services. Sales in real estate and rental actually increased by 52.25% compared to the 2019 average. Third, industries that were more affected by the 2020 pandemic crisis than the 2008 global financial crisis included (ⅰ) agriculture, forestry, and fishing, (ⅱ) mining, and (ⅲ) arts, sports, and leisure-related services. Whereas, all 12 other industries experienced a greater imparct from the 2008 global financial crisis. Fourth, the impact of COVID-19 was asymmetric in the face-to-face and non-face-to-face industries. In the case of non-face-to-face industry sales, the deviation rate was -3.37% in 2020 compared to the 2019 average, while face-to-face industry sales were -12.50% in 2020, showing a greater decrease compared to the 2019 average. Fifth, the gap between the non-face-to-face and face-to-face industries was even greater, recording an average of -16.12% and -0.12%, respectively, showing a much larger drop in the face-to-face industry.
The second part of chapter 3 focused on smaller companies and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of their regional and industry licensing rates and closing rates through local administrative licensing data. Amid significant patterns by industry and period, the trend was stronger than the economic fluctuation in the entire period after the Asian financial crisis, and the licensing rate was systematically higher than the closing rate. This suggests that the competitive strength of small and medium-sized businesses continued to increase. During the COVID-19 period, it was also possible to find a phenomenon in which the licensing rate rose, and the closing rate fell depending on the industry. The same was true for start-ups with less than the third year of establishment, but the level of closing rate remained quite high compared to the entire industry, consistent with the results of overseas literature studies. As a result of panel regression analysis on how the social distancing policy introduced to prevent the spread of COVID-19 affected the closing rate of all industries and restaurant industries, it was confirmed that strengthening distancing in sectors for all industries and restaurant industries significantly increased the closing rate.
Chapter 4 summarized the corporate support policies implemented during the COVID-19 period for major countries and analyzed the changes in the size distribution of Korean companies by industry. In particular, in order to examine the effect of the COVID-19 support policy, the inequality in the size distribution of companies such as automobile parts manufacturing, textile and clothing industries, and sports and entertainment-related service industries, which were eligible for support, was measured. The greater the industry inequality, the higher the proportion of sales or employment in the industry by a small number of companie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unlike the rapid increase in manufacturing sector inequality due to the impact of COVID-19, the textile and clothing industries increased relatively less, and the automobile parts manufacturing industry decreased, which can infer the support effect. In particular, in the automobile parts manufacturing industry, inequality was somewhat reduced, which shows that the effect of supporting SMEs in the industry would have been greater than those in the textile and clothing industry. The sports and entertainment-related service industry showed a sharp change in the distribution of corporate sizes during the COVID-19 period, indicating that there was government support, but the impact of social distancing was significant.
Finally in chapter 5, we presented policy implications based on the above research results. First, it is necessary to foster and support top-tier companies to defend against global economic fluctuations and strengthen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In particular, the institution in charge of competition policies domestically and the institution that helps companies improve their competitiveness are different and the focus of policies is distinctive, so comprehensive attention and perspective of policymakers are needed. Second, it is urgent to respond to new issues related to competition policy in the domestic market. The behavior of emerging big tech and platform companies is different from monopoly companies in the past, so consumer welfare is not impaired, but it burdens nearby and other market participants. Therefore, a view that deviates from the focus on monopoly pricing is also essential for competition policy. Third, measures to support global corporate growth and countermeasures against changes in the industrial landscape should be prepared. Investment and R&D expansion at the corporate level is essential for corporate growth, and measures are needed to boost investment in recently emerging intangible assets. In addition, it is important to revitalize the movement of economic resources to cope with changes in the inter-industry landscape accompanied by the crisis. Fourth, policies to revitalize start-ups and closures are required. The decline in new companies’ market entry and exit rates is a symtom of an aging economy contributing to the overall decrease in productivity. Therefore, enhancing the revitalization of the corporate ecosystem and expanding the size of enterprises are essential to enhance the dynamics of the economy. Fifth, it is necessary to find an appropriate combination of government roles in times of crisis. In particular, it is important to grasp the detailed status of economic stabilization policies in relation to SMEs, and at the same time, clear judgments on the appropriate size of support measures, the period of support, and the timing of collection are urgently needed.
