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전체보고서

발간물

목록으로
연구보고서 한국의 대인도 수출경쟁력과 애로요인 분석 경제협력, 무역정책

저자 조충제, 송영철, 이정미, 윤지현 발간번호 18-15 자료언어 Korean 발간일 2018.12.28

원문보기(다운로드:2,712) 저자별 보고서 주제별 보고서

   2018년 7월 문재인 대통령은 신남방정책의 핵심 파트너 중 하나인 인도 나렌드라 모디(Narendra Modi) 총리와 정상회담에서 양국간 교역목표를 2030년까지 500억 달러로 새로 설정했다. 그러나 한ㆍ인도 교역은 2011년 200억 달러를 돌파한 이후 정체된 상황으로 양국 정상간 합의한 교역 목표액의 원만한 달성을 위해 양국 교역의 정체현상에 대한 보다 심도 깊은 연구가 필요한 시점이다. 본 보고서는 인도와의 교역 중에서도 한국의 대인도 수출정체에 초점을 맞춰 분석했다. 대인도 수출정체 요인을 추정했으며, 우리 기업의 대인도 수출경쟁력 제고를 위한 정책 방향과 과제를 제시했다.
   우선 제1장에서는 선행연구 검토를 통해 우리 기업의 잠재적 대인도 수출정체 요인을 분류해 보았다. 선행연구에서 검토된 다양한 요인들을 우리 기업 입장에서 대인도 수출경쟁력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내부적 요인(경쟁요인)과 기업들이 통제할 수 없는 외부적 요인(순환적 또는 구조적 요인)으로 구분했다. 이 요인을 토대로 제2~4장에서 우리 기업의 대인도 수출정체 요인들을 보다 세밀하고 다각적으로 분석했다.
   제2장에서는 인도의 수입구조와 우리나라의 대인도 수출구조의 변화와 특징을 통해 다음과 같은 대인도 수출정체 요인들을 파악했다. 첫째, 현지생산과 비관세 장벽의 확대이다. 인도정부는 ‘메이크 인 인디아’와 같은 제조업 육성 정책을 통해 현지생산을 도모하며 각종 관세 및 비관세장벽 조치를 펼치고 있다. 이는 인도의 수입을 위축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면서 우리의 대인도 수출에 영향을 미쳤다. 둘째, 중국의 대인도 수출 확대이다. 중국의 인도수입시장점유율 급증은 전기기기, 기계류, 유기화학품, 철강, 플라스틱, 자동차부품 등 우리의 대인도 수출 주력 품목에서 나타나고 있다. 마지막으로 우리나라의 수출역량 부족도 수출정체 요인으로 작용했다. 우리나라의 수출이 인도의 수입 수요를 충분히 따라가지 못하는 품목들은 각종 플라스틱 중합체, 합성고무 제품, 일부 기계류와 전기기기, 자동차 부분품 등으로, 이 가운데 일부는 우리나라의 주력 수출 품목임에도 불구하고 최근 수출경쟁력이 떨어져 다른 국가들의 상품으로 대체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제3장에서는 우리의 주요 세부 수출품목(HS 코드 4단위 기준)을 대상으로 대인도 수출경쟁력 변화와 변화 요인을 보다 자세히 파악해 보았다. 분석결과 인도시장에서 경쟁력이 악화된 다수의 품목은 한국제품의 세계경쟁력 하락과 연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세계경쟁력은 상승하였으나 인도시장에서의 경쟁력이 하락한 품목이 일부 나타났는데, 이러한 품목의 대부분은 중국 요인이 크게 작용한 것으로 분석됐다. 