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전체보고서

발간물

목록으로
ODA 정책연구 금융분야 개발협력 방안 경제협력

저자 유재원, 주상영, 한홍렬 발간번호 12-03 자료언어 Korean 발간일 2012.12.31

원문보기(다운로드:1,779) 저자별 보고서 주제별 보고서

개도국의 금융환경은 매우 열악하다. 전 세계 성인 가운데 약 25억 명이 금융서비스 자체를 이용하지 못하고 있다. 이들 대부분은 아프리카, 아시아, 남아메리카, 중동 지역에 거주하고 있으며, 특히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의 경우 성인의 80%가 금융서비스를 이용하지 못하고 있다. 금융서비스 이용의 첫 단계라고 할 수 있는 은행계좌조차 개설하지 못하는 가장 근본적인 이유는 소득이 부족하기 때문이다. 많은 개도국이 소득의 절대적 부족으로 금융부문이 발전하는 데 근본적인 한계를 갖고 있다.


사실 금융부문은 경제발전과 소득수준의 향상에 따라 자연스럽게 발전해 나가는 경향이 있다. 금융부문은 실물부문과 상호 작용하면서 발전하지만, 개도국의 대부분은 선순환보다는 악순환의 제약에 갇혀 있는 것이다. 이러한 악순환을 선순환으로 전환시키려면 무엇보다 금융부문으로 자금이 유입되도록 제도를 정비하고 인센티브를 제공하여야 한다. 금융은 일종의 계약행위이므로 상호신뢰의 구축과 엄격한 법의 집행이 중요하다는 면에서 법적ㆍ제도적 장치는 자금의 조성, 조달, 활용을 촉진하는 데 필수적인 인프라이다. 한편 금융활동을 촉진하기 위한 정책적 노력을 기울이지 않으면 금융부문은 일정 수준 이상으로 도약하기 어렵게 된다. 현재 개도국에서 발견되는 저조한 금융접근성을 소득의 부족으로 다 설명하기 힘든 것은 경제발전에 따라 금융소외 현상이 자연스럽게 해소될 것이라는 믿음이 지나친 낙관일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금융발전 전략은 경제발전 전략의 중요한 축으로서 비중 있게 다루어져야 한다.


한국의 경우 비약적인 경제성장과 함께 금융부문도 급속히 팽창하는 과정을 겪었다. 양적 규모만을 놓고 보면 한국의 금융부문이 눈부신 발전을 이룩한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발전단계 초기에 정부가 금융시스템에 대한 통제를 지속하였고 정부 주도하에 개발금융체제를 추진해 나갔지만, 책임경영체제의 부재와 금융감독의 공백이 컸다. 또한 정부 개입하의 불완전한 금융자율화를 추진하는 과정에서 내ㆍ외부의 충격에 극도로 취약한 구조를 갖게 되어 금융위기를 초래했음을 잘 알고 있다. 한국의 경우에서 볼수 있듯이 금융부문을 순조롭게 발전시키는 것이 쉬운 일은 아니다. 금융부문을 선도적으로 발전시키려는 정부의 지나친 의욕은 부작용을 가져오기 쉽다. 경제발전 속도에 맞지 않게 금융자유화를 추진하는 것도 바람직하지 않거니와, 부족한 금융인프라 위에서 정부 주도의 개발금융에 치중하는 것도 바람직하지 않다. 특히 정치적ㆍ제도적 기반이 취약한 개도국의 경우에는 더욱 그러할 것이다.


개도국들의 경우 경제발전 단계가 서로 다르고 또 금융부문의 성격도 다르며, 경제발전 전략에도 국가별 특수성이 존재하기 마련이다. 따라서 개도국에 대한 금융 ODA도 수원국이 처한 상황에 맞게 설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개도국에 적합한 정책대안을 제시할 때 우선적으로 고려해야 할 사항은 수원국의 수요이다. 예를 들어 수원국의 수요가 기본적인 금융접근성의 제고에 있는지, 정책금융의 활성화에 있는지, 아니면 자본시장의 육성과 개방에 있는 것인지 파악할 필요가 있다. 요컨대 수원국의 수요에 입각하여 금융발전 단계별 맞춤형 ODA 프로그램을 개발할 필요가 있는 것이다.


