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전체보고서

발간물

목록으로
ODA 정책연구 중남미의 개발수요와 한국의 분야별 ODA 추진방안 경제개발, 경제협력

저자 권기수, 김진오, 박미숙, 이주영, 이시은 발간번호 12-03 자료언어 Korean 발간일 2012.12.31

원문보기(다운로드:4,703) 저자별 보고서 주제별 보고서

그간 중남미지역은 다른 개도국에 비해 소득 수준이 높다는 이유로 개발협력 대상으로서 크게 주목받지 못했다. 그러나 중남미는 전체 인구의 30% 이상이 여전히 빈곤층이며 도농 간, 계층 간 소득격차가 커 개발협력 수요가 매우 높은 지역 중의 하나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정량적 분석을 통해 중남미지역의 우선개발협력 분야를 발굴하고 이를 토대로 분야별 ODA 확대 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크게 여섯 개 장으로 구성된다. 서론에 이은 제2장에서는 중남미지역의 개발협력 환경을 분석했다. 이를 위해 먼저 최근 중남미지역의 정치· 경제 환경을 고찰하고, 중남미 국가들의 MDG(Millennium Development Goals, 새천년개발목표) 달성 현황과 과제, 그리고 최근 중남미지역의 수원 현황을 다각도로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는 이 같은 분석을 토대로 중남미지역의 개발협력 환경을 종합적으로 평가했다.
제3장에서는 중남미지역의 개발수요를 분석했다. 개발수요 분석을 위해 먼저 중남미 33개국 중에서 엘살바도르, 온두라스, 파라과이, 볼리비아, 에콰도르, 페루, 콜롬비아 등 7개국을 중점협력대상국으로 선정했다. 7개국은 우리나라의 ODA 중점협력대상국, 높은 개발 잠재력, 한국과의 협력태도 및 의지, 한국과의 경제관계 등을 고려하여 선정했다. 이들 7개국은 소득그룹별로는 하위중소득국 4개국(엘살바도르, 온두라스, 파라과이, 볼리비아), 상위중소득국 3개국(에콰도르, 페루, 콜롬비아)으로 구분된다. 선정된 7개국을 중심으로 상위 소득그룹과 주요 지표를 비교하여 분야별로 개발수요를 추정했다. 또한 우리의 공급 능력과 수원국의 수원 능력을 반영한 실현 가능성을 측정하여 우선지원 분야를 선정했다. 분석 결과, 경제하부구조, 환경, 교육 및 훈련, ICT 등이 협력 가능성이 높은 분야로 최종 선정되었다. 그러나 이중에서 경제하부구조, 즉 인프라 사업은 막대한 프로젝트 비용이 수반되고 경제적 이해가 커 개발협력사업으로 적합하지 않은 점을 고려해 최종 분석 대상에서는 제외시켰다. 교육 및 훈련의 경우는 중남미 국가들의 수요가 많은 훈련, 그중에서도 직업훈련 분야를 우선협력 분야로 선정했다.
제4장에서는 3장에서 도출된 3개 우선협력 분야에 기초해 중남미지역의 분야별 협력 현황을 분석하고 시사점을 도출했다. 특히 이 장에서는 7개 중점 협력대상국의 국가개발계획을 분석해 환경, 직업훈련, ICT 등 3개 우선협력 분야에서의 개발 수요를 도출하고 한국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제5장에서는 한국이 그동안 지원했던 개발협력 분야를 중심으로 지원 성과와 문제점을 분석하고, 중점지원 분야별로 주요 사업을 평가했다.
마지막으로 제6장에서는 이상의 분석을 종합해 대중남미 ODA 방향을 제시하고 환경, 직업훈련, ICT로 나누어 분야별 ODA 확대 방안을 제언하였다. 결론을 중심으로 주요 연구 결과를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우리나라의 대중남미 ODA 추진 방향은 다음 열 가지로 제시하였다. 첫째, 아프리카나 동아시아 등 다른 개도국 지역에 비해 소득 수준이 높은 중남미지역의 특성을 감안한 개발협력 전략이 필요하다. 둘째, 상위 중소득국이 많은 중남미지역과는 삼각협력에 초점을 맞춘 협력 전략이 유망하다. 셋째, 언어적, 문화적, 법적, 제도적 유사성이 큰 중남미지역의 특성을 고려해 ODA의 거점화(Hub & Spoke) 전략 추진이 필요하다. 넷째, 이념적으로 상이한 중남미 경제통합체의 특성에 맞추어 차별화 전략을 강구해야 한다. 중남미지역은 경제통합 유형에 따라 ALBA(미주를 위한 볼리바르 동맹) 모델, 라틴-태평양 모델(Latin-Pacific model), 대서양-남미공동시장(MERCOSUR) 모델로 구분된다. 다섯째, 기업의 사회적공헌(CSR) 활동과 정부의 ODA 사업을 연계한 ‘CSR-ODA 연계형’ 사업 추진이 필요하다. 여섯째, 중남미지역 차원의 협력 네트워크 및 프로그램 구축을 통한 협력 전략이 요구된다. 일곱째, 우리나라가 주도적으로 공동협력기금을 조성하거나 기존 기금에 참여할 필요가 있다. 여덟째, 미주개발은행(IDB), 안데스개발공사(CAF) 등 중남미 지역개발은행과 공조 전략을 적극 강구해야 한다. 아홉째, 중남미 상위 중소득국과의 개발협력 수단으로 지식공유사업(KSP)을 적극 활용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정치·경제적 리스크가 높은 중남미지역의 특성을 감안해 ODA 프로젝트 추진 시 리스크 관리 전략이 마련되어야 한다.
이상의 ODA 협력 방향을 토대로 한국의 대중남미 분야별 ODA 협력방안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환경 분야에서는 ① 한국의 환경 ODA에 대한 이미지 제고 ② 환경보호 교육훈련 프로그램의 활성화 및 환경 ODA 지원 분야 다각화 ③ 지역개발은행과의 환경 ODA 협력 확대 ④ 삼각협력을 통한 환경 ODA 추진 등 네 가지 방안이 권고되었다. 다음으로 직업훈련 분야에서는 ① 수원국의 전략산업 부문에서의 교육훈련 사업 ② 삼각협력을 통한 한-칠레 산업기술훈련센터 설립 ③ 직업훈련 교사들의 역량 강화 사업 ④ 기업과 원조기관이 공동으로 직업훈련 프로그램 실시 ⑤ 중남미 지역개발은행과 공동으로 직업훈련 프로그램 추진 등의 방안이 도출되었다. 마지막으로 ICT 분야에서는 ① 한·중남미 ICT협력포럼 설립 및 협력기금 조성 ② 중남미 ICT R&D Think Tank Initiative 구축 ③ 한·중남미 ICT 융합형 산업협력 추진 ④ 동아시아-중남미협력포럼(FEALAC) 차원에서의 ICT협력프로그램 주도 등의 방안이 제언되었다.


