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전체보고서

발간물

목록으로
연구자료 중·홍콩 CEPA 서비스 양허안 분석을 통한 한·중 FTA 서비스 협상전략 연구 경제협력, 무역정책

저자 여지나, 박민숙 발간번호 12-03 자료언어 Korean 발간일 2012.12.31

원문보기(다운로드:1,242) 저자별 보고서 주제별 보고서

중·홍콩 CEPA 서비스 양허안은 많은 서비스 분야에 대한 폭넓은 개방양허를 기재하고 있어 서비스 부문을 개방하는 중국의 단계별 전략과 개방 상한선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한·중 FTA 서비스 협상을 준비하기 위해서는 중·홍콩 CEPA 서비스 양허안에 대한 심층적 분석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중국의 GATS 양허안을 기본으로 중·홍콩 CEPA를 포함한 현재까지 중국의 모든 기체결 FTA 서비스 양허안을 분석하고 이를 통해 중국의 서비스 개방수준을 파악함으로써, 한·중 FTA 서비스 협상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고 있다.
중국은 중·홍콩 CEPA의 경우와 같이 홍콩의 특수성 때문에 허용한 높은 수준의 서비스 개방을 다른 국가에 적용할 수 없다는 입장이다. 그러나 중국은 최근 체결한 중·대만 ECFA 서비스 EHP에서 일부 서비스 분야에 대해 중·홍콩 CEPA와 같이 높은 수준의 개방을 양허하였다. 대만이 국제사회에서 여전히 주권국가로 인식되는 점과 WTO상 개별회원으로서의 지위가 보장되고 있는 점을 고려할 때 대만은 홍콩과는 차별적인 협상 대상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중국이 중·대만 ECFA에서 중·홍콩 CEPA에 버금가는 개방을 한 분야가 있다는 것은 다른 국가와의 FTA 협상에서도 중국이 진전된 개방을 할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중·홍콩 CEPA는 협상방식의 측면에서 한·중 FTA에 시사점을 제공한다. 첫째, 중·홍콩 CEPA와 같이 매년 보충협정을 체결하면서 점진적으로 서비스 개방의 수준을 높여가는 방식을 한·중 FTA에도 적용할 수 있다. 둘째 중·홍콩 CEPA처럼 홍콩과 인접한 광둥성 지역에 우선적인 개방조치를 시험한 후, 성공적으로 평가되면 이후 보충협정에서 지역을 확대해가는 선행시험 조치(先行先试, pilot basis)를 한·중 FTA에 차용할 수 있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중국의 기체결 FTA 서비스 양허안 분석을 통해, 서비스 양허안의 협상방식과 양허 논의가 가능할 것으로 예상되는 서비스 분야에 대해 제안하였다. 먼저 개방의 심도와 폭과 같은 협상의 기대수준(ambition)을 정하는 측면에서 한·중 FTA에서 가능한 협상의 네 가지 유형을 설정하였다. 1) WTO 양허안에 몇 가지 서비스 부문을 추가 개방하거나, 기존 개방 부문의 심도를 조금 높이는 방식, 2) 중·홍콩 CEPA처럼 WTO 서비스 분류 범주에 구애받지 않고, 양국간의 실질적 서비스 수요·공급에 적절한 서비스 분야를 위주로 구성된 새로운 양허 협상을 진행하는 방식, 3) 한·미 FTA, 한·싱가포르 FTA, 한·인도 CEPA 등과의 서비스 협상처럼 주요한 서비스 분야(금융, 통신, 시청각 공동제작, 전자상거래, 정부조달 등)를 별도의 챕터로 포함하는 방식, 4) 완전한 네거티브 양허방식이다. 후자로 갈수록 개방의 심도는 높아지지만 중국이 DDA 수정 양허안에서 GATS보다 진전된 개방을 거의 기재하지 않은 점과 기체결 FTA 서비스 양허안에서도 GATS 플러스 양허가 많지 않은 점을 감안할 때, 한·중 FTA 서비스 협상의 양허수준은 2)와 3) 사이의 수준에서 결정되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중·홍콩 CEPA 서비스 양허안 분석을 통해 한·중 FTA 서비스 양허 가능 예상 분야를 도출하였다. 중국이 양허안에 기재하는 서비스 분야의 개수는 전반적으로 62개에서 67개 사이에서 유지되고 있다. 기재하는 분야의 수를 비슷하게 유지하기 위하여, DDA나 DDA 플러스 분야를 많이 기재한 양허안에는 GATS 마이너스나 DDA 마이너스가 많이 나타나고 있다. 이는 중국이 서비스 양허안 협상 시에 전체적인 기재부문의 개수가 늘어나는 것을 원하지 않음을 보여준다. 따라서 개방부문의 숫자는 많이 늘리지 않으면서도 양허의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서비스 분야들을 선별하는 것이 성공적인 협상의 관건이다.
기체결 FTA에서 DDA나 DDA 플러스 개방을 기재하고, CEPA에서도 보충협정을 통해 추가적인 개방을 여러 번 한 경우는 중국이 GATS 플러스로 개방할 가능성이 비교적 높은 서비스 분야이다. 이러한 서비스 분야에는 전문가 서비스 중 법률, 건축·엔지니어링·통합엔지니어링·도시계획, 의료 및 치의료 서비스가 있고, 컴퓨터 관련 서비스, R&D 서비스, 부동산 서비스, 시장조사 서비스, 경영 컨설팅 관련 서비스, 인력배치 및 공급 서비스, 과학기술 컨설팅 서비스, 빌딩청소 서비스, 프린팅 서비스 등이 있다. 그 밖에 건설 및 관련 엔지니어링 서비스, 유통 서비스, 환경 서비스, 은행 서비스, 건강 관련 및 사회서비스, 관광 및 여행 관련 서비스, 오락 문화 및 스포츠 서비스, 해상서비스, 항공서비스, 도로운송 서비스 등도 DDA/DDA 플러스 부문이 기재된 동시에 CEPA에서 보충협정을 통해 중국이 개방을 여러 번 양허한 서비스 분야들이다.
한편 중국이 GATS나 기체결 FTA에서는 기재하지 않았지만 중·홍콩 CEPA에서 새롭게 기재한 시청각 서비스의 영화나 드라마 합작제작이나, 보건 및 사회서비스의 요양병원 서비스와 노인 및 장애인 요양 시설을 통한 사회서비스 등은 중국의 소비수준 제고와 고령화 심화 등에 따라 문화시장과 실버산업이 확대되는 점을 감안할 때 FTA를 통한 개방 시 선점효과가 클 것으로 예상되는 분야이다.
The service concessions in the China-Hong Kong CEPA have turned out to be unprecedentedly wide and progressive, as it has been negotiated annually which deepened the level of openness after its initial conclusion in 2003. An in-depth analysis of the China-Hong Kong CEPA (Closer Economic Partnership Arrangement) is necessary for Korea to set up proper strategies for Korea-China FTA (KCFTA) service negotiations. We can identify China’s strategies and the upper limit of opening in the services sectors through an examination of service concessions in the China-Hong Kong CEPA. This study attempts to analyze China’s service concessions in every trade liberalization agreement China has signed, from GATS to China-Hong Kong CEPA service concessions, in order to draw out implications for the KCFTA service negotiations.
