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보고서
발간물
전체보고서
목록으로
중국의 소매유통업이 급속히 발전하고 있다. 본 보고서는 전반적인 중국 유통서비스업의 발전 배경 및 추세에 대해 살펴보고, 소매유통 정책을 관련 제도 및 법규 중심으로 검토하였다. 또한 중국 소매유통의 발전현황에 대해 주요 유통경로 유형별 및 지역별 분포현황으로 나누어 정리하였다. 아울러 우리기업의 진출 현황을 소매유통업체의 진출과 제조업체의 유통망 활용 사례로 나누어 분석했다. 그리고 이상의 내용을 토대로 기업차원의 중국 소매유통시장 진출 방안을 제시함과 동시에 중소기업 진출 유망분야 집중 지원, 중국 지방정부와의 유대강화, 현지 유통경로 구축 지원 등 정부의 진출기업 지원 방안 및 장기적인 중국시장 진출 전략을 제시하였다.
China's retail industry has been growing rapidly since the liberalization of the distribution industry after China became a member of WTO. The increase of consumption due to the growth of disposable income affected the liberalization process as well. In addition, the Chinese government's policies and measures that expanded domestic demand and acceleration of urbanization also facilitated the growth of consumption and retail industry.(The rest is omitted)
서 언
국문요약
제1장 서 론
1. 연구의 배경과 목적
가. 연구의 배경
나. 연구의 목적
2. 기존 연구 검토
3. 연구의 방법 및 구성
가. 연구방법
나. 연구의 구성
제2장 중국 유통서비스업의 현황 및 특징
1. 유통서비스업 개황
2. 유통서비스업 발전 배경 및 지역별 발전 현황
가. 발전 배경
나. 지역별 발전 현황
다. 중국의 도시 등급 분류
3. 주요 소매유통 경로
4. 유통업의 특징 및 발전추세
가. 유통업의 특징
나. 유통업의 발전추세
제3장 중국의 유통산업정책
1. 소매유통업 관련 정책 및 법규
가. 소매유통업 관리 부문 및 제도법규 발전 현황
나. 중국 소매유통업 법규와 정책의 문제점
다. 중국 소매업시장 진출 및 경영 관련 소매유통 법규상 유의점
2. 무점포 소매유통업 관련 정책
가. TV 홈쇼핑
나. 직접 판매
다. 전자상거래
3. 소매유통업의 대외개방 현황과 진입장벽
가. WTO 가입 이전의 소매유통업 개방
나. WTO 가입 이후의 소매유통업 개방
다. 소매유통업 분야의 외국기업 진입장벽
제4장 소매유통 유형별 현황 및 특징
1. 편의점
가. 편의점 현황 및 특성
나. 기업분포 현황
다. 문제점 및 전망
2. 슈퍼마켓
가. 슈퍼마켓 현황 및 특성
나. 슈퍼마켓 기업분포 현황
다. 슈퍼마켓의 문제점과 전망
3. 백화점
가. 현황 및 특성
나. 기업 분포 현황
다. 문제점
4. 전문점
가. 현황 및 특성
나. 기업분포 현황
다. 문제점
5. 브랜드점
가. 브랜드점 발전과정 및 특성
나. 기업분포 현황
6. 무점포 소매유통
가. 중국 무점포 소매업의 개황
나. 유형별 발전 현황
7. 소매유통의 유형별 특징
가. 개관
나. 소매유통 경로의 특징
제5장 주요 도시별 소매업 발전 현황 및 특징
1. 베이징(北京)
가. 소매업 발전 현황
나. 유통업체 분포 현황
