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전체보고서

발간물

목록으로
연구자료 한·중미 녹색산업협력 확대방안 경제협력, 산업정책

저자 하상섭, 정경원, 손혜현 발간번호 10-40 자료언어 Korean 발간일 2010.12.30

원문보기(다운로드:1,376) 저자별 보고서 주제별 보고서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의 대중미 녹색산업 진출을 위한 정책적 함의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즉, 한국 녹색성장 모델의 대중미 진출 측면과 한국 녹색산업의 중미지역 확대를 위한 다양한 정책적 방안 연구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먼저 녹색산업의 개념 접근을 통해 오늘날 한국과 중미지역에서 발전하고 있는 녹색산업의 산업적 분류와 정의를 비교했다. 중미지역의 특수한 상황을 충분히 고려하여 한국 녹색산업 진출을 위한 가장 적합한 세 가지 분류—환경산업, 재생에너지 분야, 에너지 효율화 부문을 공통분모로 채택하여 연구를 진행시켰다. 이와 더불어 중미지역의 일반 환경과 다양한 환경이슈, 환경문제 그리고 환경법과 기구, 프로그램의 발전 등에 대해 개별 국가별 그리고 중미통합체제(SICA)의 제도적 발전 정도를 살펴보았다. 이를 바탕으로 제3장에서는 실질적으로 중미 각국의 녹색산업 현황과 발전 정도를 다양한 녹색환경정보를 통해 정리·요약해 보았다.
중미지역의 녹색산업은 크게 물, 기초위생 그리고 오폐수관리와 관계된 환경설비분야와 상업적 환경 서비스와 환경컨설팅과 같은 비(非 ) 설비 분야를 포괄하는 환경산업, 신재생에너지산업, 에너지효율화 산업으로 구분된다. 특히 중미 대부분의 국가들이 식수, 기초위생시설, 폐기물처리, 재활용, 대기오염 부분에서 매우 열악한 상황에 처해 있다. 폐기물처리와 재활용을 제외한 대부분의 환경산업은 국가가 주도하고 있지만, 반복적인 경제 불안정으로 환경과 국민들의 기본적인 필요를 충족시키기에 턱없이 부족한 예산규모로는 정부에 의한 서비스 제공이 제한적일 수밖에 없다. 하수도, 하수처리시설 및 기초위생서비스 부분의 보급률과 기술수준 그리고 환경과 건강에 대한 국민의 인식이 매우 낮고, 서비스 제공도 체계적·조직적으로 운영되지 않아 고품질의 서비스 제공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과테말라, 온두라스 그리고 니카라과는 중미지역에서도 환경기초설비 분야가 가장 열악하기 때문에 가장 많은 투자가 요구되는 국가들이기도 하다. 세 국가는 주로 화력발전을 통해 전기를 생산하고 중요한 에너지원이 장작이기 때문에 장작의 연소 과정에서 발생하는 이산화탄소는 대기오염의 주요 요인이 되고 있다. 또한 활발한 화산활동 역시 심각한 대기오염의 원인이 되고 있다. 따라서 대기오염물질 규제가 강화됨에 따라 대기오염방지장치 시장이 확대될 것으로 예측된다. 대부분의 중미지역 국가들은 경제규모가 작고 낮은 수준의 경제발전단계에 있어 기본적인 환경 서비스와 환경기반시설에 대한 필요성이 매우 높다. 다시 말해 환경산업의 성장 잠재력이 매우 큰 시장이라고 할 수 있다.
신재생에너지는 녹색산업 가운데 가장 협력가능성이 높은 산업이다. 중미지역은 열대기후로 강우량, 식물, 바이오매스, 그리고 일조량이 풍부하고, 화산지대이기 때문에 지열을 이용한 발전에 최적의 조건을 가지고 있다. 풍력발전에 적합한 장소도 많다. 즉 세계에서 재생에너지의 활용가능성이 가장 높은 지역 중 한 곳이다.
최근 10년간 중미지역 국가들은 평균 5.2%에 달하는 전기수요 증가로 인해 심각한 전력난에 당면하였다. 이에 2007년 12월 중미국가정상회담에서는 「지속가능한 중미에너지전략 2020」을 발표했다. 이 전략의 목표는 환경과의 공존, 경제성장, 사회평등을 고려하면서 지속가능한 발전에 필요한 에너지원의 양과 질 그리고 다변화를 통한 중미지역 에너지공급의 안정화다. 특히 석유와 석탄 같은 화석연료에 대한 의존도를 낮추고, 신재생에너지와 에너지 효율화를 통한 에너지 절약을 주장하고 있다. 이를 위한 방법으로 첫째 에너지효율 조명 교체 및 냉장고 도입을 통한 에너지 절약(12%), 둘째 신재생에너지를 이용한 전력생산능력 증가(11%), 셋째 교통부문 화석연료 15%를 바이오에너지로 대체, 넷째 산업부문 에너지효율화 극대화를 통한 연간 최소 10%의 에너지 절감 등을 제시하였다.
이와 더불어 경제성장에 따른 전력수요 증가로(연간 5.1∼6.1%) 인한 추가적인 전력공급을 위해 수력과 지열, 바이오매스, 풍력 등 신재생에너지를 이용한 전력생산을 강력한 대안으로 제시하고 있다. 비록 국가마다 전략과 내용에는 차이가 있지만, 모든 국가가 공통적으로 신재생에너지를 이용한 전력생산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파나마와 코스타리카, 과테말라는 수력발전을 위한 최적의 조건을 갖추고 있으며, 엘살바도르는 수력발전에, 온두라스와 니카라과는 풍력발전에 관심을 보이고 있다. 신재생에너지를 활성화하기 위해 중미 각국은 다양한 인센티브를 제도화하고 있다.
중미지역은 산업화 수준이 낮기 때문에 에너지효율화 산업의 잠재력이 매우 큰 시장이다. 고유가로 인한 에너지 가격상승과 지구온난화문제의 해결을 위해 에너지 공급측면에서 신재생에너지의 공급확대가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신재생에너지와 같은 대체에너지 개발에는 고도의 기술개발과 많은 투자가 요구된다. 특히 기술적·재정적 장벽이 높은 중미지역에서는 현재의 에너지 문제를 극복하는 데 에너지효율화 전략이 효과적인 전략으로 부각되고 있다. 그러나 정치적, 기술적 그리고 금융적 장벽이 높기 때문에 시장진출이 용이하지만은 않은 실정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최근 중미 국가들은 에너지의 효율적 이용을 위한 제도적 장치와 인센티브를 통해 에너지효율화와 합리적 이용을 촉진하기 위한 방법을 적극적으로 모색하고 있다.
한국의 녹색산업 진출 가능성은 이러한 중미 기회를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데 있다. 오늘날 이미 이 지역에 진출한 외국의 중미지역 녹색산업의 사례들은 이러한 가능성을 더욱 높여주고 있다. 전략적 차원의 SWOT 분석과 정책적 제언 그리고 ‘액션 플랜’을 통해 살펴보았듯이, 한국 녹색산업의 중미지역 진출방안은 제도, 금융, 기술, 그리고 환경이라는 새로운 국제협력 의제를 잘 활용하는 가운데 점진적으로 발전할 수 있다.