또 하나 고려해야 할 사항은, 한국은 금융 ODA에 있어 이제 겨우 초보단계에 있다는 점이다. 따라서 금융부문에 대한 선진국 및 국제기구의 기존 ODA 사례를 통해 구제적인 규범이나 가이드라인을 다각적으로 분석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한국의 금융발전 경험을 바탕으로 한국형 금융 ODA 전략을 차근차근 수립해 나가야 한다. 수원국 자체의 발전단계별 수요도 중요한 동시에, 수원국이 한국이라는 국가에 무엇을 원하는지도 중요한 것이다. 따라서 금융분야에 있어 한국의 비교우위 분야가 무엇인지 스스로 냉정히 따져보고, 또 수원국이 한국의 비교우위를 무엇으로 생각하고 있는지도 파악해야 하며, 수원국의 개발수요에 맞게 실질적으로 도움이 되는 방향으로 ODA를 집중할 필요가 있다.


이 보고서는 이와 같은 원칙하에 금융 ODA 관련 실행과제로 어떤 것들이 중요한지 종합적으로 살펴보았다. 세 가지 주요 지원 분야는 금융시장의 육성, 정책금융의 활성화, 금융인프라의 구축이다. 첫째, 금융시장의 육성은 ODA의 비교우위 여부를 떠나 한 국가의 금융부문을 발전시키는 데 가장 기본적인 토대이므로 보편적 지원대상으로 삼아야 한다. 이에 대한 실행과제로 금융접근성 제고, 저축증대, 자본시장 육성 관련 프로그램을 제시하였다. 둘째, 정책금융의 활성화는 한국의 경제발전 전략을 공유하려는 수원국의 요구가 강한 분야이다. 이에 대한 실행과제로 개발금융, 수출금융, 중소기업금융, 서민금융 관련 프로그램을 제시하였다. 셋째, 금융인프라의 구축은 매우 광범위하게 다루어질 수 있는 이슈이지만, 한국형 ODA의 관점에서 금융부문 인적자본의 개발, 금융감독체제의 구축, 국제기구와의 협력을 세부 실행과제로 검토해 보았다.
이 보고서는 세 가지 중점지원 분야를 선정하여 총 10개의 실행과제를 제시하였으며, 실행과제별로 세부 추진과제들을 검토하였다. 제시된 실행과제와 세부 추진과제들은 수원국의 발전단계와 정책적 수요에 따라 그 우선순위가 다양하게 편성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1인당 소득이 매우 낮고 금융 소외계층이 광범위한 빈국의 경우에는 빈곤퇴치 차원에서 금융접근성을 제고하는 실행과제가 우선적으로 다루어질 수 있다. 한편 제조업 육성과 수출을 통해 중진국으로 도약하고자 하는 국가의 경우에는 개발금융과 수출금융에 관한 한국의 경험을 전수하는 과제에 비중을 두는 것이 효과적일 것이다.


대개도국 ODA는 다양한 성격을 동시에 포함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대체로 제도적ㆍ기술적 지원과 자금의 직접적인 지원으로 구분된다. 제도적ㆍ기술적 지원에 해당하는 프로그램은 금융인프라 구축, 금융부문 개혁, 단계별 금융발전 계획 등 제도개선을 다양하게 지원하고 자문하는 형태가 될 것이다. 자금의 직접적인 지원 프로그램은 사실 금융 ODA의 본래 목적에 더 부합하는 형태라고 볼 수 있지만, 금융이 매우 광범위하고 복잡한 이슈가 서로 연결된 분야이기 때문에 지원규모 대비 효과를 발휘하는 데 한계가 있는 것이 사실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향후의 금융 ODA는 자문ㆍ연수ㆍ교육 사업에만 치중하는 형태에 그쳐서는 안 될 것이다. 각종 금융접근성 제고 프로그램, 마이크로금융, 개발 및 수출금융 등의 분야에서는, 비록 적은 액수의 지원일지라도 선택적으로 자금의 직접적 지원이 개시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이와 관련하여 수원국 정부 및 해당 지역의 NGO와 협력하여 금융 ODA 사업에 적극적이고 실천적으로 접근하는 전향적 자세가 필요하다.


