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전체보고서

발간물

목록으로
연구보고서 ASEAN 서비스산업 규제 현황과 시사점 경제협력, 무역정책

저자 라미령, 정재완, 신민금, 신민이, 김제국 발간번호 18-23 자료언어 Korean 발간일 2018.12.28

원문보기(다운로드:2,103) 저자별 보고서 주제별 보고서

   현 정부는 미·중 리스크를 줄이고, 교역시장을 다변화하기 위한 전략인 신남방정책을 추진 중에 있다. 한-아세안 간 서비스 교역 활성화를 모색한 본 연구는 구체적 이행방안 마련단계에 있는 신남방정책의 서비스분야 협력 전략에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며, 더 나아가 우리나라 상품·서비스 무역의 안정적인 성장을 위한 정책방향을 제언하고자 한다.
   우리나라의 대아세안 기업 진출이 활성화된 이후, 기진출 기업의 수요에 따라 금융, 물류, 건설, 유통, 렌탈 등 서비스 분야 기업들의 동반 진출이 일어나고 있는 상황이나, 한-아세안 간 서비스 교역을 대상으로 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이는 관련 자료 부족에 기인한 것으로, 아세안과 같은 개도국의 경우 서비스 교역 자료를 확보하기 어려운 실정을 반영한다. 또한 아세안의 서비스규제 관련 연구는 국가별로 그 규제가 상이하거나, 또는 명문화된 규제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가 있어 분석에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본 보고서에서는 자료의 한계와 아세안이 갖는 특수성을 고려하여 통계분석과 실증분석, 관계법령 등 문헌조사, 현지조사 등 다양한 방법론을 활용하여 서비스 교역 및 규제 현황을 분석하였다. 단, 자료의 한계로, 아세안의 최빈개도국인 캄보디아, 라오스, 미얀마와 천연자원 수출국인 브루나이를 분석 대상에서 제외하고 아세안 6개국을 주된 분석 대상으로 한다.
   본 보고서는 2장 1절에서 아세안 경제에서 차지하는 서비스 교역의 비중을 개관하고, 아세안의 서비스 무역현황 및 추이를 살펴보았다. 2절에서는 GVC 관점에서 부가가치 기준의 서비스 교역을 분석하였으며, 3절에서는 서비스통계에 포함되지 않는 유형의 서비스 교역을 보완자료를 활용하여 살펴보았다. 분석결과 전 세계적 추세와 유사하게 아세안-6 경제에서 서비스가 차지하는 비중 및 서비스 교역이 총교역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빠르게 증가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아세안-6의 서비스 교역 증가는 전 세계의 교역추이보다 빠른 증가율을 보이는데, 이러한 증가는 여행, 기타사업, 운송부문의 성장이 주도한 것으로 나타났다. 개별 국가별로는 싱가포르, 태국, 필리핀이 서비스 수출을, 싱가포르, 말레이시아, 필리핀 등이 서비스 수입규모 증가를 주도하였다. 주요국과 아세안-6간 제조·서비스업의 분업관계를 분석한 2절의 연구결과에 의하면, 아세안-5는 최종재 상품 생산 시 중국, 일본, 한국의 중간재, 일본의 서비스에 크게 의존하고 있으나, 한국의 서비스업은 생산과정에 크게 기여하는 바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유사하게 아세안-5의 서비스 또한 한국의 생산과정에 투입되는 정도가 미미한 수준이었다. 한-아세안 간 서비스분야 협력 수준은 여타 국가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것으로 보인다. 3절에서 공급유형별로 한-아세안 서비스 교역 현황을 살펴본 결과, 한국의 대아세안 서비스수출은 주로 Mode 1(국경간 공급)과 Mode 3(상업적 주재) 방식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나타난다. 이렇게 한국의 서비스 부가가치가 아세안-6의 상품 및 서비스 생산에 기여하는 바가 낮은 원인으로 지적될 수 있는 것은 △아세안-6의 서비스 교역 장벽 △한국 서비스산업의 규제 △한국 낮은 비교우위 등이며, 이를 3장과 4장에서 검토하였다.
   3장에서는 한-아세안 간 서비스 교역 제한요인을 살펴보기 위해 아세안 서비스 시장의 개방정도를 살펴보았다. 아세안-6를 중심으로 아세안이 외국인 서비스공급자에 대해 부과하고 있는 주요 규제를 World Bank의 서비스무역 제한지수(STRI: Service Trade Restrictions Index)를 이용하여 정리하였다. 이어 GATS 및 아세안이 역외국·역내국과 맺은 특혜무역협정의 서비스 양허를 분석하여 아세안의 추가 서비스 시장 개방 현황을 살펴보았다. World Bank의 서비스무역제한지수(STRI)를 활용한 분석에 의하면, 2012년 기준 아세안-5의 평균 STRI는 46으로, 고소득 OECD 국가에(평균 20) 비해 높은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아세안의 낮은 소득수준을 감안하더라도 높은 편이다. 국별로는 인도네시아, 필리핀, 태국, 말레이시아, 베트남 순으로 서비스무역규제가 높으며, 세부 서비스 업종 중 전문직서비스 분야의 STRI가 가장 높았다. 운송서비스 중 국제항공여객은 외국인에게 일정 부분 개방하였으나, 국내 도로 및 철도 화물운송은 개방정도가 낮은 것을 알 수 있다. 아세안-6는 서비스 세부 업종에 대해 외국인 지분보유를 전면 허용해 투자진출을 허용하더라도, 당국이 관련 면허발급 관련 규제를 통해 시장진입을 제한하는 경우가 많은 것을 확인하였다. 뿐만 아니라 아세안의 경우 제도적 역량 부족으로 서비스 세부 업종 관련 규제 자체가 부재한 경우가 있는데, 규제가 부재하나 실제로는 많은 업종에서 외자기업 진출이 제한됨을 확인하였다. 