아직 1인당 GDP 2,000달러 미만 수준의 인도시장에서 중국의 가격경쟁력에 밀린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현지화, 일ㆍ인도 CEPA, 비관세 조치 등 또한 우리 제품의 경쟁력 악화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우선 현지화는 자동차부품에 영향을 미쳤는데, 우리 자동차 기업의 현지생산 확대는 자동차부품의 수출경쟁력 하락으로 나타났다. 플라스틱 품목의 경우, 일ㆍ인도 CEPA가 경쟁력 하락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됐다. 인도시장에서 경쟁력이 악화된 플라스틱 품목 모두 일ㆍ인도 CEPA 양허가 한ㆍ인도 CEPA의 양허보다 유리한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유기화학(29) 및 고무(40), 철강(72) 품목의 경우, 인도의 비관세조치가 경쟁력 하락에 일부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제4장에서는 300개 대인도 수출기업의 설문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대인도 수출 감소, 정체의 내ㆍ외부 요인을 파악해보았다. 분석결과 외부적 요인으로는 인도시장 내 과당경쟁과 우리 기업의 경쟁우위 하락 요인이 가장 큰 영향을 미친 것으로 추정됐다. 내부적으로는 기업들의 인도 현지시장 발굴 및 유통판매 네트워크 확보 역량이 부족하거나 기업 자체의 생산성 및 경쟁력 하락, 그리고 현지화로 인해 대인도 수출이 감소, 정체된 것으로 추정됐다. 또한 우리 기업의 저조한 CEPA 활용률과 인식 역시 대인도 수출 감소, 정체에 영향을 미쳤을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분석됐다.
   마지막으로 제5장에서는 앞서 분석한 결과들을 종합해 세부 품목별 대인도 수출 감소, 정체의 요인을 매트릭스로 구조화해 분석 평가하고, 이를 토대로 내ㆍ외부 요인별 수출경쟁력 제고 방향 및 과제를 제시했다. 내부요인에 대한 경쟁력 제고 방향으로는 △인도의 산업, 수요구조 변화에 적극 대응 △로컬기업과의 적극적인 파트너십 구축 △CEPA 활용도 제고를 통한 기업 내부 수출역량 강화를 제시했다. 그리고 외부요인을 해소하기 위해 장기적, 안정적 교역네트워크 구축을 위한 정부간 협력 강화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또 다른 정책 방향으로 △비관세장벽 완화 △CEPA 개선 협의 지속 △현지화, 글로벌 공급사슬을 통한 교역선순환 환경 구축을 제시했다.
   본 연구는 최근 우리나라의 대인도 수출 감소, 정체가 일시적이거나 특정 품목에 국한된 현상이 아닌, 내ㆍ외부의 구조적 요인으로 인해 보다 장기화되거나 고착화될 가능성이 있다는 점을 확인했다. 이러한 점에서 우리 기업과 정부는 대인도 수출경쟁력 제고를 위한 새로운 돌파구를 모색해야 하며, 이를 위해 양적 수출은 물론, 대인도 투자(현지화) 또는 양국 협력사업 등을 통해 교역의 범위와 질적 수준을 제고할 수 있는 수출-투자 선순환 생태계를 시급히 구축할 필요가 있다는 점을 특히 강조했다. 그리고 이를 위한 구체적인 협력 추진방안으로 △‘한ㆍ인도 무역 공동연구ㆍ조사’ 추진 △‘비즈니스 매칭프로그램’ 확대 △‘한ㆍ인도 협력기금’ 조성을 통한 협력사업 구체화 △현지화, GVC 활성화를 위한 ‘한국형 제조업중심 신도시’ 개발 협력을 제시했다. 