국문요약
제1장 서론
1. 연구의 배경과 목적
2. 연구의 내용과 구성
제2장 글로벌 기업과 경기변동
1. 도입
2. 분석자료 및 기초통계량
3. 글로벌 상위기업의 중요성
4. 상위기업 순위 동학
5. 글로벌 상위기업의 경기민감성 분석
6. 요약 및 함의
제3장 한국 기업과 경기변동
1. 도입
2. 한국 기업의 재무성과: 상장기업을 중심으로
3. 중소규모 사업체 인허가율 및 폐업률: 지방행정 인허가 데이터를 중심으로
4. 요약 및 함의
제4장 주요국의 코로나19 지원정책과 한국 기업 분포 분석
1. 도입
2. 주요국의 코로나19 기업 지원정책
3. 정책 효과와 기업 분포 관련 기존 연구
4. 한국의 산업별 기업 크기 분포 분석
5. 요약 및 함의
제5장 결론
1. 연구결과 요약
2. 정책적 시사점
참고문헌
부 록
Executive Summary
판매정보
분량/크기 | 227 |
---|---|
판매가격 | 10,000 원 |
같은 주제의 보고서
중장기통상전략연구
동남아 주요 5개국의 통상전략과 경제성장 경로 : 수출주도성장전략의 평가와 전망
2024-10-11
APEC Study Series
Evolving Agendas in APEC Ministerial Meetings: Tracing the Changing Focus of Economic Cooperation in Asia-Pacific Region
2024-10-02
APEC Study Series
Evolving Agendas in APEC Ministerial Meetings: Tracing the Changing Focus of Economic Cooperation in Asia-Pacific Region
2024-10-02
ODA 정책연구
Assessing Vietnam’s Progress towards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A Comprehensive Review
2023-12-29
연구보고서
해외직접투자가 기업의 지식재산권 확보와 성과에 미치는 영향
2023-12-29
연구보고서
대러 경제 제재가 러시아 경제에 미치는 영향과 한-러 경제협력 안정화 방안
2023-12-29
연구보고서
미중 기술경쟁 시대 중국의 강소기업 육성전략과 시사점
2023-12-29
연구보고서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이 EU의 '개방형 전략적 자율성' 확대에 미친 영향: 에너지 전환, 인적 교류, 안보 통합을 중심으로
2023-12-30
연구보고서
중동부유럽으로의 EU 확대 평가와 향후 전망
2023-12-29
연구보고서
빅데이터 기반의 국제거시경제 전망모형 개발 연구
2023-12-29
세계지역전략연구
한-인도 해운·항만산업 협력방안 연구
2023-12-29
단행본
만화로 보는 세계경제 2023
2023-12-23
Working paper
Industrial Policy, Rise of Skilled Labor, and Firm Growth in the Early Stage of Economic Development
2023-12-15
Working paper
An Analysis on the Regional Integration of Northeast Asia by Developing NARCI (Northeast Asia Regional Cooperation Index)
2023-10-27
연구자료
국제사회의 성평등 무역규범 도입 현황과 한국의 정책과제
2023-05-06
연구자료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이후 유럽 주요국의 에너지 위기 대응 정책 분석
2023-08-28
연구보고서
한국의 서비스무역 통계 개선 방안 연구
2022-12-30
연구보고서
주요국의 탄소중립과 그린성장전략에 관한 연구: EU, 미국, 중국, 일본을 중심으로
2022-12-30
연구자료
국제사회의 산업부문 탄소중립 추진 동향과 대응방향: 중소기업을 중심으로
2023-05-28
연구보고서
중국 도시의 녹색전환 정책과 시사점
2022-12-30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표시기준 (공공누리, KOGL) 제4유형
대외경제정책연구원의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 금지 +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저작권정책 참조
콘텐츠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