   아세안의 경우 실행규제에 비해 GATS와 DDA 양허가 더 제한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아세안이 맺은 특혜무역협정은 GATS 양허에서 추가개방을 확보한 것으로 평가되나, 실행규제와 양허규제 간 차이를 고려했을 때 실질적인 수준에서의 서비스 시장 추가개방이 이루어졌다고 판단하기는 어렵다. 이 외에 아세안 역내국간 서비스무역자유화 협정인 아세안서비스기본협정(AFAS) 9차 패키지에 의하면 역내 개방수준이 높은 서비스는 교육, 환경, 건설관련 엔지니어링 등이며, 운송, 보건 및 사회, 오락․문화․스포츠 분야가 가장 낮은 것으로 보인다. AFAS 7-8차 패키지는 이미 아세안+1 FTA 보다 높은 수준의 개방을 이끌어 낸 것으로 평가되므로 해당 9차 패키지는 아세안과의 FTA 협상 시 협상목표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4장에서는 아세안의 서비스규제가 한-아세안 간 서비스 교역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모형과 사례분석을 통해 살펴보았다. 자료의 한계로 1절에서 Mode 1~2 유형의 서비스 교역을 대상으로 실증분석을 수행하였으며, 2~3절에서는 사례분석을 통해 Mode 3~4(상업적 주재, 자연인의 이동) 유형의 실질적인 무역장벽을 분석하였다. 1절 실증분석 결과에 의하면 수출국과 수입국의 서비스규제가 서비스수출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공급유형별 서비스 교역간 상관관계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또한 서비스 업종별로 수출국과 수입국의 규제가 교역에 미치는 영향이 다소 상이한 것으로 보인다. 특기할만한 점은 아세안-6의 경우 Mode 1에 대한 규제보다 Mode 3에 대한 규제가 서비스의 국경간 이동을 저해하는 요인으로 유의하게 작용하고 있다는 점이다. 2~3절에서는 베트남의 도소매업과 인도네시아의 금융업을 대상으로 사례분석을 진행하였고, 그 결과 우리나라와 체결한 FTA의 양허가 실행규제보다 개방수준이 높지 않으며, 실행규제 외에도 다양한 형태의 영업상 어려움이 존재함을 확인하였다. 기진출 기업은 규제 밖의 어려움을 겪고 있었는데 △규제 해석의 모호함 △규제를 빌미삼아 위법하지 않은데도 뒷돈을 요구하는 관행 △전문성 이전 의무 등이다. 이는 정부차원의 지원이 필요한 부분으로, 향후 아세안과 같은 개도국을 대상으로 ODA 등을 통해 우리나라 사업환경에 친화적인 규제수립을 지원하는 방안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5장에서는 서비스 전반에 대한 정책방향을 제언하고, 한-아세안 서비스 교역 활성화를 위한 정책방안을 모색하였다. 일반적인 서비스 교역 성장을 위한 방안으로 국내외 서비스장벽 완화, 주요 교역상대국 간 규제 조화 추구, 고부가 서비스산업 육성 및 제조업과의 연계 강화, 서비스통계 구축 등을 제시하였다. 한-아세안 간 서비스 교역 활성화를 위해서 아세안 서비스산업 개방·개혁을 지원, 무역원조(AfT: Aid-for-Trade)를 통한 아세안 역량 강화지원, 한-아세안 FTA 개선협상 추진, 현지 진출기업 협의체를 통한 의견취합 및 반영노력 등을 제시하였다. 서비스분야 협력 증대를 위해서는 보고서에 언급된 바와 같이 제조업과의 연계, 국내 서비스규제 개선노력, ODA를 통한 아세안 서비스산업 역량 지원, 개방·개혁을 지원 등 서비스 교역에 국한된 정책뿐만 아니라 여타 산업정책 및 ODA 정책과 연계된 정책이 요구된다.  
   신남방정책 이행을 위한 구체적인 전략이 마련되고 있는 시점에서 본 연구결과는 서비스분야 협력 방안 마련에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며, 더 나아가 정책방향에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향후 사례분석 대상 범위를 넓혀 서비스산업 전반에 걸쳐 교역제한요인을 분석한다면, 국가별·업종별로 특화된 정책제안이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지속적인 후속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The Korean government is pursuing a New Southern Policy to diversify its trading partners and reduce US-China risk. This study aims to provide policy implications for promoting cooperation in services sector between Korea and ASEAN in line with such New Southern Policy which is at the stage of establishing implementation strategies.
   Since Korean firms have continued to advance into the ASEAN market, the firms in the services sector such as finance, logistics, construction, distribution, and rental, etc., are also entering the market with the demand of incumbent manufacturing firms. However, due to the lack of relevant data, research on the service sector of ASEAN is insufficient. In addition, an analysis of service trade regulations of ASEAN is difficult because there are cases where the regulations of ASEAN member countries are different or even there is no transparent regulation. Therefore, this report try to analyzes the current status of trade in services and restrictiveness of service trade regulations of ASEAN using various methodologies such as statistical and empirical analysis, related law and literature survey, and field studies considering of the limited data sources and the specificity of ASEAN. Throughout the paper, Cambodia, Laos, Myanmar and Brunei are excluded from the analysis, and only six ASEAN countries are analyzed.
