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보고서
발간물
전체보고서
목록으로
아프리카의 빈곤은 농업문제와 직결된다고 할 수 있다. 아프리카 인구의 70% 가까이가 농촌에서 절대빈곤의 삶을 영위하고 있다. 그동안 아프리카 농업 및 농촌개발 분야에 대한 우리나라의 원조비중은 미미한 수준에 머물렀으나 앞으로는 한층 탄력을 받을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2009년 11월 개최된 제2차 한·아프리카 포럼에서도
농업 및 농촌개발 협력이 주요 이슈로 다루어졌다. 우리나라는 농촌근대화라는 성공적인 경험을 보유하고 있는 만큼 아프리카 농촌개발에 기여할 수 있는 특별한 위치에 있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견지에서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아프리카 농업 및 농촌개발 협력에 있어 중점 추진분야를 도출하고 이를 토대로 접근방향을 모색하였다.
농업 및 농촌개발 협력이 주요 이슈로 다루어졌다. 우리나라는 농촌근대화라는 성공적인 경험을 보유하고 있는 만큼 아프리카 농촌개발에 기여할 수 있는 특별한 위치에 있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견지에서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아프리카 농업 및 농촌개발 협력에 있어 중점 추진분야를 도출하고 이를 토대로 접근방향을 모색하였다.
Currently over 3 hundred million people suffer from absolute poverty in Africa, which represents 40% of the population of the entire continent. Yet there is a bigger concern: it is highly likely that the population living in absolute poverty will increase to 4 billion by the year 2015. In 2001, the international community adopted the UN's Millennium Development Goals (MDGs) to alleviate poverty and spur development in the world's poorest countries by 2015. However, it is predicted that Africa will fail to achieve many of the goals outlined in MDGs by the time given. There is a broad consensus that agricultural and rural development should be the priority in order to address the issue of poverty trap and initiate take-off economic development in African continent. It is because poverty in African is predominantly rural. More than 70 percent of the continent's poor people live in rural areas and depend on agriculture for food and livelihood. Without a developed industrial sector that can contribute to the national growth, agriculture plays a role as a key industry in most of African countries. Yet, subsistence farming remains the main agricultural activity in Africa. In many countries, the rural situation is marked by continuing stagnation, poor production, low incomes and the rising vulnerability of poor people. Furthermore, conditions prevailing in African agriculture are dismal. African farmers are vulnerable to increasingly volatile environments, land degradation, and suffer from limited market access and decreases in foreign aid. While Asia and Latin America raised food production dramatically by expanding irrigation facilities, developing new varieties of crops and increasing the use of fertilizers, Africa is still at a standstill due to lack of basic fundamentals and poor natural and socio-economic environment.
서 언
국문요약
제1장 머리말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2. 연구의 방법 및 구성‧범위
3. 연구의 의의와 한계
제2장 아프리카 농업 및 농촌사회의 특징
1. 아프리카 농업‧농촌 개발의 의미
2. 아프리카 농업 현황 및 특징
가. 농업 개황
나. 영농체계(Farming System)
다. 농업개발 정책
3. 아프리카 농촌사회의 특징
가. 부족 중심의 소규모 마을 형성
나. 공동체 토지소유제
다. 비체계적인 농업지원 조직
라. 마을공동체 단위의 사회적 자본(Social Capital) 축적
4. 아프리카 농업 저개발의 원인
가. 자연환경적 요인
나. 경제‧산업적 요인
다. 금융자본(financial capital) 요인
라. 인적 자본(Human Capital) 부재
마. 사회적 자본(Social Capital) 부재
바. 대외적 요인
제3장 국제사회의 아프리카 농촌개발 협력
1. 시대별 아프리카 농촌개발 접근방식
가. 1950년대: 지역개발
나. 1960~70년대: 농촌종합개발
