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전체보고서

발간물

목록으로
중장기통상전략연구 호주의 중장기 통상전략과 한·호주 협력 방안 경제협력, 국제무역, 무역장벽, 무역정책

저자 김남석, 라미령, 최인아, 신민이, 장한별 발간번호 23-02 자료언어 Korean 발간일 2023.12.29

원문보기(다운로드:1,457) 저자별 보고서 주제별 보고서

본 연구에서는 호주의 중장기 통상전략을 네 개의 분야(공급망 재편, 디지털 무역, 기후변화 대응, 인도·태평양 개발협력)에 초점을 맞춰서 분석하고, 한·호주 협력 확대 방안을 도출한다. 호주의 정책적 대응을 분석하기에 앞서, 호주가 해당 분야에서 직면한 상황을 진단하여 정책적 대응의 배경을 파악한다. 호주의 산업 정책 및 대외 협력 정책에 대한 분석을 기반으로, 한국과 호주 양국이 협력을 확대할 수 있는 방안은 무엇인지에 관하여 논한다.


2020년대 들어 세계는 팬데믹, 강대국 간의 전략 경쟁, 일련의 국가간 무력 충돌 등을 거치면서 공급망 위기와 보호무역주의 확대를 경험하고 있다. 이에 각국은 가치를 공유하거나 동맹 관계에 있는 국가 집단을 중심으로 협력을 확대해 나가는 전략을 수립하고 있다. 한국 역시 자유민주주의적 가치와 시장경제에 대한 이해를 공유하는 호주 등 유사입장국과 경제 연대를 확대함으로써 향후 지정학적 리스크로 인해 악화될 수 있는 대외경제 여건에 탄력적으로 대응 가능한 기반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공급망 재편과 관련하여, 호주는 최근 중국과의 갈등을 계기로 많은 현안을 경험했다. 양국 관계가 악화되면서 통상 분야에서 관세 조치, 수입제한 조치 등이 이어졌다. 중국은 호주의 가장 큰 교역 상대국이었고, 중국 역시 호주와의 교역에 많이 의존하는 품목들이 있었기 때문에, 두 국가 간의 무역 갈등은 역내 공급망 안정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호주는 비록 비교적 신속히 대체 교역처를 찾아 공급망 파트너를 다변화하는 데 성공했지만, 호주정부는 국가 차원의 공급망 관리 시스템과 급변 상황에 대한 대응전략 수립의 필요성을 절실히 체감했다. 이에 호주정부는 대외 협력을 통하여 공급망 안정성을 강화하려는 노력을 꾸준히 기울이고 있다. 호주가 인도, 일본과 형성한 공급망 협력체인 ‘공급사슬 이니셔티브’, 영국과 운영 중인 ‘호주·영국 공동 공급사슬 이니셔티브’, 쿼드를 통한 공급망 협력, 그리고 IPEF 적극 참여를 통해 제조업, 보건·의료, 에너지 자원, 그리고 식량 자원 등에 대해 폭넓은 공급망 협력을 이어오고 있다. 그리고 호주정부는 산업과학자원부 산하에 공급망회복력청을 두고, 각 부처 간의 협업을 조율하여 핵심 품목에 대한 집중 관리 시스템을 구축했다. 특히 향후 핵심 전략 산업의 중요한 원료가 되는 핵심 광물에 대해서는 별도의 국가 전략인 ‘핵심 광물전략’을 2019년, 2022년, 2023년에 걸쳐서 발표했다.


본 보고서는 호주와 한국의 협력 수요를 바탕으로 공급망 조기경보시스템 협력을 고도화하고, 특히 스마트 제조 분야에서 양국이 공급망 시스템을 연계할 것을 제안한다. 아울러 한국의 ‘핵심 광물 확보전략’ 추진의 일환으로, 호주와 핵심 광물 위기대응 소통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핵심 광물 관련 인프라 조성에 있어서 국제 인증, 표준화, ESG, 친환경 채광 기술 등에 대해 양국의 비교우위를 조화시켜 공동 사업을 추진할 필요가 있다.


호주정부는 세계 최고 수준의 민간 부문 디지털 전환 진척을 바탕으로, ‘디지털 경제 전략’과 ‘디지털 무역 전략’을 속도감 있게 추진하고 있다. 호주 당국은 2030년까지 세계 10위 이내의 디지털 경제 및 디지털 사회 진입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이를 위해 양자(quantum) 기술 상업화, 5G 기술 혁신 등을 포함한 복수의 핵심 과제를 발전시키고 있다. 호주의 외교통상부는 ‘디지털 무역 전략’ 고도화를 위해 13개 디지털 무역 규칙을 설정하여 중점 관리하고 있다.