China asserts that the high level of service market opening in the CEPA stems from the special relationship between China and Hong Kong, and is not applicable to FTA negotiations with other countries. However, service concessions in the Early Harvest Programs (EHP) of the China-Taiwan Economic Cooperation Framework Agreement (ECFA) contains some concessions of levels of service opening similar to the CEPA. Taiwan, unlike Hong Kong, is recognized as a sovereign state in international society and treated as a formal member of WTO. Therefore, China’s level of service opening with other countries can go further in certain service sectors, compared to levels seen in its negotiations with Taiwan.
The CEPA also has some implications for KCFTA negotiations in terms of the framework of the agreement. First, China and Hong Kong have enriched the content of CEPA with continued liberalization through annual negotiations since 2004. Korea and China will also be able to broaden the range of service liberalization through regular negotiations in the KCFTA framework, just as in the CEPA. Second, the CEPA contains liberalization measures, the so-called Guangdong pilot basis measures, which are tested in an adjacent province, and will be expanded to other regions after they prove to be successful in the Guangdong area.
This study also attempts to suggest the appropriate modality of the service negotiation by presenting four types of concessions in terms of the expected level of service opening in the KCFTA; 1) going slightly further with WTO concessions by inserting some service sectors or by increasing the existing level of opening in already open sectors; 2) as shown in the China-Hong Kong CEPA, a new concession list could be made under the new service sector classification which is a modified form of the WTO service classification; 3) include new chapters for important service sectors such as finance, telecommunication, audio-visual coproduction, e-commerce, government procurement etc. just like in the Korea-US FTA, Korea-Singapore FTA and Korea-India CEPA(Comprehensive Economic Partnership Agreement); 4) complete negative list. Considering China’s cautious approach to opening its service market through FTAs, the best option would be to mix types 2) and 3).
Finally, this study suggests service sectors that may be included in the KCFTA service negotiation by analyzing the DDA, DDA plus, and CEPA concessions. The number of service sectors listed in China's FTA service concessions are maintained at 62-67 items. It seems that China wants to maintain the number of listed sectors at this level with respect to the FTAs. Therefore, the key to successful negotiation results is to keep the number of listed sectors at a level similar to China's other FTAs, and to select the core sectors that can magnify the result of market openings at the same time.
There are service sectors in DDA, DDA plus and CEPA concessions that China may be more willing to open. These sectors are as follows: the professional services such as Legal, Architecture, Engineering, Integrated engineering, Urban planning, Medical and dental, Computer and Related Services, R&D, Real Estate, Market research, Management consulting, personnel placement and supply, scientific/technical consulting, Building-cleaning, Printing etc. In addition, the following sectors are also listed in DDA, DDA plus, and CEPA concessions: Construction and related engineering services, Distribution services, Environmental services, Banking and Other Financial Services, Health and social services, Tourism and travel service; Recreational, Cultural and sporting services; Maritime transport services, Air transport services, and Road transport services.
The new sectors only included in CEPA concessions are promising sectors when considering the expanding culture and silver industry market in China, the rising level of consumption and aging society. These sectors include audio-visual co-production, and health and social services related to the Welfare services delivered through residential institutions to old persons and the handicapped.

