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전체보고서

발간물

목록으로
ODA 정책연구 인도네시아의 산업분야 개발협력 방안 경제개발, 경제협력

저자 김종일, 윤미경 발간번호 13-09 자료언어 Korean 발간일 2013.12.30

원문보기(다운로드:3,534) 저자별 보고서 주제별 보고서

산업발전은 개도국의 고용창출과 소득증가에서 핵심적인 과제이다. 2010년 서울 G20 회의와 2011년 부산 세계개발원조 총회 등을 통하여 점차 원조효과성과 함께 개발효과성이 부각됨에 따라 산업분야 개발협력은 앞으로 더 많은 관심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 나아가 급속한 산업화를 통하여 성공적인 경제발전을 이룩한 경험이 있는 우리나라에 대해 산업분야 개발협력에서 개도국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배경 아래 본 연구는 우리나라와 경제협력을 강화하고 있는 인도네시아를 분석대상국가로 선정하여 인도네시아에 대한 산업분야 개발협력 현황을 살펴본 후, 그 성과를 평가하여 보았다. 이를 기초로 인도네시아와 추진이 가능한 산업분야 개발협력 프로그램을 제시하여 보았다. 본 연구가 인도네시아를 분석대상으로 선택한 이유는 무엇보다도 인도네시아가 우리나라의 중점지원 대상국으로 지원액 규모에서도 비중이 높은 국가이기 때문이다. 2000년대에 들어서도 우리나라의 인도네시아에 대한 원조 총액은 점차 증가하는 추세이며, 2012년 이후 양국간 포괄적 경제협력사업을 추진하고 있어, 앞으로 양국간의 산업분야 경제협력 가능성이 높다.

제2장에서는 인도네시아의 경제현황과 산업분야 개발계획을 개괄하여 보고, 이를 통하여 인도네시아의 산업분야 개발협력 수요를 가늠하여 보았다. 인도네시아는 아시아 금융위기로 극심한 경제침체를 맞았으며 이로 인해 촉발된 정치적 불안을 겪었으나 2000년대 들어 민주화를 정착시키는 한편 꾸준한 경제성장세를 보여 2012년에는 1인당 GDP 3,500달러 이상을 기록, 중소득국 지위를 확보하였다. 장기적인 성장전망이 밝음에도 불구하고 성장유지를 위해 인도네시아가 극복해야 할 구조적인 문제가 적지 않은데, 사회기반시설 부족, 민간투자와 제조업 부진, 부패문제와 빈부격차 등이 가장 심각한 문제로 제기되고 있다. 본 보고서에서는 주로 민간부문 개발과 산업역량 강화에 초점을 맞추고 있으므로 인도네시아 경제현황을 분석함에서 주로 산업구조와 산업정책, 그리고 산업정책과 관련이 있는 무역정책과 외국인투자 관련 정책 및 민간투자 환경에 대해 살펴보았다.

제3장에서는 인도네시아의 산업분야 개발협력 현황을 살펴보고 우리나라의 협력사업을 분석 평가하여 보았다. 인도네시아는 중진국에 진입했음에도 불구하고 ODA 수원액이 2000년대에 들어 점차 상승하고 있다. 액수 기준으로 주요 공여국은 일본, 호주, 미국, 독일 등인데, 그 중 일본에 비하여 우리나라의 원조규모는 40분의 1 수준밖에 되지 않아 절대적으로 작은 편이다. 하지만 인도네시아는 우리나라 ODA의 네 번째로 큰 수원국이며, 대인도네시아 ODA는 총액에서 최근 10년간 계속 증가하고 있다. 분야별로 보면 거버넌스, 에너지, 보건 분야에 대한 지원이 많은 편이나 양국이 포괄적 경제협력을 추진하는 데도 불구하고 산업분야 ODA는 많지 않은 편이다. CPS에 따르면 인도네시아의 개발수요와 우리나라의 비교우위 및 원조 분업 등을 고려하여 선정한 3대 중점분야는 공공행정, 경제인프라, 환경ㆍ자원 관리이다.

