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전체보고서

발간물

목록으로
연구보고서 뉴노멀 시대 중국의 지역별 혁신전략과 한국의 대응방안 경제협력

저자 정지현, 이상훈, 노수연, 오종혁, 박진희, 이한나, 최재희 발간번호 17-21 자료언어 Korean 발간일 2017.12.27

원문보기(다운로드:2,323) 저자별 보고서 주제별 보고서

  장기간의 고속성장을 통해 G2 반열에 오른 중국은 수출·투자 중심의 기존 성장 모델의 한계를 극복하고 글로벌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하여 혁신이 새로운 성장동력의 원천이라는 판단하에 전면적·전방위적인 혁신전략을 추진하고 있다. 2000년대 중반 과학기술발전을 중심으로 추진되기 시작한 중국의 혁신발전전략은 글로벌 금융위기와 선진국 경기침체 등 대외여건의 변화로 그 필요성 및 중요성이 심화되었고, 혁신전략의 대상범위가 개혁·개방 전략 수준으로 확대 및 구체화되고 있다. 이는 과학기술발전 중심의 혁신전략을 추진함으로써 중국의 혁신역량이 양적으로는 빠르게 성장(R&D 투자규모 2위, 특허출원 수 3위 등)하였으나 질적 수준(R&D/GDP, 기준인구당 삼극특허 및 연구인력 수, 생산기술 개발 및 기술의 산업화 등)은 여전히 저조하다는 판단에 근거한 것이다.
  2016년 공표된 중국의 제13차 5개년 규획과 혁신주도형 발전전략에서 혁신이 중국 발전전략의 핵심가치임을 명시하고 있으며, 2050년 세계적인 과학기술강국을 구축한다는 목표하에 과학기술뿐만 아니라 산업, 제도, 관리, 비즈니스 모델, 문화 등 사회 전 영역의 혁신을 강조하고 있다. 즉 과학기술혁신이 생산기술혁신으로 이어져 산업화·상용화를 통해 경제발전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정부 차원에서 이러한 메커니즘이 작동하는 데 장애가 되는 요인은 제거하고 촉진하는 요인은 적극 지원한다는 것이다. 현재 중국은 이 같은 중장기 혁신발전전략을 국가전략으로 하여 분야별·지역별도 세부 혁신정책을 동시에 추진하고 있다. 중국의 과학기술혁신정책, 제조 2025(제조업혁신), 인터넷플러스(융합혁신), 대중창업·만인혁신(창업정책), 혁신인재육성 등이 대표적인 분야별 정책이며, 이러한 정책기조에 맞추어 중국 각 지역은 현지 경제·산업·자원 등의 특성에 맞는 중장기 혁신발전전략을 수립하고 분야별로 세부 정책을 추진 중이다.
  중국은 한국과 경제적 이해관계가 가장 크며, 기술추격 등을 통한 경쟁관계가 심화되고 있는 국가이기 때문에 중국의 혁신발전전략 추진은 우리에게 새로운 시장진출을 위한 협력기회의 확대인 동시에 한국의 비교우위 및 경쟁력 약화로 인한 진출기회 축소 위험의 가중이라는 양면성을 지닌다. 한편 베이징, 상하이, 선전 등과 같이 혁신발전 수준이 높은 지역은 시장환경이나 제도·절차 등이 비교적 투명하지만 글로벌 기업 등 우수한 기업간 경쟁이 치열하고, 쓰촨, 산시 등은 혁신수준이 상대적으로 낮지만 정부의 적극성 및 정책의지가 강하고 로컬 기업과의 비교우위를 통한 진출여력이 상대적으로 크다는 특징이 있어 중국과의 실질적인 혁신분야 협력에서는 선택과 집중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미래지향적인 혁신 분야에서 협력의 가능성과 성과를 제고하기 위하여 한국과의 혁신협력이 유망한 지역을 선별하고 해당 지역과의 세부 협력 분야 및 방안을 분석하였다. 우선 협력지역의 선별을 위해 현재의 혁신역량을 지역별로 비교·평가하였고, 미래의 혁신발전 가능성을 가늠하고자 지역별 혁신전략과 세부 정책을 분석하였다. 또한 혁신전략의 구조적 특징인 추진 메커니즘 분석을 통해 협력 유망지역을 중심으로 지역별 혁신발전전략의 특징을 분석하였으며, 이를 통해 한국의 대응방안 및 한·중 간 협력방안을 모색하였다.
  제2장에서는 혁신역량을 대표하는 24개 통계를 활용하여 31개 성(省)별로 혁신역량 종합점수를 표준화 방법으로 산출하고, 2011년과 2014년의 종합점수를 비교하여 혁신역량의 변화 추이를 분석하였으며, 기존 한국과의 경제관계를 반영하여 협력 기회나 가능성이 비교적 높은 지역을 일차적으로 선별하였다.