2. 상하이(上海)
가. 소매업 발전 현황
나. 유통업체 분포 현황
3. 쓰촨(四川)
가. 소매업 발전 현황
나. 유통업체 분포 현황
4. 충칭(重慶)
가. 소매업 발전 현황
나. 유통업체 분포 현황
5. 광둥(廣東)-광저우, 션전
가. 소매업 현황
나. 유통업체 분포 현황
6. 텐진(天津)
가. 소매업 현황
나. 유통업체 분포 현황
7. 선양(沈阳)
가. 소매업 발전 현황
나. 유통업체 분포 현황
8. 다롄(大連)
가. 소매업 현황
나. 유통업체 분포 현황
9. 도시별 소매업 특징
제6장 한국 소매업 진출 현황 및 제조업체의 활용 현황
1. 소매업 진출 현황
가. 소매업 업종별 진출 현황
나. 소매유통업 진출 사례
2. 한국 제조업체의 소매유통 활용 현황
가. 대리상을 통한 판매
나. 대리상 및 직접판매 이용
다. 다양한 유통채널 활용
라. 2S점(店) 및 4S점(店) 방식
제7장 결 론
1. 요약
가. 유통서비스업 동향과 특징
나. 소매유통 정책 동향
다. 주요 도시별 유통경로
라. 무점포 소매유통의 발전
2. 기업에 대한 시사점
가. 중국의 유통산업정책 관련 시사점
나. 소매유통업체 및 제조업체의 중국 경영 성공요인
다. 소매업체의 진출 방안
라. 제조업체의 유통경로 활용
마. 연구의 한계 및 후속연구
3. 정책적 시사점
가. 정책적 대응의 방향
나. 진출기업에 대한 지원방안
다. 장기적인 전략
참고문헌
Executive Summary
국문요약
제1장 서 론
1. 연구의 배경과 목적
가. 연구의 배경
나. 연구의 목적
2. 기존 연구 검토
3. 연구의 방법 및 구성
가. 연구방법
나. 연구의 구성
제2장 중국 유통서비스업의 현황 및 특징
1. 유통서비스업 개황
2. 유통서비스업 발전 배경 및 지역별 발전 현황
가. 발전 배경
나. 지역별 발전 현황
다. 중국의 도시 등급 분류
3. 주요 소매유통 경로
4. 유통업의 특징 및 발전추세
가. 유통업의 특징
나. 유통업의 발전추세
제3장 중국의 유통산업정책
1. 소매유통업 관련 정책 및 법규
가. 소매유통업 관리 부문 및 제도법규 발전 현황
나. 중국 소매유통업 법규와 정책의 문제점
다. 중국 소매업시장 진출 및 경영 관련 소매유통 법규상 유의점
2. 무점포 소매유통업 관련 정책
가. TV 홈쇼핑
나. 직접 판매
다. 전자상거래
3. 소매유통업의 대외개방 현황과 진입장벽
가. WTO 가입 이전의 소매유통업 개방
나. WTO 가입 이후의 소매유통업 개방
다. 소매유통업 분야의 외국기업 진입장벽
제4장 소매유통 유형별 현황 및 특징
1. 편의점
가. 편의점 현황 및 특성
나. 기업분포 현황
다. 문제점 및 전망
2. 슈퍼마켓
가. 슈퍼마켓 현황 및 특성
나. 슈퍼마켓 기업분포 현황
다. 슈퍼마켓의 문제점과 전망
3. 백화점
가. 현황 및 특성
나. 기업 분포 현황
다. 문제점
4. 전문점
가. 현황 및 특성
나. 기업분포 현황
다. 문제점
5. 브랜드점
가. 브랜드점 발전과정 및 특성
나. 기업분포 현황
6. 무점포 소매유통
가. 중국 무점포 소매업의 개황
나. 유형별 발전 현황
7. 소매유통의 유형별 특징
가. 개관
나. 소매유통 경로의 특징
제5장 주요 도시별 소매업 발전 현황 및 특징
1. 베이징(北京)
가. 소매업 발전 현황
나. 유통업체 분포 현황
2. 상하이(上海)
가. 소매업 발전 현황
나. 유통업체 분포 현황
3. 쓰촨(四川)
가. 소매업 발전 현황
나. 유통업체 분포 현황
4. 충칭(重慶)
가. 소매업 발전 현황
나. 유통업체 분포 현황
5. 광둥(廣東)-광저우, 션전
가. 소매업 현황
나. 유통업체 분포 현황
6. 텐진(天津)
가. 소매업 현황
나. 유통업체 분포 현황
7. 선양(沈阳)
