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전체보고서

발간물

목록으로
ODA 정책연구 산업분야 개발협력 방안: 개도국 산업역량 구축 지원을 위한 정책 방향과 과제 경제협력

저자 김종일, 윤미경 발간번호 12-02 자료언어 Korean 발간일 2012.12.31

원문보기(다운로드:2,019) 저자별 보고서 주제별 보고서

산업발전은 개도국 경제발전의 근간이며 개발효과성을 강조하는 최근의 국제개발 협력 동향에 비추어 보아도 중요한 분야이다. 산업발전이 없이는 자조적이고 지속적인 성장이 불가능하며, 학습을 통한 지식의 습득과 인력의 양성도 불가능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산업분야의 개발협력은 등한시되었는데, 이는 과거 대대적 개발정책의 실패경험과 산업정책에 대한 회의에서 비롯되었다.


하지만 최근 신흥공업국의 부상과 함께 개도국의 산업역량 강화에 대한 국제적인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지난 서울 G20 정상회의, 부산 세계개발원조 총회 등 최근의 국제회의에서는 원조효과성과 함께 개발효과성이 부각되었고, 특히 개도국의 산업역량 구축을 통한 빈곤퇴치의 중요성이 다시 관심을 받게 되었다. 이렇게 원조효과성보다 개발효과성에 대한 관심이 늘어남에 따라 개도국의 산업역량 구축에 대한 지원이 필요하다는 공감대가 형성되고 있다. 또한 우리나라의 경제발전 경험에서 산업발전은 매우 중요한 축을 차지하였으며, 우리나라와의 산업분야 개발협력에 대한 개도국의 수요도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배경하에서 본 연구는 산업분야의 개발협력 관련 주요 이슈를 논의하고 우리나라가 나아가야 할 정책방향과 과제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제1장에서는 산업분야 개발협력이 최근 관심을 받게 된 배경을 살펴보고 제2장에서는 산업분야 개발협력의 범위와 특징을 중심으로 관련된 주요 이슈를 살펴보았다. 제3장에서는 산업분야 개발협력의 국제적 동향을 알아보고 제4장에서는 주요 공여국의 사례를 살펴보았다. 제5장에서는 산업분야 개발협력의 현황과 국내 가용자원을 알아보았다. 제6장에서는 산업분야 개발협력을 위하여 실시할 수 있는 유망 프로그램을 제시하고 관련된 이슈를 논의하였다. 제7장에서는 산업분야 개발협력을 위한 정책과제를 도출하였다.