제4장에서는 KOICA, EDCF, KSP, 경제협력사업으로 나누어 우리나라의 대인도네시아 산업분야 개발협력 현황을 살펴보았다. 전반적으로 인도네시아 CPS의 중점사업 구성에서 교육, 보건의료, 지역개발 등 주요 공여국에서 주로 관심을 가지고 지원하고 있는 분야보다 정보통신, 산업에너지 등의 분야에 집중함으로써 우리나라의 비교우위에 기반한 원조의 차별성을 도모하고자 하고 있으나, 지원이 실제적인 유용성과 원조가 도모하는 목적을 달성하는 실효성 측면에서는 사업간 연계가 미흡하고 분절화된 방식으로 이루어져 개선의 여지가 있다고 평가된다. 나아가 이미 상위 중소득국가의 초입에 있는 인도네시아에 무상원조가 계속되어야 하는가에 대한 검토가 필요하다. 유상원조의 경우에는 소규모 시설 건립을 위한 지원을 지양하고 규모화함으로써 실질적인 인프라 구축에 실효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사업으로 방향을 전환해야 할 필요가 있다. 하지만 현재 KOICA가 수행 중인 섬유산업 관련 기술협력사업이나 산업단지 타당성조사사업은 인도네시아 산업역량 강화에 도움이 되는 사업으로 평가된다.

제5장에서는 대인도네시아 산업분야 협력방안을 제안하여 보았다. 네 가지 유망한 산업분야 개발협력 프로그램으로 첫째, 중소기업을 위한 사업개발서비스(BDS) 공급체계 역량 강화 지원, 둘째, 기업의 사회공헌(CRS)활동을 통한 기업협력 프로그램으로서의 글로벌 비즈니스 파트너십 사업, 셋째, 인력도입사업과 연계한 직업훈련의 내실화 지원, 넷째, 산업공단 조성지원사업을 제안하였다. 이러한 네 가지 프로그램도 필요할 경우 상호 연계할 필요가 있으며, 면밀한 사전조사를 통하여 전략적 틀을 구성하고, 이를 통하여 우리나라가 비교우위가 있고 기여할 수 있는 구체적인 산업과 지역을 선정하여 지원사업을 규모화하고 특화할 필요가 있다.

International Cooperation for Industrial Development in Indonesia


Jongil Kim and Mikyung Yun



Industrial development is crucial for creating employment and income growth in developing countries. Since the recognition of the importance of development effectiveness in addition to aid effectiveness at the recent G20 Seoul Summit and Busan High Level Forum on Aid Effectiveness, development cooperation in the field of industrial capability enhancement has received increasing attention from the international development community. As a country which achieved rapid development based on industrial competitiveness, Korea is now facing high demand from developing countries for development cooperation in building industrial capabilities.

Against this background, the present study has selected Indonesia, with which Korea is increasing economic cooperation, for the country case study in order to undertake an analysis of desirable forms of development cooperation in industrial capability enhancement. The study first explores general economic conditions and the level of industrial development in Indonesia, and Indonesia’s Masterplan for development. Then, the study examines how Korean ODA to Indonesia is currently conducted, especially with respect to industrial capability enhancement, and evaluates its performance. On the basis of such analysis, the study proposes possible development cooperation programs between Korea and Indonesia in the field of industrial capability enhancement. The reason for selecting Indonesia as a cases study is that, above all, Indonesia is one of the core countries that has received the largest proportion of Korean ODA. This trend has continued, with the total amount of Korean ODA going to Indonesia increasing even more during the 2000s. Not only that, increasing comprehensive economic cooperation between the two countries after 2012 is brightening the prospects for even greater industrial development cooperation between the two countries in the future.

Chapter 2 looks at Indonesia’s macroeconomic performance in general, explores the level of its industrial development and related policies, and critically examines its overall economic development Masterplan as to appraise Indonesia’s demand for ODA in the field of industrial development. Indonesia has successfully overcome the economic and political crisis caused by the Asian financial crisis, through democratization and sustained growth. It has achieved middle income country status in 2012 when it attained GDP per capita of more than 3,500 dollars. Despite bright prospects for growth in the long run, Indonesia has at present a great deal of structural problems to solve, before turning that prospect into reality. Deficient social infrastructure and private sector development, slow growth of the manufacturing sector and rising economic inequality along with issues of corruption, are among the most serious problems. Since the focus of this study lies in private sector development and strengthening industrial capability, when analysing the Indonesian economy, Chapter 2 devotes most of its effort on understanding the industrial structure and related policies.