가. 소매업 발전 현황
나. 유통업체 분포 현황
8. 다롄(大連)
가. 소매업 현황
나. 유통업체 분포 현황
9. 도시별 소매업 특징
제6장 한국 소매업 진출 현황 및 제조업체의 활용 현황
1. 소매업 진출 현황
가. 소매업 업종별 진출 현황
나. 소매유통업 진출 사례
2. 한국 제조업체의 소매유통 활용 현황
가. 대리상을 통한 판매
나. 대리상 및 직접판매 이용
다. 다양한 유통채널 활용
라. 2S점(店) 및 4S점(店) 방식
제7장 결 론
1. 요약
가. 유통서비스업 동향과 특징
나. 소매유통 정책 동향
다. 주요 도시별 유통경로
라. 무점포 소매유통의 발전
2. 기업에 대한 시사점
가. 중국의 유통산업정책 관련 시사점
나. 소매유통업체 및 제조업체의 중국 경영 성공요인
다. 소매업체의 진출 방안
라. 제조업체의 유통경로 활용
마. 연구의 한계 및 후속연구
3. 정책적 시사점
가. 정책적 대응의 방향
나. 진출기업에 대한 지원방안
다. 장기적인 전략
참고문헌
Executive Summary
판매정보
분량/크기 | 326 |
---|---|
판매가격 | 12000 원 |
같은 주제의 보고서
기본연구보고서
자국 중심의 경제안보 전략 대응을 위한 프레임워크 구축방안 연구
2024-12-30
기본연구보고서
북미 3개국 주요 산업별 공급망 연계 강화 정책과 시사점
2024-12-30
기본연구보고서
우크라이나 전쟁 이후 중앙아시아 글로벌 가치사슬 변화 전망과 한-중앙아 협력 시사점
2024-12-30
기본연구보고서
한국의 대중남미 통상환경 평가와 정책 과제
2024-12-30
기본연구보고서
EU의 기후중립 전략기술 육성 정책이 글로벌 공급망 재편에 주는 함의
2024-12-30
기본연구보고서
걸프 국가의 아시아 중시 정책과 한국의 대응방안
2024-12-30
기본연구보고서
인도의 국영기업 주도 경제개발전략과 한국-인도 협력 방안
2024-12-31
연구보고서
글로벌 반도체 산업 경쟁력과 공급망 구조 분석
2024-12-27
세계지역전략연구
Exploring Urban Perception on Climate Change in Developing Countries
2024-08-29
기타
2023 KIEP 정책연구 브리핑
2024-06-28
기본연구보고서
해외직접투자가 기업의 지식재산권 확보와 성과에 미치는 영향
2023-12-29
기본연구보고서
대러 경제 제재가 러시아 경제에 미치는 영향과 한-러 경제협력 안정화 방안
2023-12-29
기본연구보고서
글로벌 경제안보 환경변화와 한국의 대응
2023-12-29
중장기통상전략연구
인도의 중장기 통상전략과 한·인도 협력 방안
2023-12-29
중장기통상전략연구
몽골의 중장기 통상전략과 한·몽골 협력 방안
2023-12-29
연구보고서
인도-태평양 전략 추진을 위한 한-태평양도서국 중장기 협력 방안
2023-12-29
기본연구보고서
미중 기술경쟁 시대 중국의 강소기업 육성전략과 시사점
2023-12-29
연구보고서
미중경쟁에 따른 아세안 역내 공급망 재편과 한국의 대응방안
2023-12-29
중장기통상전략연구
남아프리카공화국의 중장기 통상전략과 한·남아공 협력 방안
2023-12-29
연구자료
동티모르의 아세안 가입 지원 및 개발협력 확대 방안
2023-12-29

대외경제정책연구원의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 금지 +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저작권정책 참조
콘텐츠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