APEC, OECD, G20 등 호주가 이미 디지털 무역 분야에서 리더십을 발휘해 온 역사를 바탕으로, 호주 외교통상부는 앞으로도 디지털 무역 관련 협력 의제를 주도하기 위해 디지털 무역 신분야 협력 추진에 적극적이다.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한국과 호주가 양자 무역협정을 선제적으로 개선하여 다가올 디지털 무역 확대에 대비한 규범을 마련하고, 2025년 한국이 개최할 APEC 등에서의 신규 의제를 상호 조율할 것을 제안한다. 그리고 디지털 무역 국제 표준 설정에 양국이 적극적으로 협력할 것과, 양자 기술 고도화에 있어서 우리의 ‘대한민국 양자과학기술 전략’과 호주의 ‘국가 양자전략’을 연계하여 공동 사업을 추진할 것을 제안한다.


호주정부는 기후변화가 초래하는 사회적·경제적 변화와 함께, 이와 관련한 산업 구조 변화에도 적극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파워링 오스트레일리아’, 「기후변화법 2022」, ‘국가수소전략’ 등의 국가전략을 수립했다. ‘파워링 오스트레일리아’ 전략은 호주정부의 핵심적인 기후변화 대응전략으로, 재생에너지 활용과 온실가스 감축, 관련 산업에서 일자리 창출, 전기요금 부담 완화를 주요 과제로 설정하고 있다. ‘국가수소전략’은 수소 에너지 관련 사업을 향후 호주의 핵심 에너지 산업으로 육성하기 위한 실행 방안 21개를 담고 있다.


국가적 전략에 더해 호주정부는 일본, 독일, 한국 등과 함께 기후변화에 공동으로 대응하기 위한 대외 협력의 범위와 깊이를 확장하고 있다. 한국 역시 호주와 기후변화 대응 협력을 민·관 모두에서 확대시켜 나가고 있다. 2022년 복수의 기후변화 대응 관련 MOU를 체결했고, 한국 기업의 자회사가 호주 퀸즐랜드 주정부의 재정 지원 사업에 선정되기도 했다. 이번 연구는 지금까지의 한국·호주 협력 실적을 바탕으로 수소 부문 협력 강화, 친환경 교통수단 부문 협력 강화, 탄소무역장벽 공동 논의 확대 등을 추진할 것을 제안한다. 특히 수소 부문 협력을 강화하기 위해 수소 도입선 협력 중장기 로드맵 구축, 호주 수소 부문 진출 기업에 대한 지원 강화, 실증사업 재정 지원, 호주 현지 업체 정보 데이터 구축, 관련 품목의 통관 효율화 등이 필요하다.


호주의 최근 개발협력 사업 추진은 호주의 인도·태평양 전략이 명시하는 대외기조를 반영하여, 태평양 도서국들과 동남아시아 국가에 많이 집중되어 있다. 호주의 신개발협력 정책은 태평양 도서국을 가장 우선시하고 있으며, 호주 당국은 ‘2040 동남아시아 경제전략’을 기반으로 동남아 국가들에 대한 민간투자 활성화를 도모하고자 한다. 한국 역시 인도·태평양 전략을 수립하여 추진 중인바, 태평양 도서국과 동남아시아를 대상으로 한 호주의 개발협력 실적은 한국의 개발협력 사업 고도화에 제공하는 시사점이 많다.


본 보고서는 한국·호주 협력을 통해 태평양 도서국에 대한 맞춤형 개발협력 프로그램을 발굴할 것을 제안한다. 그리고 태평양 도서국을 둘러싼 원조 경쟁에 따른 비효율성을 예방하기 위해 공여국 간 조율의 필요성도 강조한다. 한국, 호주, 미국의 3자 채널 차원의 협력이나, 호주가 주도하는 소다자협력 프로그램을 지원하는 방안도 적극 검토할 필요가 있다. 아세안에 대해서는 한국과 호주 양국이 모두 지지하는 아세안의 AOIP 이행을 위해 관련 프로젝트를 공동 지원하는 방안을 고려해 볼 수 있다. 기존의 ‘한국·호주 아세안 고위급 정책대화’에서 발굴된 주요 협력 프로젝트를 발전적으로 계승하여 동남아 인프라 개발, 스마트시티, 사이버·디지털 혁신 분야 등의 신분야 발굴에서도 양국이 협력을 확대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analyzes Australia’s medium-term and long-term trade strategies with a focus on supply chains, digital trade, climate change, and development cooperation. Based on the Australian government’s policy measures in response to these key economic issues, this study derives cooperation plans between Korea and Australia. The authors diagnose the situations Australia faces in these four areas to understand the background of the Australian government’s policy responses. Based on an analysis of Australia’s domestic industrial and international cooperation policies, it discusses ways in which Korea and Australia can expand their cooperation.


