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보고서
발간물
전체보고서
목록으로
최근 급증하는 한국과의 무역 증대로 중동 경제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는 가운데 9.11테러사태 이후 중동에 대한 폭넓은 이해가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본 보고서는 이러한 시대적 상황에 맞추어 중동 주요국의 교역 구조와 한국의 대중동 통상확대 전략을 살펴보고 있다. 본 보고서는 먼저 중동 경제의 잠재력과 발전 성과를 평가하고 몇 가지 지표에 의해 중동의 주요국을 선정하였다. 이들 주요국의 교역 구조를 품목별, 국가별로 심층적으로 분석하고 있으며, 한국의 대중동 통상 전략을 유추하기 위하여 다양한 방법론을 동원하여 한-중동 무역 구조 분석을 병행하였다. 그 결과 본 한국의 대중동 통상 전략은 영향력 있는 주요국과의 긴밀한 협조가 필수적이며 UAE와 FTA를 추진할 것 등, 다양한 정책 제언이 제시되고 있다. (생략)
After the 9.11 terror attack, the Middle East, once again, became the center of world attention. It cannot be emphasized enough that peace in the Middle East would have a great impact on the world economy, as the Middle East has played the role of supplying the world with oil and natural gas. Considering the possibility of terrorism by Islamic extremists, people have come to recognize that maintaining peace in the Middle East is deeply related to worldwide peace. (The rest is omitted.)
I. 서 론
II. 중동 경제의 최근 동향
1. 최근 주요 경제 동향
2. 중동의 주요 산업 동향
3. 최근의 경제 개혁 조치
III. 중동 주요국의 무역 구조
1. 중동 주요국의 선정
2. 주요국의 산업 및 무역 구조
IV. 한-중동 교역 구조
1. 한-중동 교역 추이
2. 중력방정식을 이용한 한-중동 교역의 특징 분석
3. 한-중동 주요국의 산업내 무역 분석
4. 한국의 對중동 주요국 품목별 수출 경쟁력 분석
5. 주요국의 통상 장벽
V. 한국의 對중동 통상 확대 방안
1. 통상 확대를 위한 정책적 제언
2. 기타 통상 확대 전략
VI. 요약 및 결론
II. 중동 경제의 최근 동향
1. 최근 주요 경제 동향
2. 중동의 주요 산업 동향
3. 최근의 경제 개혁 조치
III. 중동 주요국의 무역 구조
1. 중동 주요국의 선정
2. 주요국의 산업 및 무역 구조
IV. 한-중동 교역 구조
1. 한-중동 교역 추이
2. 중력방정식을 이용한 한-중동 교역의 특징 분석
3. 한-중동 주요국의 산업내 무역 분석
4. 한국의 對중동 주요국 품목별 수출 경쟁력 분석
5. 주요국의 통상 장벽
V. 한국의 對중동 통상 확대 방안
1. 통상 확대를 위한 정책적 제언
2. 기타 통상 확대 전략
VI. 요약 및 결론
판매정보
분량/크기 | 209 |
---|---|
판매가격 | 7000 원 |
같은 주제의 보고서
연구보고서
디지털 플랫폼의 활용이 중소기업의 국제화에 미치는 영향과 정책 시사점
2021-12-30
중장기통상전략연구
글로벌 보조금 규제의 새로운 현상: 역외보조금·기후변화 보조금·환율보조금
2021-12-30
연구보고서
반덤핑조치의 국제적 확산과 조사기법 다양화의 영향 및 정책시사점
2021-12-30
연구보고서
코로나19 이후 글로벌 가치사슬의 구조 변화와 정책 대응
2021-12-30
연구보고서
신보호주의하에서 미국의 대외경제정책 평가와 방향
2021-12-30
연구보고서
미ㆍ중 갈등시대 중국의 통상전략 변화와 시사점
2021-12-30
연구보고서
제조업 서비스화의 수출경쟁력 제고 효과 연구
2021-12-30
연구보고서
인도의 통상정책 분석과 한-인도 협력 방안
2021-12-30
연구보고서
글로벌 탄소중립 시대의 그린뉴딜 정책과 시사점
2021-12-30
연구보고서
미ㆍ중 갈등시대 일본의 통상 대응 전략
2021-12-30
중국종합연구
RCEP 출범에 따른 공급망 변화와 한중 국제물류에 미치는 영향 비교: 해운·항만 서비스 교역과 공급자 중심으로
2021-12-30
중장기통상전략연구
지역별 중장기 통상전략 및 대외경제 협력 방안
2021-12-31
연구보고서
디지털 전환 시대의 디지털 통상정책 연구
2021-12-30
연구자료
미국과 EU의 농업보조 변화와 정책 시사점
2021-12-30
중장기통상전략연구
미·중 전략경쟁하 WTO 다자체제의 전망과 정책 시사점
2021-12-29
세계지역전략연구
한-인도 CEPA 10년, 우리 중소기업의 성과와 정책 과제
2021-12-30
연구자료
코로나19가 무역에 미치는 영향
2021-12-30
연구자료
탄소국경조정제도(CBAM)에 대한 중소기업 대응방안 연구
2021-12-30
중장기통상전략연구
4차 산업혁명 시대 무역원활화 제고를 위한 싱글윈도우 개선방안 및 시사점
2021-11-25
중장기통상전략연구
FTA가 중소기업의 고용과 혁신에 미치는 영향
2021-09-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