이 보고서는 개도국의 금융 현황을 파악하고 한국의 금융발전 경험에 비추어 ODA 관련 실행과제에 어떤 것들이 있는지 종합적으로 살펴보았다. 다만 금융 ODA에 관한 체계적 연구가 아직 없고, 또 국가 차원의 체계적인 금융 ODA 전략도 부재한 상태에서, 보편적으로 추진할 수 있는 실행과제들을 병렬적으로 나열한 면이 있다. 따라서 앞으로는 그동안 한국을 비롯한 다양한 국가와 국제기구에서 개별적으로 실시한 금융 ODA 사업을 좀더 세밀하게 분석하고, 또 민간 차원에서 시행되는 지원 사업들을 종합적으로 검토하여 수원국 특성과 발전단계에 부합하는 실행과제들을 선정하고 개발해 나갈 필요가 있다. 즉 수원국별로 우선순위에 입각한 실행과제들을 선정하고, 나아가 구체적으로 제도적ㆍ기술적 지원과 자금의 직접적 지원 방식을 어떻게 조합하여 실천에 옮길지 검토해야 할 것이다.


 


 

Financial development is a necessary condition for economic development. However, the current state of financial development in most developing countries is rather striking. Over half of the world’s adult population do not use formal financial services to save or borrow. This is especially true for those who live at the poverty level, and without access to formal financial services, their ability to build wealth, increase income and manage uncertainty is seriously restricted.
Well-functioning financial systems provide savings, credit, payment, and risk management. Without inclusive financial systems, poor people must rely on their limited savings to invest in things like education or setting up small businesses. Therefore inclusive financial systems that help poor people and other disadvantaged groups in this regard do would be very beneficial, contributing to improvement of income distribution and economic growth. As expected, the degree of financial access is higher in economies with higher national income as measured by GDP per capita. However, national income explains much less of the variation in financial access for low and lower middle income countries. At a given income level and financial depth, use of financial services varies significantly across countries. This suggests a potentially important policy challenge. That is, ODA in finance must be directed towards improvements in financial access in poor countries.
Economic stability and effective contractual and informational frameworks are crucial for an inclusive financial system. To create a deep, efficient and stable financial system, however, the government’s role is very important. Governments have an important role in building long-term financial institutions and making financial markets function properly. In this respect, it is worth exploring how the financial system has evolved in Korea, which achieved surprisingly rapid industrial development with strong government support.
Korea's experience in financial development cannot be separated from the government. It is well-known that, since the early 1960s, the Korean government was directly involved in allocating credit for the purpose of fostering rapid industrialization and export expansion. From the early 1980s to the currency crisis of 1997, however, various attempts were made towards financial liberalization. Even if the government did not completely abstain from interventions in the financial markets, many attempts were made to lift government control over financial institutions. But deregulation in the absence of appropriate laws and institutions essential to a truly liberal financial system would serve as an important cause of the 1997 currency crisis. At that time, the necessary institutional infrastructure was not firmly in place. The post-crisis period has seen a series of reforms based upon so-called ‘global standard.’ The key lesson from Korea’s experiences was that institutions simply transplanted from abroad may not function as expected due to differences in stages of development and local specificity. This lesson also applies to many developing economies.
In principle, the financial ODA to developing countries should be designed to fit the circumstances of the recipient country. Policy alternatives should be differentiated in accordance with recipient countries’ demands. For example, policy options should reflect whether the recipient country wants enhancement of basic financial access, fostering development finance, or opening financial markets. It is necessary to develop step-by-step ODA programs based on the demands of respective recipient countries in different stages of financial development.
