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전체보고서

발간물

목록으로
연구보고서 한국의 메콩 지역개발 중장기 협력방안: 농업, 인프라 및 인적자원개발을 중심으로 경제개발, 경제협력

저자 김태윤, 정재완, 이재호, 신민금, 박나리 발간번호 12-20 자료언어 Korean 발간일 2012.12.31

원문보기(다운로드:2,006) 저자별 보고서 주제별 보고서

 국경을 통과하여 흐르는 강을 중심으로 이루어지는 지역개발사업은 해당 당사국간 합의뿐만 아니라 국제사회의 공동협력을 필요로 한다. 이는 개발을 추진하는 과정에서 국가간 마찰이 발생할 수 있고, 이를 양 당사국이 서로 해결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메콩(Mekong)’ 지역개발은 강 상류부의 중국과 강 하류지역의 5개 동남아 저개발 국가들이 관여하고 있기 때문에 상호 합의하는 과정이 결코 쉽지 않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개발에 대한 수요가 높기 때문에 상호 협력 및 조정을 통하여 메콩 지역개발을 지속적으로 추진해 왔다.


그동안 다자간 개발기구와 선진 공여국의 지원에 힙입어 하드웨어 측면에서 개발이 진행되어 왔다. 즉 메콩 유역국들은 1992년 ADB가 추진하는 GMS Program에 적극적으로 참여했으며, 이로 인하여 지역의 물리적 인프라를 빠르게 구축하였다. 또한 메콩강위원회(MRC)를 통하여 수자원개발 시 상호 협력 및 조율하는 과정을 거치고 있으며, 메콩연구소(MI)를 통하여 역내 인적자원의 역량을 강화하는 데 주력하였다. 최근에는 메콩 지역간 연계성(connectivity)을 보다 강화하고 인적‧물적 흐름을 보다 촉진시킴으로써 지역발전을 가속화시키고자 상호 노력하고 있다.


지난 2011년 10월 한국은 제1차 한‧메콩 외교장관회의를 통하여 메콩 지역개발에 본격적으로 참여할 것을 선언하였다. 6개 중점협력 분야에서 ASEAN의 연계성 강화, 지속가능한 개발, 인간중심 개발을 적극 고려할 것을 약속하였다. 또한 2012년 7월 한국은 제2차 한‧메콩 외교장관회의를 통하여 몇 가지 시범사업을 추진하기로 하였다. 따라서 향후 한국은 메콩 지역개발에 참여하기 위한 기본전략과 협력방향 및 중장기 협력방안을 수립해야 한다. 본 연구는 이러한 목적에 의하여 시작되었다.
이를 위해 무엇보다도 ‘한국의 메콩 지역개발 참여를 어떻게 바라볼 것인가?’는 대단히 중요한 문제이다. 메콩 유역국으로 불리는 베트남, 캄보디아, 라오스, 미얀마 등은 한국의 중점협력 대상국으로서 이미 상당한 ODA 지원이 이루어지고 있기 때문이다. 즉 단순히 양자협력 차원에서만 바라보게 될 경우 메콩 지역개발은 ODA를 중복해서 지원하는, 일종의 옥상옥(屋上屋)이 되는 것이다.


하지만 메콩 지역개발은 이러한 양자간 협력에서 다자간 협력으로 한국의 개발협력 방식을 한 단계 높이는 것이다. 이는 한국이 OECD의 개발원조위원회(DAC) 회원국이 된 이후 본격적으로 수행하는 첫 번째 다자간 개발협력사업으로도 볼 수 있다. 특히 메콩 지역협력체가 추진하는 다양한 사업에 한국정부와 민간이 공동으로 참여함으로써 한국의 개발역량 잠재력을 크게 높일 수 있다는 특징이 있다.


이러한 메콩 지역개발에 지속적으로 참여하기 위해서는 정부간 협력을 포함하여 민간의 참여가 필요하며, 동시에 민관협력이 가능한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이 필요하다. 중장기적으로는 한국이 메콩 개발 프로그램에 주도적으로 참여하고 동시에 한국의 다자간 개발협력 역량을 강화하는 시스템을 갖추어야 한다. 더 나아가 한국의 개발협력이라는 보다 큰 틀에서 아시아에 대한 개발협력전략을 전반적으로 수립하는 것이 필요하다.