  종합점수가 가장 높은 지역은 베이징으로 2위인 톈진과 3위인 상하이의 종합점수보다 2배에 달하는 혁신역량을 보유 중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뒤이어 장쑤, 저장, 광둥, 산둥, 충칭, 후베이, 쓰촨 등이 상위권에 포함되었다. 한편 2011년과 2014년의 종합점수 차이를 비교해본 결과, 톈진과 저장에 이어 베이징, 상하이 등의 혁신역량이 크게 향상되었으며 하이난, 장시, 랴오닝, 네이멍구 등 지역은 혁신역량이 오히려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혁신역량 수준과 변화속도를 기준으로 지역분포를 분석해보니 베이징, 톈진, 상하이, 저장, 장쑤, 광둥, 충칭, 쓰촨 등이 현재의 혁신역량도 높은 수준이면서 향상 속도도 빠른 지역이며, 안후이, 허난, 광시, 신장, 산시(山西), 헤이룽장, 닝샤, 윈난은 현재 혁신역량은 상대적으로 낮지만 그 수준이 빠르게 상승하고 있는 지역이었다. 이러한 지역별 혁신역량 평가결과를 중심으로, 각 지역의 경제특성과 한국과의 협력관계 등을 고려하여 베이징, 장쑤, 저장, 푸젠, 랴오닝, 충칭, 안후이, 산시(陝西), 광시를 선정하였다.
  제3장에서는 미래의 혁신발전에 중대한 영향을 미치는 혁신환경인 혁신정책을 지역별로 분석·평가한 결과와 제2장에서 지역별 현재 혁신역량을 평가한 결과를 종합하여 주요 지역의 혁신발전 특징을 유형화함으로써 혁신발전이 유망한 지역을 선별하였다. 정책분석을 다층적이고 종합적으로 하기 위하여 각 지역의 혁신발전 총괄전략을 비롯하여 중점·세부 정책인 과학기술혁신 정책과 산업혁신 정책(제조 2025, 인터넷 융합)을 분석하였다. 지역 혁신정책의 우수성을 비교·평가하기 위하여 목표 및 중점 혁신분야의 명확성, 해당 지역 경제·산업 구조와의 적합성(실현가능성), 목표 실현을 위한 추진방안의 구체성, 재정 및 금융 지원방안의 구체성 등을 기준으로 5등급의 평가점수를 적용하였다. 평가한 결과 베이징을 선두로 장쑤 및 저장, 산시 및 충칭이 우수한 편이었으며 랴오닝, 안후이, 푸젠, 광시는 주로 지원방안 및 추진방안의 구체성이 부족하여 상대적으로 낮은 점수에 머물렀다. 이상의 정책평가 결과와 지역별 혁신역량 종합점수를 통합 분석하여 주요 지역의 혁신발전 유형을 파악하였다. 혁신역량(현재)과 혁신정책(미래)이 모두 우수한 지역(베이징, 장쑤, 저장)은 혁신발전이 보다 심화될 전망이며(혁신 심화 지역), 특히 베이징과 같이 다른 지역과 큰 격차를 보이는 우수 지역은 중국의 혁신을 선도할 가능성이 매우 높다(혁신 선도 지역). 또한 현재의 혁신역량은 다소 낮지만 비교적 우수한 혁신정책을 추진하고 있는 충칭, 산시는 혁신발전이 가속화될 가능성이 높은 혁신 유망 지역이다. 반면 혁신역량과 정책우수성이 모두 낮은 푸젠, 안후이, 랴오닝, 광시는 혁신발전이 지속되더라도 혁신 심화 지역과의 격차가 지속될 가능성이 있는 혁신 열위 지역이라고 할 수 있다.
  제4장에서는 혁신발전 유형별로 각 지역의 혁신 메커니즘을 혁신기반, 혁신주체, 혁신촉진을 위한 제도개선 측면에서 파악하였다. 우선 각 지역의 혁신자원 집적, 혁신·첨단 산업의 발전과 구조적 특징, 혁신 클러스터 등을 분석하여 지역별 혁신의 물적 인프라, 즉 혁신기반의 특징과 우위 요인을 파악하였다. 또한 혁신주체(정부, 기업, 대학 및 연구기관) 중 지역의 혁신을 추동하는 주체가 누구이며, 지역별로 혁신주체의 역량을 강화하기 위해 어떠한 노력을 하는지를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혁신주체들의 활발한 혁신활동을 위한 제도 및 정책환경과 그것의 개선 방법을 분석하였다. 혁신 선도 지역인 베이징은 우수 인재를 바탕으로 중국의 첨단기술 공급지 역할을 하면서 성공적 발전 모델이나 제도혁신 성과를 전국으로 파급·확산하고 있다. 