   In Chapter 2, We overview the current status and trends of services trade in ASEAN, and then conduct GVC analysis to investigate the indirectly traded content of services being embodied in exported goods. Lastly, we focuses on the services trade on the basis of mode of supply (Mode 1~4) to capture trade volumes which are not accurately identified in the traditional statistics. According to the analysis, service trade in ASEAN-6 economy is increasing rapidly and it seems to increase faster than world trade trends.  This increase comes from the growth of travel, other business activities and transport sector. By country, Singapore, Thailand and the Philippines led the increase in services export, while Singapore, Malaysia and the Philippines led the increase in services import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Section 2, which analyzes the production networks in which ASEAN-6 are involved, ASEAN and Korea rarely depend on each other’s services sector in their production process. In Section 3, we find that Mode 1 (cross-border trade) and Mode 3 (commercial presence) are the major mode of supply of services from Korea to ASEAN.
   The relatively low services trade between Korea and ASEAN seems to come from the following factors: barriers to trade in ASEAN, restrictive service regulation of the Korea, comparative disadvantage of services sector in Korea. To identify the barriers to service trade between Korea and ASEAN rigorously, we first explore the services trade regulation of ASEAN in Chapter 3 using World Bank’s Service Trade Restrictions Index (STRI). According to World Bank’s STRI, the average STRI of ASEAN-5 in 2012 is 46, which is higher than that of high-income OECD countries (average 20) and still high considering the low income level of ASEAN. Indonesia, the Philippines, Thailand, Malaysia, Vietnam were recorded high STRI, and professionals were the highest sector among others. In transport, air transport were relatively open to foreign supplier, but roads and rail freight transport had relatively restrictive policy. However, even if STRI is lower, it is often found that the authorities restrict foreign entry through limited issuance of licenses. For example, even if full foreign ownership is allowed to foreign investors, new license are not being issued. There are no relevant regulation or policy, but in practice entry of foreign firm is not allowed.
   According to the results of Section 2 of Chapter 3, the services trade regulations permitted by the GATS and DDA is more restrictive than the actual trade regime in ASEAN. The preferential trade agreements signed by ASEAN were considered to have gained additional liberalization than GATS, but it is difficult to say that it gained additional opening of the service market in practice considering the “water.” Above this, ASEAN make an effort to achieve higher service trade liberalization through trade agreement among ASEAN member states, AFAS (ASEAN Framework Agreement on Services). According to the 9th package of AFAS (ASEAN