In the 2020s, the world has experienced a global outbreak of pandemic, strategic competition among major powers, and a series of armed conflicts between nations, leading to supply chain crises and an expansion of protectionist trade policies. As a result, nations are formulating strategies to expand cooperation, focusing on alliances or groups of nations with shared values. Korea also aims to expand economic solidarity with likeminded countries such as Australia to establish resilience against potential deteriorations in global economic conditions coming from geopolitical risks.


In regard to restructuring of the supply chain, Australia has faced a series of challenges caused by disputes with China. As the trade relations between the two countries deteriorated, retaliatory tariff measures and import restrictions followed. With China being Australia’s largest trading partner, and both countries heavily relying on each other for various products, these trade disputes had a significant impact on the stability of supply chains. While Australia was successful in swiftly diversifying its trade partners, the Australian government recognized the necessity of establishing a national supply chain management system and strategies to adapt to rapid changes in the international economy.


The Australian government consistently endeavors to strengthen the stability of its supply chain through international cooperation. It has fostered extensive supply chain cooperation in manufacturing, healthcare, energy resources, and food resources through initiatives such as the Supply Chain Resilience Initiative with India and Japan, the Australia-UK Joint Supply Chain Resilience Initiative, cooperation within Quad, and active participation in the IPEF. Additionally, the Australian government has established the Office of Supply Chain Resilience under the Department of Industry, Science and Resources to coordinate collaboration among departments. The Australian government also announced the Critical Minerals Strategy in 2019, 2022, and 2023, focusing on critical raw minerals for key strategic industries.


This report proposes enhancing bilateral collaboration between Korea and Australia in supply chain early warning systems. As Korea has launched its own national strategy to secure core minerals, the two nations can engage in stronger communication for the supply and demand of critical raw minerals. The comparative advantages of both countries in international technology certifications, technology standardization, ESG, and eco-friendly mining technology allow joint projects in mineral infrastructures to be promising and productive.


Leveraging one of the world’s most advanced digital transformations proceeding in Australia’s private sectors, the Australian government is promoting its Digital Economy Strategy and Digital Trade Strategy. The nation plans to emerge as a global top ten digital economy and society by 2030, toward which it is engaged in multiple core tasks, including efforts to commercialize quantum technology and 5G technology innovation. In pursuit of advanced digital trade, Australia’s Department of Foreign Affairs and Trade has established 13 digital trade rules to focus its management capacities.


Based on the leadership role it already plays in digital trade at the APEC, OECD, and G20, the Department of Foreign Affairs and Trade remains proactive in leading digital trade-related cooperation agendas. This research proposes upgrading the Korea-Australia bilateral Free Trade Agreement to establish norms for upcoming digital trade expansion and suggests coordinating new agendas for APEC in 2025, hosted by Korea. Additionally, it recommends active cooperation between the two countries in setting international standards for digital trade and collaborating on quantum technology development by aligning Korea’s Quantum Science and Technology Strategy and Australia’s National Quantum Strategy for joint projects.


 To actively respond to societal and economic changes caused by climate change and adapt to structural changes in related industries, the Australian government has formulated national strategies such as Powering Australia, Climate Change Act 2022, and the National Hydrogen Strategy. The Powering Australia strategy is the government’s primary response to climate change, focusing on the utilization of renewable energy sources, reducing greenhouse gas emissions, creating jobs in related industries, and easing electricity cost burdens. The National Hydrogen Strategy encompasses 21 measures to foster hydrogen-related businesses as a core energy industry in the future.


In addition to promoting national strategies, the Australian government is broadening its efforts toward international cooperation for climate change response, aligning with Japan, Germany, Korea, and others. Korea is expanding climate change cooperation with Australia in both governmental and private sectors. In 2022, multiple MOUs related to climate change response were signed, and a Korean firm was selected for financial support from a state government in Australia. Building upon the existing collaborative achievements between Korea and Australia, this study proposes advancing cooperation in the hydrogen sector, enhancing collaboration in eco-friendly transportation, and expanding joint discussions on trade barriers in carbon. Particularly, to strengthen cooperation in the hydrogen sector, there is a need to develop medium- to long-term blueprints for collaboration in hydrogen carrier ships, reinforce support for companies that enter the Australian hydrogen sector, provide financial support for pilot projects, establish local company information databases in Australia, and streamline customs clearance for related products.


Australia’s recent development cooperation initiatives, in line with its Indo-Pacific strategy, have been heavily focused on Pacific Island nations and Southeast Asian nations. Australia’s International Development Policy prioritizes Pacific Island nations, and Australia aims to stimulate private sector investments in Southeast Asian nations based on its Southeast Asia Economic Strategy to 2040. Since Korea is also formulating its own IndoPacific strategy, Australia’s achievements in developmental cooperation targeting Pacific Island nations and Southeast Asian nations provide significant insights for Korea to enhance its development cooperation initiatives.