과학연구기관과 대학이 베이징의 혁신을 주도하여 과학기술 개방협력을 강화하기 위해 다수 국가와 협력 채널을 구축하고 있으며, 특히 역내기업의 해외시장 개척이나 해외 R&D센터 설립 지원이 활발하다. 혁신 심화지역인 장쑤와 저장은 기업이 혁신을 주도하는 편이며, 장쑤는 응용기술 분야에, 저장은 연구성과의 산업화에 중점을 두고 있다. 또한 장쑤는 도시군 기반의 광역 혁신 클러스터 조성과 지식재산권을 강조하고 있으며, 저장은 민영기업과 인터넷산업이 혁신을 주도하며 과학기술성과전환 유도기금을 통해 혁신을 독려하고 있다. 혁신 유망 지역인 충칭과 산시는 혁신자원을 특정 지역(량장신구 및 시안)에 집중시키고 혁신환경 조성에 대한 정부의 지원을 강화하고 있으며, 자체 혁신역량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해외 R&D 기관과의 협력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
  제5장에서는 이상에서 분석한 중국 주요 지역의 혁신전략 특징을 종합하여 혁신 유형별·지역별 협력방안을 모색하였으며, 한국 정부 및 기업의 대응방안을 제시하였다. 중국 혁신발전의 롤모델인 베이징은 2030년 세계적인 과학기술혁신센터를 구축한다는 목표하에 과학기술 서비스와 스마트 제조, 첨단·ICT 융합 분야 등의 혁신을 주도하고 있으며, 한국과는 인공지능, 줄기세포, 바이오의약, 나노기술, 환경 분야에서 협력과 기술응용·사업화 등 중관춘 자주혁신시범구 중심의 협력이 필요하다. 기업의 혁신역량이 크고 최다 혁신 플랫폼이 집적된 장쑤는 원천혁신보다는 산업화혁신에 집중하면서 제조업 기반 중심의 융복합을 통한 산업고도화와 고부가가치화를 추진하고 있으며, 혁신형 외자기업 및  연구기관의 첨단기술 개발을 장려하고 있어 정보통신, 자동차, 신소재, 바이오의약, 스마트제조, 환경 분야와의 기술협력을 고려할 수 있다. 민간기업이 핵심 혁신주체인 저장은 인터넷 관련 서비스업 중심의 인터넷 융합 혁신 강화, 과학기술 중소기업 육성 및 디지털경제혁신센터 구축을 추진하고 있어 차세대 ICT, 공업 로봇과 스마트 제조장비, 신소재, 신에너지, 자동차, 바이오의약 관련 융합 서비스 및 신산업 등에서 협력이 가능하다. 지식집약적 하이테크 산업의 육성을 통해 혁신역량의 제고를 도모하고 있는 충칭은 과학기술기업·창업 관련 재정·금융 지원 강화, 기업의 R&D 투자 촉진, 인터넷산업 관련 우수 혁신인재 육성 등을 추진 중으로, 혁신자원이 집중된 량장신구를 중심으로 과학기술·인터넷 기업 및 인재 관련 협력기회를 활용할 수 있다.
  중국은 국가 차원의 종합적인 혁신정책, 높은 기술수요, 풍부한 자금력과 거대 내수시장, 안정적인 창업생태계를 기반으로 혁신을 성장동력화하고 있다. 이에 한국 정부는 다양한 특성을 지닌 혁신 협력지역의 선택과 집중을 통한 혁신투자의 효용성 제고, 정부간 협력 플랫폼을 활용한 협력 모델 및 협력사례의 개발 및 확산을 비롯하여 협력 채널의 다양화, 성과 공유(분배) 시스템 구축, 지식재산권 보호 등 혁신분야의 협력기반 강화, 기업산업교육제도 등 자체 혁신경쟁력 강화 등에 주력해야 한다. 또한 중국과 같은 정부 주도의 혁신 모델이 우리 경제의 혁신발전에서 기업의 참여를 유도·확대할 마중물 역할을 할 수 있을지에 대한 검토가 필요하다. 한편 우리 기업은 중국의 다양한 혁신수요를 파악하기 위하여 종합적인 혁신전략과 산업, 기업, 제도 등과 관련된 세부 정책에 대한 모니터링이 필요하며, 정책 수혜가 집중되는 벤처나 우수 혁신 기업에 대한 지분투자, 특허권 수출 등의 새로운 협력방식을 활용할 수 있다. 또한 혁신분야의 협력은 기업간 상호 신뢰관계가 전제되어야 하는 만큼, 한·중 양국 정부간 협력 채널을 기반으로 하는 협력사업에 참여함으로써 초기 리스크를 해소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중국의 다양한 혁신 수요 및 선호에 특화된 전용 상품 및 서비스의 개발·변경, 중국 현지의 비효율성 개선 및 신수요 창출 등을 통한 혁신의 현지화 노력이 필요하다. 