 
 

In recent years, the relatively high incomes achieved by countries in Latin America have ruled them out as partners for development cooperation. However, 30% of its population still lives under the poverty level, while both income disparity and rural-urban disparity remain high, which point to a high demand for development cooperation. Therefore this study conducted a quantitative analysis to identify priority sectors and suggest sectoral plans for the official development aid (ODA) toward Latin American countries.
This study is composed of six chapters. Following the introductory chapter, chapter two analyzes the environment for development cooperation of the Latin American region. For more effective analysis, we take into consideration the region's political and economic situation, progress in MDG(Millenium Development Goals) and related achievements, and possible benefits for the region. Lastly, based on this analysis, environment of the development cooperation of the region.
In chapter three is a quantitative analysis of the aid demand of the region. Out of thirty-three Latin American countries, seven countries are selected as priority countries for cooperation including El Salvador, Honduras, Paraguay, Bolivia, Ecuador, Peru, and Colombia. Among these seven countries, four of them(El Salvador, Honduras, Paraguay, Bolivia) are lower-middle income countries and the other three countries(Ecuador, Peru, Colombia) belong to upper-middle income category. Major development indicators of the seven countries are compared with those of higher-income countries and this gap is defined as aid demand. Also the indicator gap between Korea and the said countries are accounted for in order to assess the feasibility of the development aid. Based on these demands and  feasibility, priority sectors selected are infrastructure, environment, education and ICT. Among these four sectors, sectoral analysis is conducted in the following chapter for three sectors with the exception of infrastructure, as the infrastructure sector requires huge capital and it is sometimes not appropriate for the development aid as it involves complex economic interests. In education, vocational training is selected as the priority sector as demand for this sector is relatively high within the region.
In chapter four, three priority sectors out of the four mentioned in chapter three were examined in detail in terms of its cooperation status and its implications. In particular, this chapter probes the national development plans of the seven countries in order to examine their demand for development cooperation in environment, vocational training, and ICT sector and thereby proposes some policy implications for Korea.
Chapter five scrutinizes the major projects that Korea worked on in the priority sectors, including performance and the problems.
Finally, chapter six makes some suggestions in environment, vocational training, and ICT sectors in order to promote development cooperation. In the environmental sector: ① enhancement of the country's image in environment ODA ② educational programs for environment protection and the diversification of supporting areas ③ expansion of cooperation with the regional development banks ④ triangular cooperation are suggested. As for the vocational training sector: ① more active vocational training in the donor country's strategic industries ② foundation of Korea-Chile industrial technology training center ③ empowerment of the teachers in vocational training ④ cooperation between companies and aid agencies ⑤ collaboration with the regional development banks of the region are suggested. Lastly, in the ICT sector: ① foundation of Korea-Latin America ICT cooperation forum and fund raising ② establishment of ICT R&D Think Tank Initiative in Latin America ③ Korea-Latin America industrial cooperation on ICT Convergence ④ taking the initiative in the Forum for East Asia-Latin American Cooperation (FEALAC) ICT cooperation program are proposed.