메콩 지역개발에 대한 한국의 중장기 협력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협력방안을 제안한다.
첫째, 현재의 한‧메콩 외교장관회담을 정상회담으로 격상시켜야 한다. 중간 단계로 한‧메콩 경제장관회담을 추진하여 경제 분야의 협력을 보다 강화할 수 있을 것이다. 이는 일본이 2008년 메콩 유역국과 외교장관회담을 가진 이후 경제장관회담 및 정상회담으로 격상한 것을 참고로 할 수 있다.
둘째, 다자협력을 위한 ODA 기반을 구축해야 한다. 메콩 지역개발은 기존의 양자협력에서 메콩 지역협력체를 통한 다자 협력채널을 구축한 것이다. 이러한 협력을 지속적으로 추진하기 위한 다자 ODA 기반을 최대한 빨리 구축해야 할 것이다. 2012년 9월 출범한 범정부 차원의 ‘대(對)아세안 연계성 TF’도 메콩 지역의 연계성 강화에 초점을 둘 것으로 판단된다. 정부가 2015년까지 ODA 규모를 2012년보다 2배 정도 확대하기로 약속하였는바, 이를 적극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셋째, 공여국 및 지역개발 협의체와 지속적인 협력사업을 추진해야 한다. 다양한 협의체별로 그 특성을 파악하고 주요 공여국의 전략을 검토한 후, 한국의 중점협력 분야에서 이들과 조화로운 협력을 추구해야 한다. 경우에 따라서는 협력사업을 주도하고, 이미 형성되어 있는 다양한 네트워크를 적극 활용해야 한다. 이는 장기적으로 한국의 개발역량을 강화하는 데 크게 기여할 것이다.
넷째, 한국의 메콩 지역개발사업 추진을 위한 행동계획(action plan)을 수립해야 한다. 6개 중점협력 분야별로 추진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를 추진하는 과정에서 가칭 ‘한국특별펀드(KSF)’를 조성하여 초기 타당성 조사에서부터 이 자금이 활용되는 방안을 강구해야 한다. 이는 정보를 축적함과 동시에 한국기업에 사업기회를 제공하기 때문이다. 또한 민관협력 프로그램을 통하여 민간의 참여를 적극 유도해야 한다. 이를 위해 다양한 방식(예: 민관 파트너십 구축)에 대한 분석이 필요하다. 민간의 교류를 촉진하기 위하여 ‘한‧메콩 비즈니스 포럼’을 지속적으로 추진하고 많은 중소기업들이 해당 사업에 참여하도록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도 필요하다.