Another consideration is that Korea is taking its first steps in the financial ODA program. First of all, international norms and guidelines as well as the existing ODA practices need to be analyzed. Based on those analyses together with Korea's own experiences, a uniquely Korean financial ODA strategy can be derived. Strategies should also reflect what recipient countries wants from Korea. Also, it is important to find where Korea's comparative advantage lies.
This report examined potential strategies for Korea's financial ODA and provide three main areas for ODA; fostering financial markets, supporting development finance, and building financial infrastructure. First, fostering financial markets is the most basic step, especially for poor economies. Sub-areas in this category include enhancing financial accessibility, increasing savings, and developing capital markets. Second, supporting the development finance will probably be the most wanted area for recipient countries who wish to share with the experiences related to Korea's development strategies. The sub-areas include development finance, export finance, SME finance, microfinance programs. Third, programs related to building financial infrastructure could be focused on the education of financial experts, the establishment of a financial supervision system, and the cooperation with international organizations.
Overall. this report presents a total of 10 challenges which are potentially important for Korea’s financial ODA strategy. Proposed action plans and initiatives can be organized, depending on the development stages and demands of recipient countries. For example, for the country whose per capita income is very low and with a wide range of people not served by financial institutions, improving financial access will be a priority. Meanwhile, for the (middle income) country wishing to develop the manufacturing sector and enhance export, putting the emphasis on development finance and export finance might be more effective.
In fact, the ODA to developing countries is generally of a diverse nature. The ODA program is typically divided into institutional/technical support and direct funding. Institutional/technical support includes building financial infrastructure, financial sector reforms, and step-by-step financial development plans. Direct funding is a form that is closer to the original aim of the ODA. Because extensive and complex financial issues are interconnected, however, direct funding may have only limited impact. Nevertheless, the focus of financial ODA should not be limited just to consulting, training and education. There is a need to select diverse programs for enhancing financial access, microfinance, development finance, export finance, via small but direct funding. In this case, it is recommended to follow a more practical approach, through cooperation with recipient country governments and local NGOs.
This report examined comprehensively the financial circumstances of developing countries and ODA-related challenges in light of Korea’s experiences. However, there are smaller systematic studies on financial ODA strategies and in fact, this report listed several menus on programs simultaneously. In the future, it is necessary to review closely individual programs conducted by other countries and international organizations, and sort out selective programs suited to the characteristics and development stages of recipient countries. In other words, the focus of Korea's financial ODA will be on how to select country-specific programs and how to combine institutional/technical support with direct funding, and putting them into practice effectively.


 


 

서언
 
국문요약 


제1장 문제제기 


제2장 개도국 금융발전의 중요성과 제약요인 
1. 금융발전과 경제발전 
가. 금융과 성장 
나. 금융발전의 결정요인 
2. 빈곤퇴치와 포용적 금융발전 
가. 금융과 빈곤 
나. 포용적 금융발전의 중요성 
3. 개도국의 금융접근성 
4. 개도국 금융접근의 장애요인 
가. 금융계좌 이용의 장애요인 
나. 대출 및 기타 금융서비스의 이용 


제3장 한국의 금융발전 경험과 시사점 
1. 한국의 금융발전 개관 
가. 한국의 금융제도 및 금융정책 
나. 금융시장의 양적 성장과 구조변화 
다. 금융기관의 설립 
라. 금융 하부구조 구축
2. 개발금융체제와 금융정책 
가. 금리정책 
나. 정책금융 
다. 금융저축 정책 
라. 외자도입 정책 
3. 정책금융의 전략과 수단 
가. 설비투자지원금융 
나. 수출지원금융 
다. 중소기업금융 
라. 서민금융 
마. 주택금융 
바. 농수산금융 
4. 금융시장 육성정책과 제도변화 
가. 자금시장 
나. 자본시장 
5. 금융발전 경험의 평가 