  China, which has grown into the world’s second-greatest economic power through a sustained period of rapid growth, has decided to use innovation as its next growth engine, aiming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its existing growth model that mainly focuses on export and investment and to strengthen its global competitiveness. In the mid-2000s, China's innovation development strategy, which began with a focus on science and technology development, became more and more important due to changes in external conditions such as the global financial crisis and recession in developed countries. 
  In the nation’s 13th Five-Year Plan announced in 2016, which focuses on an innovation-led development strategy, it is stated that innovation is the core value of China's development strategy. The plan is to establish China as a world-class science and technology powerhouse by 2050 through innovation in the industrial sector, policies, management systems, business models, and culture sector. In other words, the government actively supports promotion factors within the economy by eliminating the obstacles to smooth operation of these mechanisms, ensuring that technological innovation leads to innovation in production technology and economic development through industrialization and commercialization. At present, China is pursuing a detailed innovation policy for each sector and region, in line with a mid- to long-term innovation development strategy as its national strategy. China’s science and technology innovation policy, and its Manufacturing 2025 (manufacturing innovation), Internet Plus (convergence innovation) initiatives, as well as programs to promote popular start-ups, global innovation (entrepreneurial policy) and innovation talent cultivation, are representative sector policies. Chinese regions have established mid- to long-term innovation development strategies that are tailored to the characteristics of local economies, industry, and resources, and are pursuing detailed policies in each sector.
  As China is both Korea’s largest economic partner and increasingly a competitor for Korean businesses as it catches up in its technology level, China’s strategy for innovation development offers Korea increasing opportunities for cooperation to enter new markets. These opportunities also have the double-sided nature of increasing risk by reducing opportunities for entry due to weakened competitiveness. On the other hand, regions with high levels of innovative development such as Beijing, Shanghai, and Shenzhen are relatively transparent in terms of their market environment, systems and procedures, but competition between global-level companies is fierce. In the case of Sichuan and Shaanxi, while these regions have relatively low levels of innovation, it will be necessary to select and concentrate in areas for practical innovation cooperation, when considering the government’s aggressive policies and determination to implement its policies in these regions, which will generate a relatively high entry capacity for Korean businesses through their comparative advantage against local companies. As such, this study selects regions where innovation cooperation with Korea is likely to be developed, and analyzes detailed cooperation fields and plans with the relevant regions in order to enhance the possibility and performance of cooperation in the future-oriented field of innovation. In order to identify promising areas for cooperation, we compare and evaluate the current innovation capacity by region and analyze regional innovation strategies and detailed policies to measure the possibility of future innovation development. In addition, by analyzing the mechanism of this innovation, which is a structural feature of the innovation strategy, we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gional innovation development strategies centered on promising regions, through which we propose appropriate countermeasures by Korea and plans to further cooperation between Korea and China.
   In Chapter 2, we compute the total score of innovation competency for each of the 31 provinces using 24 sets of statistics that represent innovation competency. We compare the total scores for 2011 and 2014, and reflect existing economic relations with Korea into the results by first identifying regions with relatively high possibility of cooperation or possibility between the two countries. In Chapter 3, we use the results of our analysis and evaluation of the innovation policy, which determines the environment for innovation and has a significant influence on future innovation development, and the results of the evaluation of current innovation capacity conducted in Chapter 2, to select promising areas for innovation. In order to conduct policy analysis in a multi-layered and comprehensive way, we analyzed China’s technology innovation policy and industrial innovation policy (Manufacturing 2025, Internet convergence), i.e. the main and detailed policies for