This report suggests for the Korean government to leverage cooperation with Australia to explore tailored and optimized development cooperation programs for Pacific Island nations. Further emphasis is placed on the need for coordination among donor countries to prevent inefficiencies resulting from aid competition. Exploring promising avenues for trilateral cooperation among Korea, Australia, and the US or supporting Australia-led development cooperation programs should be considered. Regarding ASEAN, exploring options to jointly support relevant projects for implementation of the ASEAN Outlook on the Indo-Pacific (AOIP), already supported by both Korea and Australia, could be considered. Building upon the major cooperative projects identified in the existing multilateral channels between Korea, Australia, and ASEAN, Korea and Australia need to expand cooperation in emerging fields such as Southeast Asian infrastructure development, smart cities, and cyber/digital innovation. 

국문요약


제1장 서론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2. 연구의 구성 및 선행연구와의 차별성

3. 연구 방법론


제2장 공급망 재편

1. 호주·중국 간 무역갈등과 공급망 변화

2. 호주의 공급망 관리전략 분석

3. 호주의 핵심 광물 공급망

4. 한국의 대응방향 및 한·호주 간 협력 방안


제3장 디지털 무역

1. 디지털 무역의 정의와 특성

2. 호주의 디지털 무역 현황

3. 디지털 무역에 대한 호주의 정책 대응

4. 한국의 대응 방향 및 한·호주 간 협력 방안


제4장 기후변화 대응

1. 호주 기후변화 관련 현황

2. 호주의 기후변화 대응 정책

3. 호주의 기후변화 대응 국제협력 동향

4. 한국의 대응 방향 및 한·호주 간 협력 방안


제5장 인도·태평양 개발협력

1. 호주의 원조 정책 기조와 인도·태평양 전략

2. 호주의 개발협력 현황과 주요 정책

3. 호주의 신개발협력 정책과 향후 전망

4. 한국의 대응방향 및 한·호주 협력 방안


제6장 결론 및 시사점

1. 연구 내용 요약

2. 협력 방향 및 시사점


참고문헌


부록


Executive Summary


판매정보

분량/크기, 판매가격
분량/크기 228
판매가격 10,000 원

구매하기 목록

같은 주제의 보고서

세계지역전략연구 Exploring Urban Perception on Climate Change in Developing Countries 2024-08-29 연구보고서 수출규제의 경제적 함의와 글로벌 공급망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2023-12-30 연구보고서 디지털 통상규범의 경제적 효과 추정에 관한 연구 2023-12-29 단행본 2023 KIEP 정책연구 브리핑 2024-06-28 연구보고서 미국의 대중 반도체 수출통제 확대의 경제적 영향과 대응 방안 2023-12-29 연구보고서 대러 경제 제재가 러시아 경제에 미치는 영향과 한-러 경제협력 안정화 방안 2023-12-29 연구보고서 글로벌 경제안보 환경변화와 한국의 대응 2023-12-29 중장기통상전략연구 인도의 중장기 통상전략과 한·인도 협력 방안 2023-12-29 중장기통상전략연구 몽골의 중장기 통상전략과 한·몽골 협력 방안 2023-12-29 연구보고서 인도-태평양 전략 추진을 위한 한-태평양도서국 중장기 협력 방안 2023-12-29 연구보고서 미중 기술경쟁 시대 중국의 강소기업 육성전략과 시사점 2023-12-29 연구보고서 미중경쟁에 따른 아세안 역내 공급망 재편과 한국의 대응방안 2023-12-29 중장기통상전략연구 남아프리카공화국의 중장기 통상전략과 한·남아공 협력 방안 2023-12-29 연구자료 동티모르의 아세안 가입 지원 및 개발협력 확대 방안 2023-12-29 중장기통상전략연구 멕시코의 중장기 통상전략과 한·멕시코 협력 방안 2023-12-29 연구보고서 인도태평양 시대 한ㆍ인도 경제협력의 방향과 과제 2023-12-29 연구보고서 인도 서비스 산업 구조 분석과 한-인도 산업 협력 확대 방안 2023-12-29 연구보고서 유럽 주요국의 경제안보 분야 대중국 전략과 시사점 2023-12-29 연구보고서 중남미 국가의 서비스 시장 개방이 GVC 참여에 미치는 영향과 시사점 2023-12-29 연구보고서 일본의 글로벌 공급망 리스크 관리와 한·일 간 협력방안 연구 2023-12-29
공공누리 OPEN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 출처표시, 상업용금지, 변경금지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표시기준 (공공누리, KOGL) 제4유형

대외경제정책연구원의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 금지 +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저작권정책 참조

콘텐츠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콘텐츠 만족도 조사

0/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