Framework Agreement on Services), which is a service trade liberalization agreement among ASEAN member states, the higher level of liberalization has been achieved in educational, environmental, construction and related engineering services, whereas the lower level of opening have occurred in transport, health related and social services, recreational, cultural, and sporting services. Since the 7-8th package of AFAS is considered to provide the highest committment among ASEAN-signed FTAs, the 9th package of AFAS could be used as a target for negotiating or upgrading FTA with ASEAN. 
   In Chapter 4, we examine the effects of services trade regulations on services trade between Korea and ASEAN using empirical models and case studies. In Section 1, we conduct an empirical analysis on the cross-border service trade (Mode 1) and consumption abroad (Mode 2). Empirical results show that the restrictive regulations of importing and exporting countries discourage the trade in services, and the extent of the negative effects of service regulations on trade varies by sectors. Also, cross-border supply (Mode 1) and commercial presence (Mode 3) appears to be substitute in some sectors, but complement in others. Notable thing is that the coefficients on the STRI of Mode 3 has significantly larger magnitude than those on the STRI of Mode 1. In Section 2~3 , we conduct case analysis to identify the actual service trade barriers of Mode 3~4 (commercial presence, movement of natural persons) in wholesale and retail sector of Vietnam and financial sector of Indonesia. According to the results, the level of commitments provided by ASEAN-Korea FTA and Korea-Vietnam FTA is not higher than the currently applied regulations, and it seems that there are various difficulties besides the notified regulations, such as the ambiguity concerning interpretation of regulations, the practice of demanding bribes, and the obligation to transfer expertise, etc. 
   Based on the analyses of trade in services between Korea and ASEAN, and service trade regulations of ASEAN, Chapter 5 explores ways to improve the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of Korean services sector, and strengthen cooperation between Korea-ASEAN in services sector. As presented in the report, we suggests the following recommendations for the growth of trade in services: (ⅰ) making an effort to lower domestic and foreign service trade barriers (ⅱ) seeking to harmonization of regulations with major trading partners of Korea (ⅲ) fostering high value-added services industry (ⅳ) strengthening the linkage between services and manufacturing sectors for efficient functioning of GVC that Korea is involved (ⅴ) building services trade statistics for policy making. Also, we provide the following policy suggestions to strengthen the cooperation of Korea-ASEAN in services sector: (ⅰ) supporting the reform and opening of the ASEAN services industry through Aid-for-Trade (ⅱ) promoting negotiations on upgrading the ASEAN-Korea FTA (ⅲ) collecting the information on difficulties from the business continuously and making effort to reflect the opinions from the consultative groups of business. 

