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발간물

목록으로
연구자료 방글라데시 기후변화 영향 분석 및 시사점 경제안보, 경제협력

저자 노윤재, 김민희, 김소은 발간번호 22-06 자료언어 Korean 발간일 2022.12.30

원문보기(다운로드:4,514) 저자별 보고서 주제별 보고서

기후변화는 인류와 생태계의 가장 큰 위협 중 하나로 인식되고 있으며, 방글라데시는 지리적 위치를 고려할 때 기후변화에 가장 취약한 나라 중 하나이다. 기후변화로 인한 폭염과 가뭄, 홍수 등이 빈번해짐에 따라 방글라데시 주민들의 삶이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받고 있다. 다양한 통계자료와 보고서를 토대로 살펴본 방글라데시의 기후변화 취약성에는 기온 상승과 강수 패턴 변화 등 장기간에 걸친 기후변화의 영향뿐만 아니라, 해수면 상승 및 자연재해 증가와 같은 중·단기적 영향도 있다. 방글라데시는 세계에서 가장 큰 삼각주 지형을 형성하고 있고, 전체 면적의 약 70% 이상이 해수면 1m 미만으로 이루어져 있어 홍수와 해수면 상승에 가장 취약한 것으로 보인다. 특히 극단적인 기후변화의 가속화와 홍수 등으로 바닷물이 내륙에 유입되어 방글라데시의 주요 농산물 생산량이 감소하고 식수 공급도 어려워지고 있다. 이에 더해 생계를 잃은 해안가 거주민들이 내륙 도시로 대거 이주함에 따라 도시 슬럼화 등도 새로운 사회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방글라데시 정부도 이러한 문제점을 인지하고 여러 정책적 방향을 제시하고 있다. 방글라데시 정부는 델타 2100, PP2041과 같은 장기 경제개발정책에 기후변화 대응전략을 포함하였으며, 8FYP, ADP 등과 같은 개발정책에서는 수해대응 역량 및 수자원 관리 등을 중점적으로 다루었다. 이 외에도 기후변화 완화 및 적응과 관련된 여러 국가 계획과 이니셔티브를 수립하여 국민의 삶을 위협하는 기후변화에 적극적으로 대응하고 있다. 한편 방글라데시는 기후취약국포럼(CVF)의 의장국으로서 국제사회에서 기후 취약국에 대한 목소리를 높이는 선도 국가 역할을 하고 있기도 하다. 방글라데시는 2030년까지 탄소중립을목표로 지속적으로 기후변화 관련 법과 정책을 시행하고 있다. 또한 방글라데시는 2010년 CVF의 신탁 기금을 설립한 첫 번째 최빈개발국으로서 국제사회에 기후 취약 계층에 대한 금융 지원을 독려하고 있다. 

방글라데시는 2020년 기후변화 공적개발원조(ODA)를 세계에서 인도 다음으로 많이 받은 국가이나, 한국의 대방글라데시 지원은 아직 미미한 실정이다. 방글라데시는 한국의 ODA 중점협력국으로 향후 협력 규모 확대 가능성이 높은 국가이다. 가용한 자원이 상대적으로 한정된 우리나라는 방글라데시에서 ODA 금액을 증가시키기보다는 수원국의 수요와 우리나라의 전문성이 부합하는 사업을 최대한 효율적으로 계획·실시할 필요가 있다. 한국의 대방글라데시 협력 분야 선정 시 방글라데시의 기후변화 대응 노력을 지원하는 방향으로 각 분야에서 협력방안을 도출하는 것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Climate change poses one of the greatest threats to humanity and nature, with Bangladesh recognized as one of the most vulnerable countries due to its geographic location. The lives of Bangladeshi residents are directly or indirectly affected by frequent heat waves, droughts, and floods caused by climate change. Various statistics and studies show that Bangladesh’s vulnerability to climate change is not only affected by long-term changes such as a rise in global temperature and precipitation patterns but also by mid- to short-term changes such as sea-level rise and an increase in natural disasters.

Bangladesh is considered one of the most vulnerable countries to flooding and rising sea levels, as it has the world’s largest delta area and more than 70% of its total land area is less than one meter above sea level. Extreme climate change and flooding are causing a decline in agricultural production in Bangladesh’s major agricultural areas, making it increasingly difficult to secure sufficient supplies of drinking water. Additionally, urban slumming due to excessive migration to inland cities by coastal residents who have lost their livelihoods is emerging as a new social problem.