This study aims to develop policy implications with focus on the development of the Korean green industry and its expansion into the Central America. In other words, it makes policy suggestions for improvement of the Korean green growth model and its application to Central America’s green industries. For more effective policy suggestions, this study brings out the valid concept of green industry based on a comparison of industrial categories in Korea and the Central America.
Considering the particulars of the Central American situation and its green industry development, the best concept of a ‘green industry’ categorized here (adopted with three industrial areas as a common denominator) are: environmental industry, renewable energy industry and energy efficiency industry. In addition, this study provides basic information on the general environment of the green industry in Central America; examines various environmental issues and environmental situations relating to water, air, land, forest and the ecosystem as a whole; and will also include environmental law, institution and programs at the level of the Central American Community (e.g. SICA) and each individual country. Based on these backgrounds, this study moves into earnest analysis of the actual situation inthe environmental industry, and its development in Central America and its 8 constituent countries. At the level of the regional community, the green industry in Central America has developed in water, basic sanitation, wastewater treatment and its management, which are urgently needed in individual countries as well.
In particular, many individual countries face problems with supply of drinking water, the lack of basic sanitation infrastructure, insufficient waste treatment facilities, recycling waste matter, air contamination, etc. even though the state has taken up many of the responsibilities of environmental industries except waste treatment and recycling. Many Central American countries have not provided proper environmental services given their small government budgets and intermittent economic instability. The distribution rate and the level of technology in such areas as sewage treatment and basic sanitation service are very low, that is the quality of service provided is poor and the system is not well-organized in its operation.
For example, Guatemala, Honduras and Nicaragua are very poor cases; particularly concerning basic environmental infrastructure. Thus more investment in this field is vitally necessary. Most Central American countries provide electricity with thermal power generation and use firewood in individual houses, thus emitting much CO2 into the atmosphere and contaminate the air. Due to much volcanic activity in this region, air contamination is increased further. It is expected that equipment or technology for air-pollution prevention is urgently necessary in this region. This makes it clear that Central American region has the highest potential for growth in the environmental industry and its markets. The case study of the renewable energy sector also shows great potential for cooperation.
