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전체보고서

발간물

목록으로
연구자료 중국 도시개발 분야의 해외기업 진출 사례 및 시사점 경제협력, 해외직접투자

저자 정지현, 최필수, 노수연, 김홍원, 오종혁 발간번호 12-06 자료언어 Korean 발간일 2012.12.31

원문보기(다운로드:1,918) 저자별 보고서 주제별 보고서

중국은 현재 개발수요 및 내수시장 확대에 절대적인 영향을 미치는 도시화를 적극적으로 추진하여, 이로 인해 각종 도시개발 프로젝트가 중국 전역에서 외국과의 협력을 통해 진행되고 있다. 맥킨지 연구소(MGI)에 따르면, 중국은 2030년까지 매년 1,700만 명씩 도시인구가 증가하여 총 3억 명이 신규 도시인구로 편입될 전망이다. 따라서 이들이 생활할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하고 소비할 재화와 서비스를 생산·유통·소비하는 과정에서 개발수요 및 내수시장이 확대될 것이다.


현재 중국은 각 성(省)별로 교통 및 에너지 인프라 구축, 주택건설, 농촌 및 중소도시 인프라 건설 강화 등 각종 도시개발사업을 추진하고 있으며, 이를 위해 외국의 자본, 기술, 아이디어를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있다. 그러나 한국은 다양한 도시개발 및 해외건설 경험에도 불구하고 중국의 급증하는 도시개발 수요를 효과적으로 선점하지 못하고 있다. 중국의 도시개발 분야에 진출할 경우, 국내시장 포화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한국 건설기업을 비롯하여 IT, 환경 등 도시개발과 직접적인 관련이 있는 기업뿐만 아니라 유통, 의료, 문화 등 연관기업까지 중국 내수시장에 진출할 수 있는 가능성이 증대될 것이다. 중국 도시개발사업은 이렇듯 다양한 분야의 우리 기업에 중국시장 진출 기회를 제공하므로 이를 종합적인 중국 내수시장 진출전략으로 활용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기존 연구가 희소한 중국 도시개발 분야 진출에 대한 기초연구 차원에서 기진출 외국기업에 대한 사례 분석을 통하여 한국기업의 중국 진출을 효과적으로 지원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였다. 또한 진출 유형을 정부 간 협력을 통한 진출과 민간기업의 개별 진출로 구분하였다. 정부 간 협력 사례는 싱가포르와 협력 개발 중인 쑤저우(蘇州) 공업단지, 톈진(天津) 에코시티, 광저우(廣州) 지식도시를 비롯하여, 스웨덴 및 말레이시아와 각각 추진 중인 탕산만(唐山灣) 에코시티와 친저우(欽州) 산업단지 등을, 민간부문 진출 사례는 일본·싱가포르·한국 등의 건설 및 설계 관련 기업 등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 결과 우리 정부는 중국 도시개발 협력모델을 개발하고 정부 간 협력 거버넌스를 구축하는 등 장기적인 노력과 함께, 기진출 기업에 대한 지원을 다각화해야 한다. 특히 인적 네트워크가 중요한 도시개발 분야의 특징을 감안한 인적 교류 확대의 장 마련, 진출지원 전담기구 설립, 적극적인 홍보 지원, 종합적인 데이터베이스 구축 및 제공 등이 필요하다. 또한 우리기업의 중국 도시개발 시장 진출을 제약하는 제도적 장벽 및 불평등 요인 등을 개선할 수 있도록 한·중 FTA 협상 시 관련 논의가 필요하다.

 China is enthusiastically pushing forward the urbanization that will effectively expand  the development demand and domestic market. Thus, a wide range of urban development projects are underway across the country on the basis of the cooperation with foreign countries. McKinsey Global Institute (MGI) forecasts that the urban population in China will increase by 17 million every year until 2030 and the urban population increased will reach a total of 300 million until then. To prepare the living space for them and the infrastructure for the production/distribution/consumption of goods and services, the development demand and domestic market are expected to expand, accordingly. Currently each province in China pushes forward a wide range of urban development projects that include building infrastructure, housing construction, and building infrastructure in rural areas and small and medium sized cities, positively utilizing foreign capital, technology and ideas.
 However, Korea, despite its rich experience in urban development and overseas’ construction projects, does not effectively preoccupy the rapidly growing urban development demand in China. Korea’s inroad into the urban development in China will provide the new opportunities of market entry to the companies directly related to urban development such as construction, IT and environment related companies and other indirectly related companies such as the companies related to distribution, health care and culture. Thus, it is worthwhile to utilize Korean companies’ participation in the urban development projects in China, which will provide a wide range of opportunities for Korean companies in various fields, as the strategies for breaking into the domestic markets in China.
This study seeks after the measures to effectively support Korean companies’ entering the Chinese market through the case study of the foreign companies with the presence in China at the level of basic research on the urban development in China which have been seldom dealt with in the previous studies. Furthermore, the study has categorized the types of inroad into G-G based inroad and private companies’ inroad.
The research results demonstrate that there is a need for the government to make long term efforts to develop cooperative models for the urban development in China and to build G-G based cooperative governance, and to diversify the supports for the companies with the presences in China. Particularly, creating the opportunities for personal exchange, establishing dedicated bodies that support the inroad, aggressive PR support, and building and providing integrated DB by considering the nature of the urban development for which human network is essential are needed. Furthermore the discussions to improve the institutional barriers and inequality issues during Korea-China FTA negotiation are needed.