제4장 주요국의 금융분야 ODA 현황  1
1. 금융분야 ODA의 국제적 현황 
가. 금융분야 ODA의 규모와 추이 
나. 금융분야 협력의 주요 유형 
2. 금융분야 협력의 주요 사례 
가. 금융시장과 자본시장 육성을 위한 제도적 지원 
나. 민간투자의 확대 유도를 위한 정책 및 인프라 확충 
다. 금융시장에 대한 직접적 지원


제5장 한국의 금융분야 ODA 전략과 과제 
1. 한국의 금융분야 ODA 현황과 평가 
2. 한국의 금융분야 ODA 정책 방향 
3. 한국의 금융분야 ODA 실천과제와 실행계획 
가. 금융접근성 제고 
나. 저축증대 
다. 자본시장 육성 
라. 설비투자 지원금융의 활성화 
마. 수출금융의 활성화 
바. 중소기업 지원금융의 활성화 
사. 서민금융의 활성화 
아. 금융분야 역량강화 
자. 금융감독체제 구축지원 
차. 국제기구와의 협력증진 


제6장 결 론 


참고문헌 


Executive Summary
 

판매정보

분량/크기, 판매가격
분량/크기 224
판매가격 10000 원

구매하기 목록

같은 주제의 보고서

세계지역전략연구 Exploring Urban Perception on Climate Change in Developing Countries 2024-08-29 단행본 2023 KIEP 정책연구 브리핑 2024-06-28 연구보고서 대러 경제 제재가 러시아 경제에 미치는 영향과 한-러 경제협력 안정화 방안 2023-12-29 연구보고서 글로벌 경제안보 환경변화와 한국의 대응 2023-12-29 중장기통상전략연구 인도의 중장기 통상전략과 한·인도 협력 방안 2023-12-29 중장기통상전략연구 몽골의 중장기 통상전략과 한·몽골 협력 방안 2023-12-29 연구보고서 인도-태평양 전략 추진을 위한 한-태평양도서국 중장기 협력 방안 2023-12-29 연구보고서 미중 기술경쟁 시대 중국의 강소기업 육성전략과 시사점 2023-12-29 연구보고서 미중경쟁에 따른 아세안 역내 공급망 재편과 한국의 대응방안 2023-12-29 중장기통상전략연구 남아프리카공화국의 중장기 통상전략과 한·남아공 협력 방안 2023-12-29 연구자료 동티모르의 아세안 가입 지원 및 개발협력 확대 방안 2023-12-29 중장기통상전략연구 멕시코의 중장기 통상전략과 한·멕시코 협력 방안 2023-12-29 중장기통상전략연구 호주의 중장기 통상전략과 한·호주 협력 방안 2023-12-29 연구보고서 인도태평양 시대 한ㆍ인도 경제협력의 방향과 과제 2023-12-29 연구보고서 인도 서비스 산업 구조 분석과 한-인도 산업 협력 확대 방안 2023-12-29 연구보고서 일본의 글로벌 공급망 리스크 관리와 한·일 간 협력방안 연구 2023-12-29 연구보고서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이 EU의 '개방형 전략적 자율성' 확대에 미친 영향: 에너지 전환, 인적 교류, 안보 통합을 중심으로 2023-12-30 연구보고서 중동부유럽으로의 EU 확대 평가와 향후 전망 2023-12-29 중국종합연구 한중 탄소중립 협력 활성화 방안 연구 2023-12-29 중국종합연구 2023년 중국종합연구 총서 정책연구과제 요약집 2023-12-29
공공누리 OPEN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 출처표시, 상업용금지, 변경금지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표시기준 (공공누리, KOGL) 제4유형

대외경제정책연구원의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 금지 +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저작권정책 참조

콘텐츠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콘텐츠 만족도 조사

0/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