Central America has a tropical climate, plenty of rainfall, abundant plant biomass, lots of sunshine and an active volcanic environment, which could give it another source of energy in the form of geothermal power. This region is also an ideal location for wind power generation, meaning the region has massive potential for development of renewable energy. Even though there is great abundance of natural resources, the rate of energy consumption in this region has increased an average 5.2% in the past decade and the region is experiencing power shortages. To resolve this problem, Central American summit meeting announced the 'Sustainable Central American Energy Strategy 2020' in 2007. This strategy aims to stabilize the system for producing energy through energy resource diversification, giving more consideration to the sustainable development model, involving a balance between the environment, economic growth and social equality. To achieve this aim, dependence on fossil fuel must be reduced and use of renewable energy increased, development of energy efficiency should be promoted, meaning energy saving is the most important strategy for this region.
In addition, power demand in the Central American region is expected to increase by about 5.1%-6.1%, keeping pace with the region's economic growth. Many individual countries in this region have considered renewable energy sources as well as alternative ones including hydroelectric generation, geothermal power, biomass, and wind power. Although the strategies and contents are different depending on the individual countries, most of them are strongly pushing forward strategies for renewable energy for supplying their power needs. Panama and Costa Rica and Guatemala have optimum conditions for future construction of hydroelectric power plants. El Salvador also has interest in developing hydroelectric power. Honduras and Nicaragua, on the other hand, have much interest in wind-power plants. In order to support these industries, many countries have institutionalized various economic incentives.
Central America has been characterized as underdeveloped in terms of its energy industry, thus they have great potential as an energy market, especially in the energy-efficiency sector. Confronted with high oil prices and problems related to climate change, the region has employed new energy strategies that attempted to do more than just react but actually increase the supply of renewable energy. Developing these sectors entails a high level of technology and much investment, but if other countries are willing to engage in cooperation, the focus on energy efficiency as a strategy for energy saving as appears to be the best option. For removal of political, financial and technological barriers, this region has come up with many measures by providing strategies and methods for rational energy usage, as embodied in the term ‘energy efficiency’.
The possibility of green industry in Korea and expansion toward this region depend on making active use of the current 'Central American Opportunity'. Cases of foreign advancement into the region, investigated throughout the last chapter, provide some good examples and increases Korea’s chance for entering the Central American green industry market. Though already researched deeply and extensively through SWOT analysis, policy suggestions and action plans for entering Central America and expanding Korea’s green industry into this region must consider many aspects including institutional, financial, technical and most of all the 'environmental', in its new agenda for international cooperation. Therefore, it must be handled in a gradual manner, towards real cooperation and business partnership.