In Chapter 3, the study looks at development cooperation in Indonesia in general, and then evaluates the performance of Korean ODA to Indonesia. Although Indonesia has attained middle income country status, ODA to Indonesia showed an increasing trend during the 2000s. Important bilateral donors in terms of total ODA amount are Japan, Australia, US, and Germany. Compared to those countries, Korea’s ODA in terms of absolute size is miniscule, for example, only 1/40th of Japan’s total ODA. Nevertheless, Indonesia is the fourth largest recipient of Korean ODA, and Korea’s share of total ODA going to Indonesia has continued to increase over the past ten years. Governance, energy and health sectors received the most ODA. Despite rising comprehensive economic cooperation between the two countries, development cooperation in the field of industrial sector has been minimal. According to Korea’s CPS for Indonesia, the three fields selected as the core focus of Korean ODA, considering Indonesia’s development needs and Korea’s comparative advantage, are public administration, economic infrastructure and management of environment and natural resources.

Chapter 4 continues with a more detailed study of specific development cooperation projects undertaken in the industrial sector by Korea’s three major ODA organizations: KOICA, EDCF, and KSP. Korean ODA organizations seemed to have specialized by concentrating their projects in the fields of information & telecommunication, and industrial energy, which are believed to be areas where Korea has a competitive edge. However, the strategy of specialization was not fully successful in that each of these projects were small grant aid, unrelated with each other in project substance. Such fragmented character of aid has greatly impaired development effectiveness. Whether Indonesia, already a high middle income country, should continue to receive grant aid predominantly should also come under review. For Korean ODA to become more effective in supporting industrial capability and infrastructure development in Indonesia, Korea must consider increasing the size of its aid in the form of loans, and integrating various small scale industrial projects into a closely-related, sector-based programs. KOICA’s technical cooperation in the textile industry, and industrial park feasibility study, if placed under an overall industrial sector development program, would be promising projects. They point to the right direction in the way of designing appropriate, specific development cooperation projects that can support strengthening the industrial capability of Indonesia.

Chapter 5 proposes new directions for Korea’s development cooperation in the industrial sector by suggesting four promising types of aid programs for industrial sector development: enhancing business development service (BDS) provision for SMEs, building global business partnership programs which embraces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CSR)-related activities to foster cooperation between large and small firms, assisting human resources development through connecting training programs with migrant labor programs, and supporting development of industrial parks. The programs proposed here are only rough schemes, requiring detailed feasibility studies and specific implementation plans or strategies. If the Korean ODA organizations decide to adopt the proposals made here and apply it to specific industrial sectors and regions in Indonesia, appropriate implementation plan for the sector or the region will need to be fully developed. The most important thing is not to lose sight of 1) making use of Korea’s comparative advantage in successfully implementing industrial capability enhancing policies in designing sufficiently specialized programs; 2) merging various small projects into a single, adequately-sized aid, linking loans and grants if necessary; and 3) complying with the overall development Masterplan and specific industrial policies of Indonesia.

국문요약


제1장 서 론
1. 연구 배경 및 목적
2. 연구의 범위

제2장 인도네시아의 경제 현황과 산업분야 개발계획
1. 인도네시아의 거시경제 현황
2. 인도네시아의 산업 구조 및 정책
가. 산업구조
나. 산업정책
다. 중소기업정책
3. 인도네시아의 무역 구조 및 정책
가. 무역구조
나. 한국과의 교역 현황
다. 무역정책
4. 인도네시아의 투자환경
가. 외국인투자 현황
나. 한국기업의 진출 현황
다. 외국인투자정책
라. 투자환경
5. 인도네시아의 중장기 개발계획

