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간물
전체보고서
한편 본 연구를 통하여 살펴본 국가별 전략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태국은 2003년 탁신 총리의 주도로 메콩경제협력전략기구(ACMECS)를 통하여 지역 리더십을 확보하고, 경제적ㆍ안보적 이해를 추구하는 전략을 추진해 왔다. 또한 인접국가와의 역사적 관계, 지리적 위치, 무역, 투자, 경제협력 등 다양한 측면에서 메콩지역 개발의 확고한 중심세력이 되어 왔다. 캄보디아는 사각전략(rectangular strategy)을 통하여 성장, 고용, 평등, 효율을 중시해 왔으며, 특히 메콩지역 개발에 있어 ‘수자원과 관개 관리’에 중점을 두면서 성장과 효율을 강조해 왔다. 또한 메콩위원회(MRC)에 적극 참여하면서 ‘녹색성장’을 위한 개발전략을 마련하고 있다. 라오스는 2020년까지 최빈국을 벗어나기 위하여 수자원 개발을 위한 사업을 추진하고 있는데, 지정학적 힘의 열세 속에서 주권과 자율성을 유지하기 위하여 메콩지역 개발을 전략적으로 활용해 왔다. 즉 수력개발에 대한 자율을 지키면서도 다자주의와 균형전략을 펼쳐왔으며, 이 과정에서 메콩위원회(MRC)의 주 사무국을 유치하는 성과를 거두기도 하였다.
한국은 2011년 10월 제1차 한ㆍ메콩 외교장관 회의를 개최하고, ‘상호 번영을 위한 한ㆍ메콩 간 포괄적 파트너십 구축에 대한 한강 선언’을 발표하였다. 이는 향후 한국이 메콩지역 개발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겠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다. 앞서 언급한 태국, 캄보디아, 라오스의 전략을 살펴볼 때, 한국은 라오스나 미얀마에 대한 개발협력 사업 추진 시 태국을 활용하는 삼각협력(triangular cooperation) 방식을 고려해야 한다. 또한 캄보디아의 톤레사프 강의 역할을 조명하면서 이것이 메콩지역 개발협력 사업에 어떠한 장점으로 작용할 수 있는지 연구하는 것도 중요하다. 또한 한국은 메콩 수자원 및 수력개발에 대한 보다 정확하고 세밀한 분석을 통해 한국 기업들이 구체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사업들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 2012년 라오스의 비엔티안에서 예정된 아시아ㆍ유럽 정상회의(ASEM: Asia Europe Meeting)를 계기로 라오스의 수자원 및 수력 개발사업에 적극 참여하는 방안을 강구하는 것도 필요하다.
The Mekong Institute is also an important player in the region’s development, as it oversees projects in human development, and extending the work in this area into various consulting projects. The efforts by the ASEAN-Mekong Basin Development Cooperation(AMBDC) places greater focus on such areas as infrastructure, and logistics/transportation. However, progress has been slower than ADB projects given the comparative lack of funds available to the AMBDC compared to the ADB.
The focus of the Ayeyawady-Chao Phraya-Mekong Economic Cooperation Strategy(ACMECS), headed by Thailand, is on agriculture, infrastructure, and tourism; based on sector cooperation between countries in the region and sustainable development. The level of cooperation in the region is expected to increase with the election of Yinglak Shinawatra as prime minister of Thailand. Also, the ASEAN economic community, which will be implemented by 2015, is expected to offer continued support for the region’s underdeveloped countries (CLMV) in various areas.
The strategies for each country as revealed in the research can be outlined as follows.
Thailand, under the leadership of its PM Thaksin, has sought to secure regional leadership while pursuing its economic and security interests through the ACMECS. It has become the unquestioned locus of development in the Mekong region in terms of its historical relations with its neighbors, geographical location, trade, investment, and economic cooperation.
Cambodia has given priority to growth, employment, equality, and efficiency through its ‘Rectangular Strategy’; with particular focus on management of water resources and irrigation, with emphasis on growth and efficiency.
Laos is engaged in project in development in water resources with aims of extricating itself from its status as a least-developed country by 2020. Its approach to the Mekong region development is strategic, as it seeks to maintain sovereignty and autonomy in the region against obvious geopolitical disadvantages as a weak power. It has maintained a strategy based on multilateralism and regional balance in the development of hydropower, and made some notable accomplishments such as bringing the MRC headquarters to Laos.