본 연구결과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산업분야 개발협력은 하드웨어 건설프로젝트와 산업분야 정책자문이 대부분으로 실질적인 산업역량 강화프로그램 중심의 사업이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 또한 사업도 소규모, 단편적인 사업구조로 되어 있어 정책자문-산업인프라 건설-산업 역량 구축 등 일련의 사업이 연계되지 못하고 전략성이 부족한 것으로 판단된다. 특히 산업역량 강화에서 중요한 민간기업의 정보와 네트워크 활용이 부족하다. 이러한 문제는 무엇보다도 전문적이고 체계적인 사업추진을 위한 사업추진체계가 미비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기술협력, 인력양성, 중소기업 금융시스템 구축, 무역지원 등 개도국의 산업역량 구축을 위한 중간(meso) 산업수준의 개발협력이 활성화될 필요가 있다. 특히 제조업 분야의 생산 및 경영 역량 구축을 위한 구체적이고 실질적인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다. 비교우위 분야를 발굴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특정한 기업을 지원하기보다는 산업정책 기반 및 기술 인프라 지원을 중심으로 아시아나 중남미의 하위 중소득국을 대상으로 사업을 개발할 것을 권고한다. 사업의 효과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국내기업의 해외진출과 연계하여 개도국의 글로벌 가치사슬 참여 기반을 구축하기 위한 개도국 내 생산 네트워크와 생산 인프라를 구축하기 위한 인력 및 기술 협력 사업이 유망하다.
산업분야 개발협력이 효과적이기 위해서는 첫째로는 개도국 산업발전 전략과의 조응성을 확충하기 위하여 CPS 수립단계에서 산업분야의 사업이 기획되어야 할 것이다. 둘째로 비교우위 분야나 유망사업에 대한 선택과 집중을 통하여 사업의 실효성이 높아져야 할 것이다. 셋째로 정책자문-인프라 건설-산업역량 구축 사업이 상호 연계되어 수행되어야 하며, 넷째로 산업분야 개발협력이 현재와 같은 단편적인 구조에서 벗어나 체계화되고 전문화되어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국내에 있는 산업분야의 가용자원을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민간부문의 산업분야 개발컨설팅 사업을 활성화하도록 사업추진방식을 개선해야 할 것이다. 다섯째로는 기업과 개발협력 기관의 협조체제를 강화함으로써 기업의 CSR 활동을 내실화하고 기업의 정보와 전문성을 활용해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정책연수와 정책자문 사업의 실효성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Industrial development is crucial for sustainable growth of developing countries. However, it has been neglected in development cooperation due to experiences of failed development policies after the World War II and a critical stance toward industrial policy in the academia. However, the rapid growth of emerging industrialized countries has rekindled interest in the role of government in industrial development. Recently, the G20 Seoul Summit recognized the importance of effective development and strengthening industrial capacities of poor countries to combat poverty in the long run. As a country that achieved rapid development based on industrial competitiveness, Korea may possess comparative advantage in building industrial capacity of developing countries in various areas of development cooperation.
This study investigates the issues in development cooperation for building industrial capacity to elucidate promising areas for Korea. In addition, it proposes the direction of ODA in industries and challenges in assistance, to ensure their effectiveness. In particular, this study discusses the scope and issues in terms of development cooperation for industrial capacity building and explores the current activities of international organizations and major donor countries. Based on these discussions, the current status of Korea’s assistance related to industrial areas is evaluated. The study  
concludes by recommending promising programmes related to industrial capacity building and suggests the direction and tasks for development cooperation.
This study recommends that Korea invest more effort in developing concrete programmes at the intermediate level of industrial capacity building, such as technology, human resources, financial system, and trade facilitation. Korea should focus on building technical and managerial capability of the manufacturing sector in lower middle-income countries in Asia and Latin America. The promising programmes could be found in the area of promoting global value chain participation, which could stimulate increased trade among recipient countries and also foreign direct investment into those countries.
To make cooperation more effective, first, the industrial capacity building programmes should be planned at the inception/designing stage of CPS, which will enhance the alignment of programmes with industrial development strategies of recipient countries. Second, Korea should select promising programmes to focus on, to assure a significant and sustained impact. Third, closer cooperation between industrial policy consultation, capacity-building programmes, and hardware construction projects is required. Fourth, a more systematic and specialized cooperation is needed to resolve the fragmentation of assistance. Therefore, cooperation in this area should actively utilize the currently available policy resources in public and private organizations. Fifth, the programmes should be designed so as to induce the participation of the private sector, particularly the business sector. It will enhance the overseas CSR activities of firms and elicit expert inputs from firms into ODA programmes. Finally, greater effort should be devoted to strengthening the effectiveness of training and consulting activities.

서언 


국문요약 


제1장 서 론 
1. 연구 배경 및 목적 
2. 연구의 범위 


제2장 산업분야 개발협력의 이슈와 접근방안 
1. 산업발전의 중요성과 산업정책의 논거 
가. 산업발전의 중요성과 의미 
나. 산업정책의 논거 
2. 산업정책의 체계, 범위 및 수단 
가. 산업정책의 목표와 체계 
나. 산업정책의 범위와 유형 
다. 산업정책의 수단 
3. 산업분야 개발협력의 차별성과 관련 이슈 
가. 산업분야 개발협력의 목표와 관련 이슈 
나. 산업분야 개발협력의 특성 및 고려사항 
다. 국가별 산업발전 요건의 차이 
4. 산업분야 개발협력의 범위와 기본 틀 
가. 개도국 산업발전을 위한 개발협력의 수준별 범위 
나. 개도국 산업발전을 위한 협력 대상
다. 산업분야 개발협력의 중점 사업 범위 
라. 산업분야 개발협력의 기본 틀 


제3장 산업분야 개발협력의 국제적 동향 
1. 민간부문 개발의 개념과 산업분야 개발협력 
2. 민간부문 개발 원조 규모와 지원형태 
3. 국제기구의 산업분야 원조 현황 
가. 세계은행 
나. UNIDO 
다. OECD 
라. Donor Committee for Enterprise Development 


제4장 선진공여국 사례 및 전략 
1. 일본 
가. 일본의 중소기업 분야 원조 현황 
나. 사례분석 
2. 미국 
가. USAID 
나. USTDA 
3. 네덜란드 
가. ORIO 프로그램 
나. PSI 프로그램 
4. 소결


제5장 우리나라 산업분야 개발협력 현황과 평가 
1. 산업분야 개발협력 현황 
가. KOICA 
나. EDCF 
다. KSP 
2. 산업분야 개발협력에 대한 평가 
가. 산업분야 개발협력 전반에 대한 평가 
나. KOICA와 EDCF의 산업분야 개발협력에 대한 평가 
다. KSP의 산업분야 개발협력에 대한 평가 
3. 산업분야 개발협력에 가용한 정책자원 
가. 지식경제부 
나. 산업분야 관련 정책기관 
다. 산업분야 개발협력 정책자원 활용 필요성 


