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보고서
발간물
전체보고서
목록으로
1990년 1월부터 본격적으로 시작된 폴란드의 경제개혁은 경제의 안정화를 제1차적인 목표로 하고 장기적으로 시장경제체제로의 전환을 목적으로 하여 광범위한 거시경제정책분야의 개혁을 추진한 결과, 인플레이션의 억제, 균형예산 및 무역흑자의 달성 등 성공적인 성과와 함께 100만 명 이상의 실업자 발생, 공업생산의 25% 하락 등 부정적인 결과도 초래하였다. 산업 및 기업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각종 제도적 개혁조치로서는 보조금의 삭감, 조세제도의 정비, 상업은행의 도입, 독과점 해체 및 규제, 국영기업 및 국유자산의 사유화, 외국인의 직접투자유치를 위한 제도개선 등이 이루어졌다. 이와 같은 거시적/징시적 개혁정책은 기업의 활동과 그 성과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반대로 기업과 개인들은 개혁정책에 민감한 반응을 보이고 있다. 폴란드에 이미 직접투자를 하였거나 앞으로 고려하고 있는 외국기업들은 이와 같은 경제개혁의 추진속도, 범위 및 영향뿐 아니라 외국인투자법을 비롯한 각종 투자유인제도에 특별한 관심을 가지고 있다.
This research assesses reform of the industrial system in Poland to provide a current view and various implications of the business climate of Foreign Direct Investment in transforming Poland. Assessing the status of reform of the industrial system in Poland will also enable us to understand the challenges and policy tasks countries in the region are facing.
The rest of the paper is organized as follows. Section II assesses the performance and task of Poland's economic reform. Section III empirically analyzes the reform of corporate' taxation, finance system and industrial structure. Section IV examines the privatization process of state enterprise since 1990. Section V looks into the current status of FDI in order to attract foreign capital. The strategy for FDI is proposed. Executive summary and concluding remarks are found in the final section.
The rest of the paper is organized as follows. Section II assesses the performance and task of Poland's economic reform. Section III empirically analyzes the reform of corporate' taxation, finance system and industrial structure. Section IV examines the privatization process of state enterprise since 1990. Section V looks into the current status of FDI in order to attract foreign capital. The strategy for FDI is proposed. Executive summary and concluding remarks are found in the final section.
序 言
Ⅰ. 序 論
Ⅱ. 폴란드 經濟改革의 成果와 課題
1. 最近 폴란드 經濟改革의 成果
2. 經濟改革의 企業에 대한 影響
3. 外國人投資 및 企業運營에 대한 制度改革
Ⅲ. 企業關聯 租稅·金融制度 및 産業構造 改革
1. 社會主義 國營企業의 問題點
2. 租稅·金融制度 改革
3. 産業構造 改革
Ⅳ. 國營企業의 私有化
1. 私有化의 槪念 및 意義
2. 폴란드 國營企業의 私有化 方案
3. 私有化 推進 現況
Ⅴ. 外國人 直接投資 誘致制度와 投資現況
1. 直接投資의 意義 및 관련 法規
2. 外國人 直接投資의 現況
3. 外國人 投資企業의 經營特性 및 成果
Ⅵ. 投資與件 및 投資戰略
1. 投資與件 및 評價
2. 産業現況 및 投資有望分野
3. 投資戰略 및 考慮事項
Ⅶ. 要約 및 結論
參考文獻
Ⅰ. 序 論
Ⅱ. 폴란드 經濟改革의 成果와 課題
1. 最近 폴란드 經濟改革의 成果
2. 經濟改革의 企業에 대한 影響
3. 外國人投資 및 企業運營에 대한 制度改革
Ⅲ. 企業關聯 租稅·金融制度 및 産業構造 改革
1. 社會主義 國營企業의 問題點
2. 租稅·金融制度 改革
3. 産業構造 改革
Ⅳ. 國營企業의 私有化
1. 私有化의 槪念 및 意義
2. 폴란드 國營企業의 私有化 方案
3. 私有化 推進 現況
Ⅴ. 外國人 直接投資 誘致制度와 投資現況
1. 直接投資의 意義 및 관련 法規
2. 外國人 直接投資의 現況
3. 外國人 投資企業의 經營特性 및 成果
Ⅵ. 投資與件 및 投資戰略
1. 投資與件 및 評價
2. 産業現況 및 投資有望分野
3. 投資戰略 및 考慮事項
Ⅶ. 要約 및 結論
參考文獻
판매정보
분량/크기 | 200 |
---|---|
판매가격 | 5000 원 |
같은 주제의 보고서
기본연구보고서
일본의 핵심광물자원 확보전략과 한ㆍ일 협력 시사점
2024-12-31
기본연구보고서
한-아프리카 자원 협력을 통한 핵심광물 확보 전략
2024-12-30
중장기통상전략연구
인도의 데이터 거버넌스 분석과 한·인도 협력에 대한 시사점
2024-12-31
기본연구보고서
보호무역정책의 정치경제적 결정요인 연구: 주요국 사례를 중심으로
2024-12-31
기본연구보고서
우크라이나 전쟁 이후 중앙아시아 글로벌 가치사슬 변화 전망과 한-중앙아 협력 시사점
2024-12-30
기본연구보고서
한국의 대중남미 통상환경 평가와 정책 과제
2024-12-30
기본연구보고서
EU의 기후중립 전략기술 육성 정책이 글로벌 공급망 재편에 주는 함의
2024-12-30
기본연구보고서
걸프 국가의 아시아 중시 정책과 한국의 대응방안
2024-12-30
기본연구보고서
인도의 국영기업 주도 경제개발전략과 한국-인도 협력 방안
2024-12-31
연구보고서
글로벌 반도체 산업 경쟁력과 공급망 구조 분석
2024-12-27
연구자료
핵심광물협정의 주요 내용과 정책 시사점
2024-11-08
Working paper
The Recent Rise of the Far Right and Voters’ Anti-Refugee Attitudes in Europe
2024-11-20
중장기통상전략연구
동남아 주요 5개국의 통상전략과 경제성장 경로 : 수출주도성장전략의 평가와 전망
2024-10-11
세계지역전략연구
Exploring Urban Perception on Climate Change in Developing Countries
2024-08-29
기본연구보고서
수출규제의 경제적 함의와 글로벌 공급망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2023-12-30
기본연구보고서
디지털 통상규범의 경제적 효과 추정에 관한 연구
2023-12-29
기타
2023 KIEP 정책연구 브리핑
2024-06-28
기본연구보고서
대러 경제 제재가 러시아 경제에 미치는 영향과 한-러 경제협력 안정화 방안
2023-12-29
기본연구보고서
글로벌 경제안보 환경변화와 한국의 대응
2023-12-29
중장기통상전략연구
인도의 중장기 통상전략과 한·인도 협력 방안
2023-12-29

대외경제정책연구원의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 금지 +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저작권정책 참조
콘텐츠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