제3장 대인도네시아 산업분야 개발협력 현황 및 평가
1. 인도네시아 ODA 수원 현황
2. 주요 공여국과 국제기구의 대인도네시아 ODA 현황과 지원전략
가. 일본
나. 호주
다. 세계은행
라. 아시아개발은행
3. 우리나라의 대인도네시아 ODA 현황과 지원전략
가. 대인도네시아 ODA 현황
나. 우리나라의 대인도네시아 ODA 전략
4. 우리나라의 대인도네시아 산업분야 개발협력 현황
가. 인도네시아 개발협력 전략과 산업분야 개발협력
나. KOICA
다. EDCF
라. KSP
마. 한ㆍ인도네시아 포괄적 경제협력 사업
5. 우리나라의 대인도네시아 산업분야 개발협력 성과 평가
가. 대인도네시아 개발협력에 대한 전반적인 평가
나. 산업분야 개발협력에 대한 평가

제4장 대인도네시아 산업분야 협력방안
1. 인도네시아 산업분야 개발협력 환경
2. 대인도네시아 산업분야 개발협력 프로그램
가. 중소기업을 위한 BDS 공급체계 역량 강화 지원 프로그램
나. CSR 활동을 통한 기업협력 프로그램: 글로벌 비즈니스 파트너십
다. 인력 도입사업과 연계한 직업훈련의 내실화 지원
라. 산업공단 조성 지원

제5장 결 론

참고문헌

부 록

Executive Summary

판매정보

분량/크기, 판매가격
분량/크기 206
판매가격 10000 원

구매하기 목록

같은 주제의 보고서

중국종합연구 한중 탄소중립 협력 활성화 방안 연구 2023-12-29 중국종합연구 2023년 중국종합연구 총서 정책연구과제 요약집 2023-12-29 중국종합연구 탄소중립 시대 중국 동북지역 한중 지역개발 협력방안 : 중국 지린성을 중심으로 2023-12-29 세계지역전략연구 한-인도 해운·항만산업 협력방안 연구 2023-12-29 세계지역전략연구 아세안 주요국의 난민지원정책과 한국에 대한 시사점 2023-12-30 세계지역전략연구 중동·북아프리카 식량위기에 대한 역내 인식과 대응 및 협력방안 2023-12-27 단행본 만화로 보는 세계경제 2023 2023-12-23 세계지역전략연구 사하라이남 아프리카 주요국의 탈탄소 정책과 청정에너지부문 협력 방안 2023-11-29 연구자료 동지중해 천연가스 개발 현황과 한국의 협력 방안 2023-10-20 연구보고서 경제안보 이슈의 부상과 대외협력 방향 2022-12-30 연구보고서 인도의 주별 인구구조 변화가 노동시장과 산업별 고용구조에 미치는 영향 2022-12-30 세계지역전략연구 주요국의 대남아시아 경제협력전략과 정책 시사점: 중국, 일본, 인도를 중심으로 2022-12-30 연구보고서 미·중 전략 경쟁 시대 글로벌 기업의 대응과 중국진출 한국기업에 대한 시사점 2022-12-30 중장기통상전략연구 일본의 중장기 통상전략과 한·일 협력 방안 2022-12-30 연구보고서 한국-동남아 가치사슬 안정화를 위한 메콩지역 협력 방안 연구 2022-12-30 중장기통상전략연구 아세안의 중장기 통상전략과 한-아세안 협력 방안 2022-12-30 중장기통상전략연구 중국의 중장기 통상전략과 한중 협력 방안 2022-12-30 연구자료 방글라데시 기후변화 영향 분석 및 시사점 2022-12-30 연구보고서 인도의 신·재생에너지 시장 및 정책 분석과 한-인도 협력 방안 2022-12-30 연구보고서 미·중 경쟁 하 중남미의 GVC 참여와 RVC 구축 연구 2022-12-30
공공누리 OPEN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 출처표시, 상업용금지, 변경금지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표시기준 (공공누리, KOGL) 제4유형

대외경제정책연구원의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 금지 +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저작권정책 참조

콘텐츠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콘텐츠 만족도 조사

0/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