  A regional cooperation project centered on a long riverway passing through several nations, in addition to ensuring agreement between the nations involved, requires cooperation from the international community as a whole. This is because of potential friction that may inevitably arise during the course of such a project; types of friction that the states involved may not be able to resolve on their own. The Mekong’s upper reaches located in China, and five developing nations of Southeast Asia sharing its middle and downstream sections, and this has made mutual agreement quite difficult. But due to the high and vocal demand for development in the region, the actors have continued to make adjust their positions accordingly and cooperate with each other in spite of the difficulties involved in developing the Mekong region.
Support from multilateral development agencies and advanced nations have kept development moving forward up to this point, in terms of hardware infrastructure. Nations in the region have been active participants in the ADB-sponsored GMS program that began in 1992, which resulted in rapid build-up of physical infrastructure in the region. They are also cooperating  through the Mekong River Commission for projects to develop the Mekong’s water resources, and also bolster human capital in the region through the Mekong Institute. Connectivity between different regions around the Mekong have been strengthened recently, to promote the flow of people and materials that would expedite development in the region.
In October of 2011, Korea announced its intentions for earnest participation in the development of the Mekong region through the First Korea-Mekong Foreign Ministers’ Meeting. During the meeting, Korea pledged active consideration to increased connectivity with ASEAN, sustainable development, and human-oriented development in six major issue areas. Korea also announced it would pursue several pilot projects at the Second Korea-Mekong Foreign Ministers’ Meeting in July of 2012. At this point, Korea must formulate a basic strategy, direction of cooperation and measures for mid-to-long term cooperation in participating in the regional development.
In this regard, the question of how we should look at Korea’s participation in the development of the Mekong region is an important one. Countries comprising the region including Vietnam, Cambodia, Laos, and Myanmar are already major cooperative partners receiving significant ODA from Korea. This means that if viewed solely from a bilateral standpoint, Korean involvement in these development efforts would create much overlap with pre-existing ODAs and would be, in essence, simple repetition.
However, the development of the Mekong region is actually a level-up, from bilateral to multilateral cooperation. The claim could be made that it constitutes Korea’s first multilateral development project after Korea became a member of the OECD DAC. It should be noted that the Korean government and the private sector will be involved together in various projects pursued by the Mekong regional bodies, which will serve to enhance Korea’s potential capacity with respect to development.
In order to ensure continued development, private sector participation is indispensable along with cooperation between governments, for which programs that enable public-private partnerships must be created. In the middle to long term, Korea should take a leading role in the Mekong development and come up with a system that would strengthen Korea’s capacity for multilateral development cooperation. Moreover, the strategy for development cooperation in Asia must be established from the larger framework of Korean development cooperation.
This research thus proposes the following measures for cooperation, with respect to creating overall plans for Korea in developing Mekong region.
First, the Korea-Mekong foreign ministers meeting must be elevated to summits, while simultaneously organizing economic ministers’ meetings as an intermediate phase to enhance economic cooperation. Following its foreign ministers’ meetings with the Mekong region countries in 2008, Japan subsequently  elevated it to a meeting of economic ministers and eventually summits, which could serve as a point of reference.
Second, an ODA base for multilateral cooperation must be established. The Mekong Sub-regional Development was made possible by converting previously bilateral cooperative relationships into a multilateral channels for cooperation. A firm foundation in the form of multilateral ODAs is vitally necessary for the continuation of such multilateral cooperation. The government-wide ASEAN Connectivity Task Force that was launched on September 2012 will focus on strengthening the connection between Korea and countries in the Mekong region. The Korean government ODA, set to be doubled by 2015 (relative to 2012), could be put to active use for the endeavor.
Third, all efforts should be expended for keeping the cooperation with donor states and regional cooperative organizations moving. The nature of each organization must be assessed and understood as well as the strategies of major donor states, to ensure amicable cooperation with those organizations/states. Korea should also seek to take leads in certain projects, circumstances permitting, and must not shrink from taking advantage of diverse, pre-existing networks. This would contribute immensely to enhancing Korea’s capacity for development in the long term.
Fourth, formulating an action plan for Korean engagement in development projects in the Mekong region is necessary. These engagements should take place separately in the six major areas of cooperation, instead of in an overarching manner. As these projects move forward, the so-called Korea Special Fund needs to be set up, so that Korea can evaluate, from the earliest stages (feasibility studies), how those funds should be spent. This allows an accumulation of data as well as provide opportunities for Korean corporations. Also, the participation of the private sector should be encouraged by establishing joint public-private programs, which would include public-private partnerships (PPPs) and other diverse formats. To further stimulate exchange in the private sector, the ‘Korea-Mekong Business Forum’ should continue to be organized. Last but not least, a system should be arranged in a manner that would bring in more small and mid-size businesses into the fold.

서언 


국문요약 


약어 표기
 
제1장 서 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가. 연구 필요성 
나. 연구 목적 
2. 기존 연구 검토 
3. 연구방법 및 구성 
4. 연구의 한계 및 향후 연구 방향 


제2장 메콩 지역의 개발수요 분석  3
1. 메콩 지역개발의 의의 
2. 국별 개발수요 
가. 태국: 수자원개발 수요 
나. 캄보디아: 농업, 교통인프라 및 인적자원개발 수요 
다. 라오스: 농업, 인프라 및 수자원개발 수요 
라. 미얀마: 물류 및 전력 인프라 수요 
마. 베트남: 수송인프라 및 인적자원개발 수요 
바. 메콩 유역국의 분야별 비교 
3. 지역개발 협력체별 개발수요 
가. GMS Program과 ACMECS 
나. ASEAN 연계성 강화와 AMBDC 및 IAI 
다. 메콩연구소와 메콩강위원회 
라. 지역개발 협력체의 분야별 비교 


제3장 주요국의 메콩 지역개발 협력전략과 시사점 
1. 일본: 인프라 개발과 연계성 중심의 종합지원 
가. 최근의 주요 대메콩 지역개발협력 정책 
나. 메콩 지역개발 협력에 대한 ODA 정책 
다. 일본의 전략 
라. 시사점 
2. 중국: 인프라 개발 중심의 독자적인 대외원조 
가. 중국의 대메콩 개발협력전략 
나. 중국의 대메콩 중점협력 분야 
다. 시사점 
3. 미국: 대아시아 외교 강화 
가. 미국의 대메콩 개발협력 현황과 특징 
나. 미국의 대메콩 개발협력전략 
다. 시사점 
4. 유럽: 수혜국 수요를 우선시한 체계적인 개발협력 
가. 유럽의 대메콩 개발협력전략 
나. 유럽의 대메콩 중점협력 분야 
다. 시사점 
5. 호주: 빈곤감소와 지속가능한 성장 중심 
가. 호주의 대메콩 협력전략 
나. 중점협력 분야 및 대표 프로젝트 
다. 호주의 대메콩 개발협력 시사점 
6. 주요국의 분야별 비교 