국문요약 


제1장 서론 
1. 연구 배경 및 목적 
2. 연구방법 및 한계 


제2장 중국 도시개발 시장 현황 
1. 도시개발 투자 
2. 건설업계 현황 
3. 도시개발 수요 전망 
4. 외국 및 한국 기업의 중국 도시개발 진출 개황 


제3장 정부간 협력 사례 
1. 중국·싱가포르 쑤저우(蘇州) 공업단지 
가. 개황 
나. 협력배경 및 추진과정 
다. 협력내용 및 성과 
라. 중점산업 및 주요 프로젝트 
마. 문제점 
2. 중국·싱가포르 톈진(天津) 에코시티 
가. 개황 
나. 협력배경 및 추진과정 
다. 협력내용 및 성과 
라. 중점산업 및 주요 프로젝트 
마. 문제점 
3. 중국·싱가포르 광저우(廣州) 지식도시 
가. 개황 
나. 협력배경 및 추진과정 
다. 협력내용 및 성과 
라. 중점산업 및 주요 프로젝트 
마. 문제점  
4. 중국·스웨덴 탕산만(唐山灣) 에코시티 
가. 개황 
나. 협력배경 및 추진과정 
다. 주요 내용 
라. 주요 협력 프로젝트 
마. 문제점  
5. 중국·말레이시아 친저우(欽州) 산업단지 
가. 개황  
나. 협력배경 및 추진과정 
다. 협력내용 및 성과  
라. 중점산업 및 주요 프로젝트 
마. 문제점 


제4장 민간부문 진출 사례 
1. 일본 구로카와 설계사무소: 정동신구(鄭東新區)종합설계 
  가. 기업 소개 
나. 정동신구 진출 배경 및 경과 
다. 정동신구 개발의 주요 내용 및 성과 
라. 주요 프로젝트 
마. 애로사항 
2. 싱가포르 SCP 
가. 기업 소개 
나. 중국시장 진출배경  
다. 주요 프로젝트 및 성과 
라. 애로사항 및 향후 계획 
3. 한국 세양건설 
가. 기업 소개 
나. 중국시장 진출배경 
다. 주요 사업 및 성과 
라. 주요 프로젝트 
마. 애로사항 
4. 한국 한라건설 
가. 기업 소개 
나. 중국시장 진출배경 
다. 주요 프로젝트 및 성과 
라. 애로사항 및 향후 계획 


제5장 정책적 시사점 
1. 협력 거버넌스 구축 
가. 필요성 
나. 사례연구를 통해 본 기대효과 
다. 정부 간 협의체 및 사업 추진체 마련 
2. 재원조달 방식 다원화 
3. 기업 지원 방안 
가. 인적 교류의 장 마련 
나. 진출지원 전담기구 마련 
다. 적극적인 홍보지원 
라. 종합적인 데이터베이스 구축 및 제공 
4. 한·중 FTA에 대한 시사점 


참고문헌 


Executive Summary

판매정보

분량/크기, 판매가격
분량/크기 146
판매가격 7000 원

구매하기 목록

같은 주제의 보고서

세계지역전략연구 Exploring Urban Perception on Climate Change in Developing Countries 2024-08-29 단행본 2023 KIEP 정책연구 브리핑 2024-06-28 연구보고서 시진핑 시기 중국의 해외직접투자 전략 변화와 시사점 2023-12-30 연구보고서 해외직접투자가 기업의 지식재산권 확보와 성과에 미치는 영향 2023-12-29 연구보고서 대러 경제 제재가 러시아 경제에 미치는 영향과 한-러 경제협력 안정화 방안 2023-12-29 연구보고서 글로벌 경제안보 환경변화와 한국의 대응 2023-12-29 중장기통상전략연구 인도의 중장기 통상전략과 한·인도 협력 방안 2023-12-29 중장기통상전략연구 몽골의 중장기 통상전략과 한·몽골 협력 방안 2023-12-29 연구보고서 인도-태평양 전략 추진을 위한 한-태평양도서국 중장기 협력 방안 2023-12-29 연구보고서 미중 기술경쟁 시대 중국의 강소기업 육성전략과 시사점 2023-12-29 연구보고서 미중경쟁에 따른 아세안 역내 공급망 재편과 한국의 대응방안 2023-12-29 중장기통상전략연구 남아프리카공화국의 중장기 통상전략과 한·남아공 협력 방안 2023-12-29 연구자료 동티모르의 아세안 가입 지원 및 개발협력 확대 방안 2023-12-29 중장기통상전략연구 멕시코의 중장기 통상전략과 한·멕시코 협력 방안 2023-12-29 중장기통상전략연구 호주의 중장기 통상전략과 한·호주 협력 방안 2023-12-29 연구보고서 인도태평양 시대 한ㆍ인도 경제협력의 방향과 과제 2023-12-29 연구보고서 인도 서비스 산업 구조 분석과 한-인도 산업 협력 확대 방안 2023-12-29 연구보고서 일본의 글로벌 공급망 리스크 관리와 한·일 간 협력방안 연구 2023-12-29 연구보고서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이 EU의 '개방형 전략적 자율성' 확대에 미친 영향: 에너지 전환, 인적 교류, 안보 통합을 중심으로 2023-12-30 연구보고서 중동부유럽으로의 EU 확대 평가와 향후 전망 2023-12-29
공공누리 OPEN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 출처표시, 상업용금지, 변경금지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표시기준 (공공누리, KOGL) 제4유형

대외경제정책연구원의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 금지 +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저작권정책 참조

콘텐츠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콘텐츠 만족도 조사

0/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