The Bangladesh government has presented various policy directions to address this situation. It has included climate change response strategies in its long-term economic development policies, such as Delta 2100 and PP2041. Development policies such as 8FYP and ADP focus on flood response capabilities and water resource management. Bangladesh has also established various national plans and initiatives related to climate change mitigation and adaptation to actively respond to the impacts of climate change that threaten the population.

Furthermore, Bangladesh, as the chair of the Climate Vulnerable Countries Forum, is a leading voice in the international community for climate-vulnerable countries. In 2010, Bangladesh became the first least-developed country to establish a trust fund for the Climate Vulnerable Countries Forum, encouraging the international community to provide financial support for climate-vulnerable countries.

Bangladesh was the world’s second-largest recipient of climate change ODA aid in 2020, but there is still room to improve Korea’s support for the nation. Bangladesh is a core partner country for Korea in ODA activities and presents good prospects for expanding the size of cooperation in the future. With relatively limited resources available, Korea needs to plan and implement projects that meet the needs of the recipient country and Korea’s fields of expertise as efficiently as possible. It will also be necessary to derive cooperation measures in each field in the direction of supporting Bangladesh’s efforts to respond to climate change.
국문요약

제1장 서론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2. 연구의 구성과 내용

제2장 기후변화 전망과 분야별 영향 분석
1. 방글라데시 기후변화 특징과 전망
2. 기후변화의 영향

제3장 방글라데시 기후변화 대응정책
1. 국가경제개발정책에서의 기후변화 대응정책
2. 국가기후변화 대응정책
3. 소결

제4장 국제사회의 대방글라데시 기후변화 ODA 지원
1. 방글라데시 기후변화 ODA 현황 및 특징
2. 주요국 및 국제기구의 대방글라데시 기후변화 지원
3. 소결

제5장 결론 및 시사점
1. 결론
2. 협력방안에 대한 시사점

참고문헌

Executive Summary

판매정보

분량/크기, 판매가격
분량/크기 96
판매가격 5,000 원

구매하기 목록

같은 주제의 보고서

세계지역전략연구 Exploring Urban Perception on Climate Change in Developing Countries 2024-08-29 연구보고서 시진핑 시기 중국의 글로벌 영향력 강화 전략 평가와 시사점 2023-12-29 연구보고서 수출규제의 경제적 함의와 글로벌 공급망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2023-12-30 단행본 2023 KIEP 정책연구 브리핑 2024-06-28 단행본 미중갈등과 경제안보: 닉슨-저우언라이 회담록을 통한 교훈 2024-07-30 연구보고서 미국의 대중 반도체 수출통제 확대의 경제적 영향과 대응 방안 2023-12-29 연구보고서 대러 경제 제재가 러시아 경제에 미치는 영향과 한-러 경제협력 안정화 방안 2023-12-29 연구보고서 글로벌 경제안보 환경변화와 한국의 대응 2023-12-29 중장기통상전략연구 인도의 중장기 통상전략과 한·인도 협력 방안 2023-12-29 중장기통상전략연구 몽골의 중장기 통상전략과 한·몽골 협력 방안 2023-12-29 연구보고서 인도-태평양 전략 추진을 위한 한-태평양도서국 중장기 협력 방안 2023-12-29 연구보고서 미중 기술경쟁 시대 중국의 강소기업 육성전략과 시사점 2023-12-29 연구보고서 미중경쟁에 따른 아세안 역내 공급망 재편과 한국의 대응방안 2023-12-29 중장기통상전략연구 남아프리카공화국의 중장기 통상전략과 한·남아공 협력 방안 2023-12-29 연구자료 중국 태양광·BESS 산업의 글로벌 시장 독점화와 주요국 대응 2023-12-29 연구자료 동티모르의 아세안 가입 지원 및 개발협력 확대 방안 2023-12-29 중장기통상전략연구 멕시코의 중장기 통상전략과 한·멕시코 협력 방안 2023-12-29 중장기통상전략연구 호주의 중장기 통상전략과 한·호주 협력 방안 2023-12-29 연구보고서 인도태평양 시대 한ㆍ인도 경제협력의 방향과 과제 2023-12-29 연구보고서 인도 서비스 산업 구조 분석과 한-인도 산업 협력 확대 방안 2023-12-29
공공누리 OPEN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 출처표시, 상업용금지, 변경금지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표시기준 (공공누리, KOGL) 제4유형

대외경제정책연구원의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 금지 +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저작권정책 참조

콘텐츠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콘텐츠 만족도 조사

0/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