Korea has hosted the 1st Korea-Mekong Foreign Ministers meeting in October 2011, and concluded it with the「Han-River Declaration」of Establishing the Mekong-ROK Comprehensive Partnership for Mutual Prosperity, indicating that Korea would take active part in the development of the Mekong region in the future. Given strategies employed by Thailand, Cambodia, and Laos; Korea will do better to employ the Triangular Cooperation formula, utilizing Thailand when engaging in development cooperation projects involving Laos or Myanmar. In addition, highlighting the role of Tonle Sap River in Cambodia and research for possible advantages it can offer for development cooperation in the Mekong Region will be important. It is also necessary to examine projects that Korean companies can actually undertake through detailed and accurate analysis of water resource/hydropower development in the Mekong. Last but not least, it might be necessary to make the Asia-Europe Meeting (ASEM) scheduled to be held in Vientiane, Laos a forum where measures for active participation in water resources/hydropower could be devised.
국문요약
제1장 서론
1. 연구 필요성 및 목적
2. 기존 연구 검토 및 본 연구의 차별성
3. 연구방법 및 구성
제2장 메콩지역 개발 참여 협의체와 특징
1. GMS 프로그램
2. 메콩강위원회(MRC)
3. 메콩연구소(MI)
4. 에야와디-짜오프라야-메콩경제협력전략기구(ACMECS)
5. ASEANㆍ메콩강 유역 개발협력사업(AMBDC)
6. ASEAN 통합 이니셔티브(IAI)
제3장 태국의 메콩지역 개발 참여전략
1. 태국과 메콩지역 개발
2. 태국의 메콩지역 국가와의 경제협력 현황
가. 무역
나. 직접투자
다. 경제협력
3. 지역적 요인
가. 지역패권 추구의 역사적 과정
나. 지역 리더십 확보
4. 국내적 요인
가. 정치적 이해
나. 안보적 이해
다. 경제적 이해
5. 소결
제4장 캄보디아의 메콩 수자원 개발 전략
1. 문제의식과 연구의 기본 틀
가. 초국가적 수자원 개발의 의미
나. 메콩 수자원 개발에 관한 국가적 전략과 지역협력의 관계
2. 캄보디아의 메콩지역
가. 캄보디아 메콩강의 지리적 특성
나. 캄보디아 메콩 수자원의 개발 현황
3. 캄보디아 국가발전의 맥락 속에서 본 메콩 수자원 개발 전략
가. 수자원 개발 관련 주요 정부기관과 조직
나. 국가발전 전략과 메콩 수자원 개발
다. 캄보디아 메콩 수자원 개발의 정치적 쟁점: 삼보 수력발전 댐
4. 지역협력의 맥락에서 본 캄보디아의 메콩 수자원 개발 전략: MRC를 중심으로
가. MRC 체제 이전 지역협력과 캄보디아
나. MRC 체제의 특징과 캄보디아의 메콩 수자원 개발 전략의 의미
5. 소결: 캄보디아의 국가전략과 지역협력 전략의 보완적 모색 필요
제5장 라오스의 메콩 수자원 개발 전략
1. 라오스와 메콩 수자원 개발
가. 메콩강의 사회ㆍ경제적 의미
나. 라오스 수력개발 추이와 잠재력
2. 라오스 수자원 개발 현황
가. 라오스 수력개발 정책
나. 전력수출 여건 및 전망
3. 라오스 수자원 개발의 대외 환경
가. 글로벌 및 지역 환경의 변화
나. 개별 국가 환경
4. 메콩 수자원 개발에 관한 라오스 대외전략
가. 다자주의 전략
나. 균형전략
5. 소결: 라오스 전략의 과제
가. 수동적 전략의 한계
나. 내부적 과제
제6장 결론
1. 지역협력체간 협력분야 비교
2. 태국, 캄보디아, 라오스의 협력전략 비교
3. 정책적 시사점
참고문헌
Executive Summary
판매정보
분량/크기 | 204 |
---|---|
판매가격 | 7000 원 |
같은 주제의 보고서

대외경제정책연구원의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 금지 +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저작권정책 참조
콘텐츠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