   In July 2018, President Moon Jae-in announced the new target of achieving $50 billion in trade between India and Korea by 2030 following a summit meeting with Narendra Modi, the Prime Minister of India. Despite the Korean government naming India as a key partner in line with its New Southern Policy, trade between the two countries has remained stagnant since reaching the $20 billion mark in 2011. As such, this is a timely opportunity for research that can contribute toward attaining the trade target. This study mainly focuses on Korea’s export to India, identifying the factors contributing to export stagnation, and going on to present policy suggestions to enhance Korea’s export competitiveness in the Indian market.
   Chapter 1 introduces the factors that determine stagnation of trade examined in previous studies, which can be classified into internal and external factors. The former category refers to factors that determine intra-company competitiveness, while the latter factors are those beyond the control of individual companies and which can also be explained as cyclical or structural factors. Based on these factors, the following chapters analyze the main factors that are affecting the stagnation of Korea’s export towards India from various perspectives.
   Chapter 2 identifies three noticeable factors behind export downturns based on the changes in the structures of Indian imports and Korea’s exports to India. The first factor is an expansion of local production and non-tariff barriers in India. The government of India is promoting local production by utilizing the “Make in India” campaign and has been implementing various non-tariff barriers which have contributed to a slowdown in Indian imports. Another factor is the massive expansion of China’s export to India. China’s share in the Indian import market has been increasing rapidly, especially in major categories such as electronic devices, machinery, organic chemicals, steel, plastic and automobile parts. Lastly, Korea’s lack of export capacity also seems to have contributed to export stagnation. There are some items in which Korea’s exports are unable to fully meet India’s import demand, including various plastic polymers, synthetic rubber products, some kinds of machinery, electronic devices, and automobile parts. These products are being replaced by goods from other countries, mostly China, and considering that these represent some of Korea’s main export items, the situation is highly critical.
   Chapter 3 examines changes in the export competitiveness of major items that Korea exports to India. Our results indicate that many of the items that show a deterioration in competitiveness within the Indian market bear relation to the decline in global competitiveness of Korean products. Some other items showed a rise in competitiveness in the global market but declined in the Indian market, which largely seems to be due to lower price competitiveness compared to Chinese products. Meanwhile, changes caused by localization, the India-Japan Comprehensive Economic Partnership Agreement (CEPA), and non-tariff measures also seem to have had a negative impact on the competitiveness of Korean goods. For example, the expansion of localization in India has led to a decline in the export competitiveness of Korean automobile parts, and the concession ratio of the Korea-India CEPA, set at a less favorable level to the India-Japan CEPA, has had a negative impact on the competitiveness of Korean plastic goods. Moreover, India’s non-tariff measures partially affected the declining competitiveness in Korean exports of organic chemicals, rubber, and steel.
   Chapter 4 examines the internal and external factors of stagnation in Korean exports to India based on the results of a questionnaire survey conducted on 300 exporting companies. The external factors reported as the most influential were excessive competition in the Indian market and decline of Korean companies’ competitive advantages. On the other hand, the lack of competence in locating the local market and securing distribution and sales networks, the decline in productivity and competitiveness of individual enterprises, and the decline in export due to localization were the major internal factors identified. In addition, the low awareness and utilization of the Korea-India CEPA is also likely to have contributed to Korea’s sluggish export to India.
   Based on the above analyses, Chapter 5 examines the factors of export stagnation for individual items by structuring them into a matrix, and presents policy directions and tasks to enhance export competitiveness for the individual factors. In terms of enhancing competitiveness against internal factors, the results suggest that implementing active response measures to changes in India’s industry and demand structure, establishing active partnerships with local companies, and reinforcing intra-company export capabilities through the utilization of the existing CEPA would be beneficial. Against the external factors, the study emphasizes the necessity of strengthening inter-governmental cooperation to build a long-term, stable trade network. Reducing non-tariff barriers, advancing negotiations for the improvement of the CEPA, and establishing a virtuous cycle of trade through localization and the global value chain (GVC) are also recommended.
   This study confirms that the stagnation of Korea’s export to India is not a temporary phenomenon or limited to specific items, and could become prolonged or even permanent. In this regard, Korean companies and the government need to find new breakthroughs to enhance export competitiveness in the Indian market. To this end, it is imperative to build a virtuous cycle between export and investment that can enhance the scope and quality of trade by increasing investment or localization, and constructing bilateral cooperation projects. In order to develop more specific cooperation plans, the government should promote joint research on Korea-India trade, expand business-matching programs, establish a cooperation fund to support collaborative projects between the two nations, and develop a Korean-style manufacturing city within India to promote localization and GVCs. 