국문요약 


제1장 서론 
1. 문제제기 및 연구방법  
가. 연구의 배경  
나. 연구의 목표 
다. 연구의 범위와 주요내용 
라. 통합적 연구 가이드라인: 환경 분석지표 및 녹색산업 개념 
2. 녹색산업의 개념 정의와 범위 
가. 국제적 차원 
나. 한국의 녹색성장 연관성 
다. 중미지역 생태환경과 생활환경 


제2장 중미지역의 환경제도와 환경 일반 
1. 중미지역 환경제도 발전: 법, 기구, 프로그램, 제도적 문제점 
가. 중미지역 국가들의 환경법 
나. 중미지역 환경기구 
다. 중미지역 환경 프로그램 
라. 중미지역 이슈별 환경 제도화의 문제점 
2. 중미지역 환경 일반 
가. 중미지역 주요 환경문제와 이슈 
나. 중미지역 공동체 차원의 환경보호 인식 및 협력 확대 
다. 중미지역 유형별 주요 환경이슈 


제3장 중미지역 국가들의 녹색산업 및 녹색산업시장 현황 
1. 중미지역 국가들의 환경산업 
가. 중미지역 환경산업 일반 현황  
나. 국가별 환경산업시장 현황 
2. 중미지역 국가들의 신재생에너지 산업 
가. 대내외적 요구  
나. 중미지역 신재생에너지 개발의 장애요인: 정책·기술·투자 제한성 
다. 중미지역 주요 신재생에너지원의 특징과 현황 
라. 중미 국가별 신재생에너지 보급 현황과 특징 
마. 중미지역 전력시장 전망과 신재생에너지의 참여
바. 중미지역 신재생에너지 인센티브 
3. 중미지역 국가들의 에너지 효율화산업 
가. 중미지역 에너지 절감과 효율화정책의 목표와 주요 장벽 
나. 중미지역 개별 국가들의 에너지 효율화정책 
다. 중미지역 국가별 에너지 효율화를 위한 주요 공공정책방침  


제4장 외국의 녹색산업 중미지역 진출사례 분석 
1. 환경산업 분야  
가. 생태환경 및 생활환경 분야 
나. 환경산업: 물 공급 분야 
다. 환경산업: 쓰레기처리 분야 
2. 신재생에너지 분야 
가. 지열에너지 
나. 바이오연료․바이오매스(Biomass) 
다. 수력발전소 
라. 풍력에너지 
마. 태양광에너지 
3. 에너지효율화 분야 


제5장 결론 
1. 한국의 대(對)중미 녹색산업 협력 가능성 탐색 
2. 한국의 대(對)중미 녹색산업 진출을 위한 SWOT 분석 
가. 중미지역 녹색산업 진출: 강점 
나. 중미지역 녹색산업 진출: 약점 
다. 중미지역 녹색산업 진출: 기회요인 
라. 중미지역 녹색산업 진출: 위협요인 
마. 중미지역 녹색산업 진출을 위한 SWOT 분석 결과 
3. 진출확대방안 
가. 진출전략 
나. 진출유망분야 


참고문헌 


Executive Summary

판매정보

분량/크기, 판매가격
분량/크기 170
판매가격

구매하기 목록

같은 주제의 보고서

중국종합연구 한중 탄소중립 협력 활성화 방안 연구 2023-12-29 중국종합연구 2023년 중국종합연구 총서 정책연구과제 요약집 2023-12-29 중국종합연구 탄소중립 시대 중국 동북지역 한중 지역개발 협력방안 : 중국 지린성을 중심으로 2023-12-29 세계지역전략연구 한-인도 해운·항만산업 협력방안 연구 2023-12-29 세계지역전략연구 아세안 주요국의 난민지원정책과 한국에 대한 시사점 2023-12-30 세계지역전략연구 중동·북아프리카 식량위기에 대한 역내 인식과 대응 및 협력방안 2023-12-27 단행본 만화로 보는 세계경제 2023 2023-12-23 Working paper Industrial Policy, Rise of Skilled Labor, and Firm Growth in the Early Stage of Economic Development 2023-12-15 Working paper An Analysis on the Regional Integration of Northeast Asia by Developing NARCI (Northeast Asia Regional Cooperation Index) 2023-10-27 세계지역전략연구 사하라이남 아프리카 주요국의 탈탄소 정책과 청정에너지부문 협력 방안 2023-11-29 연구자료 동지중해 천연가스 개발 현황과 한국의 협력 방안 2023-10-20 연구자료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이후 유럽 주요국의 에너지 위기 대응 정책 분석 2023-08-28 연구보고서 한국의 서비스무역 통계 개선 방안 연구 2022-12-30 연구보고서 경제안보 이슈의 부상과 대외협력 방향 2022-12-30 세계지역전략연구 주요국의 대남아시아 경제협력전략과 정책 시사점: 중국, 일본, 인도를 중심으로 2022-12-30 연구자료 국제사회의 산업부문 탄소중립 추진 동향과 대응방향: 중소기업을 중심으로 2023-05-28 연구보고서 미·중 전략 경쟁 시대 글로벌 기업의 대응과 중국진출 한국기업에 대한 시사점 2022-12-30 중장기통상전략연구 일본의 중장기 통상전략과 한·일 협력 방안 2022-12-30 연구보고서 한국-동남아 가치사슬 안정화를 위한 메콩지역 협력 방안 연구 2022-12-30 연구보고서 코로나19 위기와 기업경쟁구도 변화: 과거 경제위기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2022-12-30
공공누리 OPEN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 출처표시, 상업용금지, 변경금지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표시기준 (공공누리, KOGL) 제4유형

대외경제정책연구원의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 금지 +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저작권정책 참조

콘텐츠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콘텐츠 만족도 조사

0/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