 

국문요약 


제1장 서 론 
1. 연구 필요성 및 목적 
2. 연구 구성 및 방법 


제2장 중남미의 개발협력 환경 현황 및 평가 
1. 최근 정치·경제 현황 
가. 정치 현황 
나. 경제 현황 
2. 역내 개발격차와 MDG 목표 달성 현황 
가. 역내 개발격차 현황 
나. MDG 목표 달성 현황 및 평가 
3. ODA 수원 현황 및 특징 
가. 연도별 추이 
나. 국별 현황 
다. 분야별 현황 
4. 최근 중남미 개발협력 환경 평가 


제3장 중남미의 개발수요 및 유망 협력 분야 
1. 분석 방법 
가. 분석 대상국가 선정 
나. 비교 대상국가 선정
다. 데이터 
2. 분석 모형 
가. 필요성 분석 
나. 공여 능력 분석 
다. 중점 협력 분야 도출 
3. 분석 결과 
가. 필요성 및 공여 능력 분석 결과 
나. 중점 협력 분야 도출 
4. 정책적 시사점 


제4장 유망 협력 분야별 ODA 현황 및 특징 
1. 환경 
가. 중남미의 환경 ODA 수요 
나. 주요국 국가개발계획과 환경 
다. 공여국의 환경 분야 ODA 현황과 특징 
2. 직업훈련 
가. 중남미의 직업훈련 ODA 수요 
나. 주요국의 국가개발계획과 직업훈련 수요 
다. 공여국의 직업훈련 부문 ODA 현황과 특징 
3. ICT 
가. 중남미의 ICT ODA 수요 
나. 주요국 국가개발계획과 ICT 수요 
다. 공여국의 ICT 분야 ODA 현황과 특징 
4. 한국에 대한 시사점 


제5장 한국의 대중남미 ODA 현황과 평가 
1. 대중남미 ODA 위상 
2. 국가별‧분야별 ODA 현황 
가. 국가별 ODA 지원 현황 
나. 분야별 ODA 지원 현황 
3. 한국의 대중남미 ODA 평가 


제6장 결론: 대중남미 ODA 추진 방향과 분야별 협력방안 
1. 주요 연구 결과 및 대중남미 ODA 추진 방향 
가. 주요 연구 결과 
나. 대중남미 ODA 추진 방향 
2. 분야별 협력방안 
가. 환경 
나. 직업훈련 
다. ICT 


참고문헌 


Executive Summary

판매정보

분량/크기, 판매가격
분량/크기 297
판매가격 10000 원

구매하기 목록

같은 주제의 보고서

중국종합연구 한중 탄소중립 협력 활성화 방안 연구 2023-12-29 중국종합연구 2023년 중국종합연구 총서 정책연구과제 요약집 2023-12-29 중국종합연구 탄소중립 시대 중국 동북지역 한중 지역개발 협력방안 : 중국 지린성을 중심으로 2023-12-29 세계지역전략연구 한-인도 해운·항만산업 협력방안 연구 2023-12-29 세계지역전략연구 아세안 주요국의 난민지원정책과 한국에 대한 시사점 2023-12-30 세계지역전략연구 중동·북아프리카 식량위기에 대한 역내 인식과 대응 및 협력방안 2023-12-27 단행본 만화로 보는 세계경제 2023 2023-12-23 세계지역전략연구 사하라이남 아프리카 주요국의 탈탄소 정책과 청정에너지부문 협력 방안 2023-11-29 연구자료 동지중해 천연가스 개발 현황과 한국의 협력 방안 2023-10-20 연구보고서 경제안보 이슈의 부상과 대외협력 방향 2022-12-30 연구보고서 인도의 주별 인구구조 변화가 노동시장과 산업별 고용구조에 미치는 영향 2022-12-30 세계지역전략연구 주요국의 대남아시아 경제협력전략과 정책 시사점: 중국, 일본, 인도를 중심으로 2022-12-30 연구보고서 미·중 전략 경쟁 시대 글로벌 기업의 대응과 중국진출 한국기업에 대한 시사점 2022-12-30 중장기통상전략연구 일본의 중장기 통상전략과 한·일 협력 방안 2022-12-30 연구보고서 한국-동남아 가치사슬 안정화를 위한 메콩지역 협력 방안 연구 2022-12-30 중장기통상전략연구 아세안의 중장기 통상전략과 한-아세안 협력 방안 2022-12-30 중장기통상전략연구 중국의 중장기 통상전략과 한중 협력 방안 2022-12-30 연구자료 방글라데시 기후변화 영향 분석 및 시사점 2022-12-30 연구보고서 인도의 신·재생에너지 시장 및 정책 분석과 한-인도 협력 방안 2022-12-30 연구보고서 미·중 경쟁 하 중남미의 GVC 참여와 RVC 구축 연구 2022-12-30
공공누리 OPEN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 출처표시, 상업용금지, 변경금지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표시기준 (공공누리, KOGL) 제4유형

대외경제정책연구원의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 금지 +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저작권정책 참조

콘텐츠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콘텐츠 만족도 조사

0/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