제4장 한국의 메콩 지역개발 협력 현황과 평가 
1. 한국의 메콩 지역개발 투자 및 협력 현황 
가. 한국의 대메콩 유역국 직접투자 현황 
나. 한국의 대메콩 유역국 유·무상 원조 현황 
2. 한국의 메콩 지역개발에 대한 평가 
가. 다자간 개발협력사업 참여의 출발점 
나. 민간의 협력 필요 
다. 인적자원개발 및 인프라 분야에 대한 무상원조 집중 
라. 인프라 분야에 대한 유상원조 집중 
마. 베트남에 대한 중점 지원 
바. 다양한 방식의 삼각협력 추진 
사. 미얀마와의 협력채널 구축 


제5장 한국의 메콩 지역개발 중장기 협력방안 
1. 기본 방향 
2. 민간의 분야별 협력수요 
가. 설문조사 개요 
나. 분야별 협력수요 
3. 정부의 중장기 협력방안 
가. 정부의 협력 메커니즘 강화 
나. 다자협력을 위한 ODA 기반 구축 
다. 공여국 및 지역개발 협의체와의 협력 추진 
라. 분야별 행동계획 수립 


제6장 결 론 


참고문헌 


부록  
부록 1.  현지기업 설문조사지(캄보디아) 
부록 1-1. 캄보디아의 국가개발계획 주요 내용 
부록 1-2. 라오스의 국가개발계획 주요 내용 
부록 1-3. 미얀마의 국가개발계획 주요 내용 
부록 1-4. 베트남의 국가개발계획 주요 내용 
부록 1-5. 태국의 국가개발계획 주요 내용 
부록 2.  추진기관별 메콩 지역개발 프로그램의 주요 사업 분야 
부록 3.  캄보디아의 개발수요 
부록 4.  Cao Lanh 교량 지도 
부록 5.  대메콩 관련부처 사업 현황 


Executive Summary

판매정보

분량/크기, 판매가격
분량/크기 256
판매가격 10000 원

구매하기 목록

같은 주제의 보고서

중국종합연구 한중 탄소중립 협력 활성화 방안 연구 2023-12-29 중국종합연구 2023년 중국종합연구 총서 정책연구과제 요약집 2023-12-29 중국종합연구 탄소중립 시대 중국 동북지역 한중 지역개발 협력방안 : 중국 지린성을 중심으로 2023-12-29 세계지역전략연구 한-인도 해운·항만산업 협력방안 연구 2023-12-29 세계지역전략연구 아세안 주요국의 난민지원정책과 한국에 대한 시사점 2023-12-30 세계지역전략연구 중동·북아프리카 식량위기에 대한 역내 인식과 대응 및 협력방안 2023-12-27 단행본 만화로 보는 세계경제 2023 2023-12-23 세계지역전략연구 사하라이남 아프리카 주요국의 탈탄소 정책과 청정에너지부문 협력 방안 2023-11-29 연구자료 동지중해 천연가스 개발 현황과 한국의 협력 방안 2023-10-20 연구보고서 경제안보 이슈의 부상과 대외협력 방향 2022-12-30 연구보고서 인도의 주별 인구구조 변화가 노동시장과 산업별 고용구조에 미치는 영향 2022-12-30 세계지역전략연구 주요국의 대남아시아 경제협력전략과 정책 시사점: 중국, 일본, 인도를 중심으로 2022-12-30 연구보고서 미·중 전략 경쟁 시대 글로벌 기업의 대응과 중국진출 한국기업에 대한 시사점 2022-12-30 중장기통상전략연구 일본의 중장기 통상전략과 한·일 협력 방안 2022-12-30 연구보고서 한국-동남아 가치사슬 안정화를 위한 메콩지역 협력 방안 연구 2022-12-30 중장기통상전략연구 아세안의 중장기 통상전략과 한-아세안 협력 방안 2022-12-30 중장기통상전략연구 중국의 중장기 통상전략과 한중 협력 방안 2022-12-30 연구자료 방글라데시 기후변화 영향 분석 및 시사점 2022-12-30 연구보고서 인도의 신·재생에너지 시장 및 정책 분석과 한-인도 협력 방안 2022-12-30 연구보고서 미·중 경쟁 하 중남미의 GVC 참여와 RVC 구축 연구 2022-12-30
공공누리 OPEN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 출처표시, 상업용금지, 변경금지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표시기준 (공공누리, KOGL) 제4유형

대외경제정책연구원의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 금지 +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저작권정책 참조

콘텐츠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콘텐츠 만족도 조사

0/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