서언


국문요약


제1장 서론
1. 연구배경 및 목적
2. 선행연구 검토
3. 주요 연구내용 및 방법
4. 차별성 및 한계


제2장 인도 수입구조 및 한국의 대인도 수출구조 변화와 특징
1. 인도의 수입구조 변화와 특징
    가. 인도 수입 추이
    나. 유형별 수입 변화
2. 한국의 대인도 수출구조 변화와 특징
    가. 한국의 대인도 수출 추이
    나. 유형별 대인도 수출구조
3. 인도 수입구조와 한국의 대인도 수출구조 비교
    가. 인도의 수입 환경 변화
    나. 대인도 수출경쟁 심화
    다. 인도의 수요 변화
4. 소결


제3장 품목별 수출경쟁력 분석: 무역지수를 중심으로
1. 분석범위 및 방법
    가. 분석범위
    나. 분석방법
2. 품목별 분석
    가. 주요 수출 품목
    나. 수출잠재 품목
3. 소결


제4장 수출 애로요인 분석: 설문 및 현지조사를 중심으로
1. 설문조사 개요
    가. 응답기업 특성
    나. 대인도 수출 평가 및 분류
2. 대인도 수출 애로요인 분석
    가. 대인도 수출 감소, 정체의 외부적 요인
    나. 대인도 수출 감소, 정체의 내부적 요인
3. 소결


제5장 수출경쟁력 제고방안 및 결론
1. 품목별 대인도 수출 감소, 정체요인 평가
2. 요인별 수출경쟁력 제고 방향 및 과제
    가. 기업 내부 수출역량 강화
    나. 장기적ㆍ안정적 교역네트워크 구축을 위한 정부간 협력 강화
3. 과제별 세부추진 방안
    가. ‘한ㆍ인도 무역 공동연구ㆍ조사’ 추진
    나. 한ㆍ인도 ‘비즈니스 매칭프로그램’ 확대
    다. ‘한ㆍ인도 협력기금’ 조성을 통한 협력사업 구체화
    라. 현지화, GVC 활성화를 위한 ‘한국형 제조업중심 신도시’ 개발
4. 결론


참고문헌


부록


Executive Summary 

판매정보

분량/크기, 판매가격
분량/크기 240
판매가격 10000 원

구매하기 목록

같은 주제의 보고서

중장기통상전략연구 동남아 주요 5개국의 통상전략과 경제성장 경로 : 수출주도성장전략의 평가와 전망 2024-10-11 세계지역전략연구 Exploring Urban Perception on Climate Change in Developing Countries 2024-08-29 연구보고서 수출규제의 경제적 함의와 글로벌 공급망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2023-12-30 연구보고서 디지털 통상규범의 경제적 효과 추정에 관한 연구 2023-12-29 단행본 2023 KIEP 정책연구 브리핑 2024-06-28 연구보고서 대러 경제 제재가 러시아 경제에 미치는 영향과 한-러 경제협력 안정화 방안 2023-12-29 연구보고서 글로벌 경제안보 환경변화와 한국의 대응 2023-12-29 중장기통상전략연구 인도의 중장기 통상전략과 한·인도 협력 방안 2023-12-29 중장기통상전략연구 몽골의 중장기 통상전략과 한·몽골 협력 방안 2023-12-29 연구보고서 인도-태평양 전략 추진을 위한 한-태평양도서국 중장기 협력 방안 2023-12-29 연구보고서 미중 기술경쟁 시대 중국의 강소기업 육성전략과 시사점 2023-12-29 연구보고서 미중경쟁에 따른 아세안 역내 공급망 재편과 한국의 대응방안 2023-12-29 중장기통상전략연구 남아프리카공화국의 중장기 통상전략과 한·남아공 협력 방안 2023-12-29 연구자료 동티모르의 아세안 가입 지원 및 개발협력 확대 방안 2023-12-29 중장기통상전략연구 멕시코의 중장기 통상전략과 한·멕시코 협력 방안 2023-12-29 중장기통상전략연구 호주의 중장기 통상전략과 한·호주 협력 방안 2023-12-29 연구보고서 인도태평양 시대 한ㆍ인도 경제협력의 방향과 과제 2023-12-29 연구보고서 인도 서비스 산업 구조 분석과 한-인도 산업 협력 확대 방안 2023-12-29 연구보고서 유럽 주요국의 경제안보 분야 대중국 전략과 시사점 2023-12-29 연구보고서 일본의 글로벌 공급망 리스크 관리와 한·일 간 협력방안 연구 2023-12-29
공공누리 OPEN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 출처표시, 상업용금지, 변경금지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표시기준 (공공누리, KOGL) 제4유형

대외경제정책연구원의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 금지 +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저작권정책 참조

콘텐츠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콘텐츠 만족도 조사

0/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