managing innovation development in each region. In Chapter 4, we examine the innovation mechanisms in each region by their respective types of innovation development, using the categories of innovation base, innovation actor, and policy improvements made to promote innovation. First, by analyzing the development of innovation resources, innovation and high-tech industries in each region, structural characteristics, and innovation clusters, we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innovation infrastructure and the characteristics of innovation base. We also look into the actors driving innovation in each region (government, enterprise, university, research institute), and what kind of efforts are being made to strengthen the competency of innovation by region. Finally, we analyze the institutional and policy environment and ways to improve the innovation activities of innovative entities. Chapter 5 summarizes the characteristics of innovation strategies in the major regions of China, together with an analysis of the characteristics identified above, and explores cooperation plans associated with each type of innovation and region.
  Beijing serves as a role model for China’s innovation development, leading innovation in science and technology services, smart manufacturing, and cutting-edge ICT convergence. The fields of artificial intelligence, stem cell research, bio medicine, nanotechnology and environment are particularly promising areas for cooperation with Korea, as well as the various projects for technology application and commercialization centered on the Chung Kun Chun Innovation Center. The enterprises in Jiangsu show strong innovation capability and possess the largest number of innovation platforms. As a result the region focuses on industrial innovation rather than core innovation, and promotes industrial advancement and high added value through fusion mostly within the manufacturing industry. Technology cooperation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automobiles, new materials, biopharmaceuticals, smart manufacturing, and the environment can be considered. Private enterprises are the primary actors for core innovation in Zhejiang, with these companies pursuing innovation in Internet convergence centered on Internet-related services, the promotion of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in the field of science and technology, together with the establishment of a digital economic innovation center, next- generation ICT, industrial robot and smart manufacturing equipment, new materials, new energy, medicine-related convergence services and new industries. Chongqing, which is promoting innovation capacity through the cultivation of knowledge-intensive high-tech industries, is providing financial and financial support for science and technology enterprises and start-ups, increasing the R&D investment of companies and fostering excellent innovation talents in the Internet industry. It should be possible to utilize cooperation opportunities related to science and technology, Internet companies and talent centering on the Liangjiang New Area.
  China is utilizing innovation as a driver for growth, based on comprehensive national innovation policies, high technology demand, abundant financial power, huge domestic market and a stable start-up ecosystem. Therefore, the Korean government needs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innovation investment by selecting promising areas for innovative cooperation and concentrating in these areas, and by developing and propagating cooperation models and successful cases of cooperation through intergovernmental cooperation platforms and the protection of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These efforts will thus reinforce the competitiveness of enterprises in terms of their innovative capabilities, by expanding platforms for innovative cooperation and supporting self-promoting efforts by the businesses themselves, such as through industrial education systems. In addition, it will be necessary to examine whether the government-led innovation model employed by China can play the role of a primer for inducing or expanding the participation of companies in the innovation development of the Korean economy. In order to understand the various innovation- related demands of China, we need to monitor specific policies related to the comprehensive innovation strategy, industries, companies, and institutions. We also need to invest in venture companies or innovative companies, exporters, and so on. In addition, innovation cooperation should reduce their initial risk by participating in cooperation projects based on bilateral cooperation channels between Korea and China. Lastly, it will be necessary to localize innovation through the development and modification of special products and services specialized in the various demands and preferences of innovation within China, thus improving inefficiency in local areas and generating new demand. 