다. 1980~90년대: 주민참여형 개발
라. 2000년대: PRSP와 MDGs
2. 주요 공여국의 아프리카 농촌개발정책 및 현황
가. 영국
나. 일본
다. 미국
라. 비교 평가 및 시사점
3. 국제사회의 아프리카 농촌개발 프로젝트: MVP 사례
가. MVP 개요
나. MVP 추진 체계 및 사업 내용
제4장 한국의 농업․농촌개발 경험 및 아프리카 지원 현황
1. 한국의 농업‧농촌개발 경험
가. 농지개혁을 통한 농업기반 정비
나. 식량문제 해결
다. 농촌지역 개발
라. 농외소득과 농촌공업화
2. 농업협력사업의 유망 분야
가. 품종 육종 기술
나. 농업생산 기술
다. 농업정책
3. 한국의 아프리카 농촌개발 지원 현황
가. 한국의 아프리카 원조
나. 한국의 아프리카 농촌개발 원조
다. 평가
제5장 아프리카 농촌개발협력의 중점추진 분야
1. 분석내용 요약 및 향후 정책방향
2. 농촌개발: 새마을운동 경험 전수
가. 농촌개발협력 수단으로서의 새마을운동: 전수 의의
나. 새마을운동의 아프리카 적용 가능성 및 전제조건
다. 새마을운동 전수 접근방식
3. 농업개발: 농업생산기술 및 농업 인프라 지원
가. 농업개발 협력 추진 방향
나. 농업생산기술 전수
다. 농업 인프라 구축 지원
제6장 맺음말
참고문헌
Executive Summary
국문요약
제1장 머리말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2. 연구의 방법 및 구성‧범위
3. 연구의 의의와 한계
제2장 아프리카 농업 및 농촌사회의 특징
1. 아프리카 농업‧농촌 개발의 의미
2. 아프리카 농업 현황 및 특징
가. 농업 개황
나. 영농체계(Farming System)
다. 농업개발 정책
3. 아프리카 농촌사회의 특징
가. 부족 중심의 소규모 마을 형성
나. 공동체 토지소유제
다. 비체계적인 농업지원 조직
라. 마을공동체 단위의 사회적 자본(Social Capital) 축적
4. 아프리카 농업 저개발의 원인
가. 자연환경적 요인
나. 경제‧산업적 요인
다. 금융자본(financial capital) 요인
라. 인적 자본(Human Capital) 부재
마. 사회적 자본(Social Capital) 부재
바. 대외적 요인
제3장 국제사회의 아프리카 농촌개발 협력
1. 시대별 아프리카 농촌개발 접근방식
가. 1950년대: 지역개발
나. 1960~70년대: 농촌종합개발
다. 1980~90년대: 주민참여형 개발
라. 2000년대: PRSP와 MDGs
2. 주요 공여국의 아프리카 농촌개발정책 및 현황
가. 영국
나. 일본
다. 미국
라. 비교 평가 및 시사점
3. 국제사회의 아프리카 농촌개발 프로젝트: MVP 사례
가. MVP 개요
나. MVP 추진 체계 및 사업 내용
제4장 한국의 농업․농촌개발 경험 및 아프리카 지원 현황
1. 한국의 농업‧농촌개발 경험
가. 농지개혁을 통한 농업기반 정비
나. 식량문제 해결
다. 농촌지역 개발
라. 농외소득과 농촌공업화
2. 농업협력사업의 유망 분야
가. 품종 육종 기술
나. 농업생산 기술
다. 농업정책
3. 한국의 아프리카 농촌개발 지원 현황
가. 한국의 아프리카 원조
나. 한국의 아프리카 농촌개발 원조
다. 평가
제5장 아프리카 농촌개발협력의 중점추진 분야
1. 분석내용 요약 및 향후 정책방향
2. 농촌개발: 새마을운동 경험 전수
가. 농촌개발협력 수단으로서의 새마을운동: 전수 의의
나. 새마을운동의 아프리카 적용 가능성 및 전제조건
다. 새마을운동 전수 접근방식
3. 농업개발: 농업생산기술 및 농업 인프라 지원
가. 농업개발 협력 추진 방향
나. 농업생산기술 전수
다. 농업 인프라 구축 지원
제6장 맺음말
참고문헌
Executive Summary
판매정보
분량/크기 | 250 |
---|---|
판매가격 | 10000 원 |
같은 주제의 보고서
세계지역전략연구
Exploring Urban Perception on Climate Change in Developing Countries
2024-08-29
단행본
2023 KIEP 정책연구 브리핑
2024-06-28
연구보고서
대러 경제 제재가 러시아 경제에 미치는 영향과 한-러 경제협력 안정화 방안
2023-12-29
연구보고서
글로벌 경제안보 환경변화와 한국의 대응
2023-12-29
중장기통상전략연구
인도의 중장기 통상전략과 한·인도 협력 방안
2023-12-29
중장기통상전략연구
몽골의 중장기 통상전략과 한·몽골 협력 방안
2023-12-29
연구보고서
인도-태평양 전략 추진을 위한 한-태평양도서국 중장기 협력 방안
2023-12-29
연구보고서
미중 기술경쟁 시대 중국의 강소기업 육성전략과 시사점
2023-12-29
연구보고서
미중경쟁에 따른 아세안 역내 공급망 재편과 한국의 대응방안
2023-12-29
중장기통상전략연구
남아프리카공화국의 중장기 통상전략과 한·남아공 협력 방안
2023-12-29
연구자료
동티모르의 아세안 가입 지원 및 개발협력 확대 방안
2023-12-29
중장기통상전략연구
멕시코의 중장기 통상전략과 한·멕시코 협력 방안
2023-12-29
중장기통상전략연구
호주의 중장기 통상전략과 한·호주 협력 방안
2023-12-29
연구보고서
인도태평양 시대 한ㆍ인도 경제협력의 방향과 과제
2023-12-29
연구보고서
인도 서비스 산업 구조 분석과 한-인도 산업 협력 확대 방안
2023-12-29
연구보고서
일본의 글로벌 공급망 리스크 관리와 한·일 간 협력방안 연구
2023-12-29
연구보고서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이 EU의 '개방형 전략적 자율성' 확대에 미친 영향: 에너지 전환, 인적 교류, 안보 통합을 중심으로
2023-12-30
연구보고서
중동부유럽으로의 EU 확대 평가와 향후 전망
2023-12-29
중국종합연구
한중 탄소중립 협력 활성화 방안 연구
2023-12-29
중국종합연구
2023년 중국종합연구 총서 정책연구과제 요약집
2023-12-29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표시기준 (공공누리, KOGL) 제4유형
대외경제정책연구원의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 금지 +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저작권정책 참조
콘텐츠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