국문요약 


 


제1장 서  론 
1. 연구의 목적과 의의 
2. 선행연구 검토 
3. 연구의 범위 


 


제2장 중·홍콩 경제관계 현황 및 CEPA 체결 경과 
1. 중·홍콩 무역 및 투자 현황 
가. 무역협력 현황 
나. 투자협력 현황 
2. 중·홍콩 CEPA 체결 경과 및 협정의 특징 
가. 매년 보충협정 체결 
나. 광둥성 선행시험 조치 도입 
3. 중·홍콩 CEPA와 중·대만 ECFA의 성격  2


 


제3장 중국 기체결 FTA 및 중·홍콩 CEPA 서비스 양허안 분석 
1. 중국 기체결 FTA의 서비스 양허안 개방내용 
가. 중국 FTA의 서비스 협정 체결 현황 
나. 중국 기체결 FTA의 서비스 양허안 개방수준 분석 
2. 중·홍콩 CEPA 서비스 양허안 개방내용 및 심도분석 
가. 중·홍콩 CEPA 서비스 양허안의 특징 
나. 중·홍콩 CEPA 서비스 양허안 개방내용 
3. 중·홍콩 CEPA와 중·대만 ECFA의 서비스 양허안 비교 
가. 금융업 
나. 병원 서비스 
다. 기타 서비스 


 


제4장 한·중 FTA 서비스 협상에 대한 시사점 
1. 중·홍콩 CEPA의 협상방식 차용 
가. 점진적인 보충협정 체결 
나. 한·중 간 교류가 많은 지역 우선의 선행시험조치 도입 
2. 한·중 FTA 서비스 양허안 협상방식 제안 
3. 중국 기체결 FTA와 중·홍콩 CEPA 양허안 분석에 따른한·중 FTA 서비스 양허 가능 예상 분야 


 


참고문헌 


 


부록: 중국 기체결 FTA 양허 현황표 


 


Executive Summary 

판매정보

분량/크기, 판매가격
분량/크기 122
판매가격 7000 원

구매하기 목록

같은 주제의 보고서

중국종합연구 한중 탄소중립 협력 활성화 방안 연구 2023-12-29 중국종합연구 2023년 중국종합연구 총서 정책연구과제 요약집 2023-12-29 중국종합연구 탄소중립 시대 중국 동북지역 한중 지역개발 협력방안 : 중국 지린성을 중심으로 2023-12-29 세계지역전략연구 한-인도 해운·항만산업 협력방안 연구 2023-12-29 세계지역전략연구 아세안 주요국의 난민지원정책과 한국에 대한 시사점 2023-12-30 세계지역전략연구 중동·북아프리카 식량위기에 대한 역내 인식과 대응 및 협력방안 2023-12-27 단행본 만화로 보는 세계경제 2023 2023-12-23 세계지역전략연구 사하라이남 아프리카 주요국의 탈탄소 정책과 청정에너지부문 협력 방안 2023-11-29 연구자료 WTO 서비스 국내규제 규범의분석과 시사점 2023-11-24 연구자료 동지중해 천연가스 개발 현황과 한국의 협력 방안 2023-10-20 연구자료 국제사회의 성평등 무역규범 도입 현황과 한국의 정책과제 2023-05-06 연구보고서 경제안보 이슈의 부상과 대외협력 방향 2022-12-30 세계지역전략연구 주요국의 대남아시아 경제협력전략과 정책 시사점: 중국, 일본, 인도를 중심으로 2022-12-30 연구자료 최근 Mega FTA SPS 규범의 국제논의 동향 및 시사점 2023-05-19 연구보고서 미·중 전략 경쟁 시대 글로벌 기업의 대응과 중국진출 한국기업에 대한 시사점 2022-12-30 중장기통상전략연구 일본의 중장기 통상전략과 한·일 협력 방안 2022-12-30 연구보고서 포용적 무역을 위한 국내보완대책의 성과와 시사점 2022-12-30 연구보고서 한국-동남아 가치사슬 안정화를 위한 메콩지역 협력 방안 연구 2022-12-30 중장기통상전략연구 아세안의 중장기 통상전략과 한-아세안 협력 방안 2022-12-30 연구자료 무역 자유화와 소비자 후생효과: 품질 다양성을 중심으로 2023-05-25
공공누리 OPEN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 출처표시, 상업용금지, 변경금지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표시기준 (공공누리, KOGL) 제4유형

대외경제정책연구원의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 금지 +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저작권정책 참조

콘텐츠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콘텐츠 만족도 조사

0/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