서 언
 

국문요약


제1장 서론
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2. 선행연구와의 차별성
3. 연구의 구성과 방법


제2장 지역별 혁신역량
1. 혁신역량 평가지표별 지역 현황
  가. 평가지표 선정
  나. 평가지표별 지역 현황
2. 혁신역량 종합평가
  가. 종합평가 방법
  나. 종합평가 결과
3. 주요 지역 선정


제3장 지역혁신정책과 유형화 분석
1. 중국의 혁신정책과 중점 지역 전략
  가. 중국의 혁신정책
  나. 중점 지역의 혁신전략
2. 지역별 과학기술혁신정책
  가. 베이징시
  나. 장쑤성
  다. 저장성
  라. 광둥성
  마. 푸젠성
  바. 랴오닝성
  사. 안후이성
  아. 충칭시
  자. 산시성
  차. 광시자치구
3. 지역별 산업혁신정책
  가. 베이징시
  나. 장쑤성
  다. 저장성
  라. 광둥성
  마. 푸젠성
  바. 랴오닝성
  사. 안후이성
  아. 충칭시
  자. 산시성
  차. 광시자치구
4. 지역 유형화 분석


제4장 유형별 지역혁신 메커니즘
1. 혁신 선도 지역
  가. 베이징시
2. 혁신 심화 지역
  가. 장쑤성
  나. 저장성
3. 혁신 유망 지역
  가. 충칭시
  나. 산시성
4. 혁신 열위 지역
  가. 안후이성
5. 소결


제5장 결론 및 시사점
1. 중국 주요 지역의 혁신전략 특징
  가. 베이징:혁신발전의 롤모델
  나. 장쑤:산업화 혁신을 통한 제조업 고도화
  다. 저장:민간 주도적 인터넷융합 혁신 강화
  라. 충칭:서부 혁신 중심지
  마. 산시:일대일로 혁신센터
  바. 안후이:과학기술혁신 주도 발전
2. 혁신 유형별·지역별 협력방안
  가. 혁신 선도 지역:베이징
  나. 혁신 심화 지역
  다. 혁신 유망 지역
  라. 혁신 열위 지역
3. 한국의 대응방안
  가. 정부의 대응방안
  나. 기업의 대응방안


참고문헌


Executive Summary 

판매정보

분량/크기, 판매가격
분량/크기 318
판매가격 12000 원

구매하기 목록

같은 주제의 보고서

중국종합연구 한중 탄소중립 협력 활성화 방안 연구 2023-12-29 중국종합연구 2023년 중국종합연구 총서 정책연구과제 요약집 2023-12-29 중국종합연구 탄소중립 시대 중국 동북지역 한중 지역개발 협력방안 : 중국 지린성을 중심으로 2023-12-29 세계지역전략연구 한-인도 해운·항만산업 협력방안 연구 2023-12-29 세계지역전략연구 아세안 주요국의 난민지원정책과 한국에 대한 시사점 2023-12-30 세계지역전략연구 중동·북아프리카 식량위기에 대한 역내 인식과 대응 및 협력방안 2023-12-27 단행본 만화로 보는 세계경제 2023 2023-12-23 세계지역전략연구 사하라이남 아프리카 주요국의 탈탄소 정책과 청정에너지부문 협력 방안 2023-11-29 연구자료 동지중해 천연가스 개발 현황과 한국의 협력 방안 2023-10-20 연구보고서 경제안보 이슈의 부상과 대외협력 방향 2022-12-30 세계지역전략연구 주요국의 대남아시아 경제협력전략과 정책 시사점: 중국, 일본, 인도를 중심으로 2022-12-30 연구보고서 미·중 전략 경쟁 시대 글로벌 기업의 대응과 중국진출 한국기업에 대한 시사점 2022-12-30 중장기통상전략연구 일본의 중장기 통상전략과 한·일 협력 방안 2022-12-30 연구보고서 한국-동남아 가치사슬 안정화를 위한 메콩지역 협력 방안 연구 2022-12-30 중장기통상전략연구 아세안의 중장기 통상전략과 한-아세안 협력 방안 2022-12-30 중장기통상전략연구 중국의 중장기 통상전략과 한중 협력 방안 2022-12-30 연구자료 방글라데시 기후변화 영향 분석 및 시사점 2022-12-30 연구보고서 인도의 신·재생에너지 시장 및 정책 분석과 한-인도 협력 방안 2022-12-30 연구보고서 미·중 경쟁 하 중남미의 GVC 참여와 RVC 구축 연구 2022-12-30 세계지역전략연구 한-인도네시아 포괄적 미래 협력 방안 연구 2022-12-30
공공누리 OPEN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 출처표시, 상업용금지, 변경금지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표시기준 (공공누리, KOGL) 제4유형

대외경제정책연구원의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 금지 +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저작권정책 참조

콘텐츠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콘텐츠 만족도 조사

0/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