서언


국문요약


제1장 서론
1. 연구배경 및 목적
2. 연구의 범위와 구성
3. 선행연구와의 차별성


제2장 ASEAN과 주요국 간 서비스 무역 현황
1. ASEAN의 서비스 무역
    가. ASEAN 서비스업 개관
    나. ASEAN의 서비스 교역
2. 부가가치 기준 서비스 무역
3. 공급유형별 서비스 무역


제3장 ASEAN의 서비스 제도 및 규제 현황
1. ASEAN 서비스무역제한지수
    가. ASEAN-6의 World Bank STRI 종합지수 비교
    나. ASEAN-6의 서비스 업종별·공급유형별 STRI 비교
    다. ASEAN-6의 서비스 업종별 Mode 3 관련 주요 규제
2. GATS 및 ASEAN+1 FTA를 통한 서비스 시장 개방 현황
    가. GATS를 통한 서비스 자유화 현황
    나. ASEAN+1 FTA를 통한 서비스 시장 추가개방
3. ASEAN 역내 서비스 규제협력 논의 현황
    가. 아세안의 역내 서비스 자유화 주요 내용
    나. 아세안의 역내 서비스 자유화 이행 특징과 전망


제4장 한-ASEAN 간 서비스 무역 저해요인 분석
1. 서비스 교역 결정요인 실증분석
    가. 실증분석 모형과 자료
    나. 분석결과
2. 사례분석: 베트남의 도소매업
    가. 베트남 도소매업 개관
    나. 베트남 도소매업 규제
    다. 베트남의 도소매업: 서비스무역장벽 평가
3. 사례분석: 인도네시아의 금융업
    가. 인도네시아 금융업 개관
    나. 인도네시아 금융업 규제
    다. 인도네시아의 금융업: 서비스 무역장벽 평가


제5장 서비스 부문 정책방향 
1. 서비스 정책방향 제언
2. 한-아세안 서비스 교역 확대를 위한 정책방안
3. 요약 및 결론


참고문헌


부록


Executive Summary 

판매정보

분량/크기, 판매가격
분량/크기 208
판매가격 10,000 원

구매하기 목록

같은 주제의 보고서

연구자료 산업보조금의 글로벌 확산 현황과 시사점 2023-12-29 중국종합연구 한중 탄소중립 협력 활성화 방안 연구 2023-12-29 중국종합연구 2023년 중국종합연구 총서 정책연구과제 요약집 2023-12-29 중국종합연구 탄소중립 시대 중국 동북지역 한중 지역개발 협력방안 : 중국 지린성을 중심으로 2023-12-29 세계지역전략연구 한-인도 해운·항만산업 협력방안 연구 2023-12-29 세계지역전략연구 아세안 주요국의 난민지원정책과 한국에 대한 시사점 2023-12-30 세계지역전략연구 중동·북아프리카 식량위기에 대한 역내 인식과 대응 및 협력방안 2023-12-27 단행본 만화로 보는 세계경제 2023 2023-12-23 세계지역전략연구 사하라이남 아프리카 주요국의 탈탄소 정책과 청정에너지부문 협력 방안 2023-11-29 연구자료 WTO 서비스 국내규제 규범의분석과 시사점 2023-11-24 연구자료 동지중해 천연가스 개발 현황과 한국의 협력 방안 2023-10-20 연구자료 국제사회의 성평등 무역규범 도입 현황과 한국의 정책과제 2023-05-06 연구보고서 경제안보 이슈의 부상과 대외협력 방향 2022-12-30 세계지역전략연구 주요국의 대남아시아 경제협력전략과 정책 시사점: 중국, 일본, 인도를 중심으로 2022-12-30 연구자료 최근 Mega FTA SPS 규범의 국제논의 동향 및 시사점 2023-05-19 연구보고서 미·중 전략 경쟁 시대 글로벌 기업의 대응과 중국진출 한국기업에 대한 시사점 2022-12-30 중장기통상전략연구 일본의 중장기 통상전략과 한·일 협력 방안 2022-12-30 연구보고서 포용적 무역을 위한 국내보완대책의 성과와 시사점 2022-12-30 연구보고서 한국-동남아 가치사슬 안정화를 위한 메콩지역 협력 방안 연구 2022-12-30 중장기통상전략연구 아세안의 중장기 통상전략과 한-아세안 협력 방안 2022-12-30
공공누리 OPEN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 출처표시, 상업용금지, 변경금지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표시기준 (공공누리, KOGL) 제4유형

대외경제정책연구원의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 금지 +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저작권정책 참조

콘텐츠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콘텐츠 만족도 조사

0/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