제6장 산업분야 개발협력을 위한 유망 프로그램 
1. 산업분야 개발협력에서 비교우위와 유망 프로그램 
2. 글로벌 공급사슬 참여를 위한 인프라 구축 지원사업 
가. 글로벌 공급사슬 참여의 중요성 및 접근방안 
나. 글로벌 가치사슬 관련 국제협력 사업 동향 및 평가 
다. 글로벌 가치사슬 관련 국제협력 사업방안 
3. 산업기술개발을 위한 기반 구축 지원사업 
가. 산업기술개발 정책의 중요성 및 접근방안 
나. 산업기술개발 정책 관련 국제협력 사업 동향 및 평가 
다. 산업기술개발 정책 국제협력 사업방안
4. 산업클러스터 개발을 위한 정책 인프라 지원사업 
가. 산업클러스터 개발의 중요성 및 접근방안 
나. 국내 가용자원 및 기반 
다. 산업클러스터 개발 관련 국제협력사업 동향 및 평가 
라. 효과성 제고를 위한 사업방안 


제7장 우리나라 산업분야 개발협력 확충을 위한 과제 
1. 산업분야 개발협력의 방향 
2. 효과적인 산업분야 개발협력을 위한 과제 
가. 개도국 산업발전 전략과의 조응성 
나. 비교우위 분야나 유망 사업대상에 대한 선택과 집중 
다. 중장기 사업전략 구축과 사업연계의 강화 
라. 개발협력의 체계화와 전문화 
마. 기업과 공공부문의 협조체제 강화 
바. 정책연수와 정책자문의 실효성 강화 
3. 효과적 산업분야 개발협력의 추진체계 구축 


제8장 결 론 
1. 연구결과의 요약 
2. 정책적 시사점 


참고문헌 


Executive Summary

판매정보

분량/크기, 판매가격
분량/크기 304
판매가격 12000 원

구매하기 목록

같은 주제의 보고서

세계지역전략연구 Exploring Urban Perception on Climate Change in Developing Countries 2024-08-29 단행본 2023 KIEP 정책연구 브리핑 2024-06-28 연구보고서 대러 경제 제재가 러시아 경제에 미치는 영향과 한-러 경제협력 안정화 방안 2023-12-29 연구보고서 글로벌 경제안보 환경변화와 한국의 대응 2023-12-29 중장기통상전략연구 인도의 중장기 통상전략과 한·인도 협력 방안 2023-12-29 중장기통상전략연구 몽골의 중장기 통상전략과 한·몽골 협력 방안 2023-12-29 연구보고서 인도-태평양 전략 추진을 위한 한-태평양도서국 중장기 협력 방안 2023-12-29 연구보고서 미중 기술경쟁 시대 중국의 강소기업 육성전략과 시사점 2023-12-29 연구보고서 미중경쟁에 따른 아세안 역내 공급망 재편과 한국의 대응방안 2023-12-29 중장기통상전략연구 남아프리카공화국의 중장기 통상전략과 한·남아공 협력 방안 2023-12-29 연구자료 동티모르의 아세안 가입 지원 및 개발협력 확대 방안 2023-12-29 중장기통상전략연구 멕시코의 중장기 통상전략과 한·멕시코 협력 방안 2023-12-29 중장기통상전략연구 호주의 중장기 통상전략과 한·호주 협력 방안 2023-12-29 연구보고서 인도태평양 시대 한ㆍ인도 경제협력의 방향과 과제 2023-12-29 연구보고서 인도 서비스 산업 구조 분석과 한-인도 산업 협력 확대 방안 2023-12-29 연구보고서 일본의 글로벌 공급망 리스크 관리와 한·일 간 협력방안 연구 2023-12-29 연구보고서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이 EU의 '개방형 전략적 자율성' 확대에 미친 영향: 에너지 전환, 인적 교류, 안보 통합을 중심으로 2023-12-30 연구보고서 중동부유럽으로의 EU 확대 평가와 향후 전망 2023-12-29 중국종합연구 한중 탄소중립 협력 활성화 방안 연구 2023-12-29 중국종합연구 2023년 중국종합연구 총서 정책연구과제 요약집 2023-12-29
공공누리 OPEN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 출처표시, 상업용금지, 변경금지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표시기준 (공공누리, KOGL) 제4유형

대외경제정책연구원의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 금지 +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저작권정책 참조

콘텐츠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콘텐츠 만족도 조사

0/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