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전체보고서

발간물

목록으로
연구보고서 북한의 대외경제 제약요인 분석과 정책적 시사점 북한경제

저자 조명철, 김지연, 홍익표, 이종운 발간번호 09-21 자료언어 Korean 발간일 2009.12.30

원문보기(다운로드:1,200) 저자별 보고서 주제별 보고서

1990년대 초 국제사회주의 시장의 붕괴로부터 시작된 북한의 경제난은 2009년 현재까지 지속되고 있다. 이는 북한의 핵개발로 인한 국제개발자금 유치 실패와 폐쇄적이고 획일적인 계획경제체제 고수에 의한 결과로 평가된다. 북한경제난을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위해서는 핵포기를 포함한 평화적 대외정책과 경제체제의 개혁∙개방이 추진되어야 한다. 본 연구보고서에서는 북한의 대외경제협력실태를 조사하고, 협력활성화 제약요인들을 분석하고 있다. 이와 함께, 본 보고서에서는 제약요인 제거방안과 북한이 정상국가로 변화되기 위한 북한당국 및 한국정부, 국제사회의 정책과제들을 제시하고 있다.
North Korea is in the midst of an economic crisis that began back in the 1990s. Though statistics indicate a cycle of fluctuation between growth and downturns not unlike other economies, the North Korean economy remains in a dismal state.
The crisis that befell North Korea's economy stems from a number of reasons, but it was necessarily brought on by the combination of international conflict arising from the nuclear issue and inefficiencies associated with planned economy operating in a closed environment. Therefore, a fundamental solution lay in the simultaneous establishment of peaceful diplomatic relations and opening of the hitherto self-contained economy. This would make possible massive influx of international aid, which could be coupled with increased efficiency from reform and opening, leading to potentially rapid growth.(The rest is omitted)
서 언

국문요약

제1장 서 론
1. 연구목적
2. 연구의 의의 및 중요성
3. 선행연구
4. 연구범위와 방법
5. 기대효과

제2장 북한의 대외경제협력 현황 평가
1. 무역
2. 외국기업의 대북 투자
3. 해외진출
4. 국제사회의 대북한 경제지원
5. 소결

제3장 북한의 대외경제협력 제약요인
1. 대내적 제약요인
가. 정책적 제약요인
나. 제도적 제약요인
다. 생산능력 제약요인
라. 행정체계 제약요인
2. 대외적 제약요인
가. 양자간 경제제재에 의한 제약요인
나. 다자간 경제제재에 의한 제약요인
3. 소결

제4장 주요 체제전환국의 대외경제 제약요인 극복사례 분석
1. 아시아 체제전환국들의 사례 분석
가. 중국의 사례 분석
나. 베트남의 사례 분석
2. 동유럽 체제전환국들의 사례 분석
가. 폴란드
나. 헝가리
다. 루마니아
3. 북한에 주는 시사점

제5장 대외경제협력 제약요인 제거방안
1. 대내적 제약요인 제거방안
가. 정책적 제약요인 제거방안
나. 제도적 제약요인 제거방안
다. 생산능력 제약요인 제거방안
라. 행정체계 제약요인 제거방안
2. 대외적 제약요인 제거방안
가. 양자간 경제제재 제약요인 제거방안
나. 다자간 경제제재 제약요인 제거방안

제6장 북한의 대외경제 활성화를 위한 정책제언
1. 북한 대외경제 활성화의 의미와 선행조건
2. 북한 대외경제 활성화의 합리적 경로
3. 북한 대외경제 활성화의 기본목표와 추진 수단
가. 대외경제 활성화의 기본목표
나. 대외경제 활성화 지원수단
4. 북한의 대외경제 활성화를 지원하기 위한 정책제언
가. 남북 경제협력수단의 적극적 활용
나. 양자간 통상체계 구축 지원
다. 한국의 통상관련 인프라 공동 활용
라. 통상전문가 양성체계 구축 지원
마. 대북지원 특별신탁기금 설립 지원
바. 북한의 대외경제 활성화를 유도하기 위한 시스템 구축

참고문헌

Executive Summary

판매정보

분량/크기, 판매가격
분량/크기 198
판매가격 7000 원

구매하기 목록

같은 주제의 보고서

연구보고서 북한의 관세 및 비관세 제도 분석과 국제사회 편입에 대한 시사점 2023-12-29 전략지역심층연구 북한 기후변화 적응을 위한 국제협력방안: 농업과 자연재해를 중심으로 2022-12-20 Working paper Analyzing DPRK's Food Supply and Demand Condition with Food Culture 2022-12-30 연구보고서 김정은 시대 북한의 대외관계 10년: 평가와 전망 2022-12-30 전략지역심층연구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남북 교류협력 추진 방안 2021-12-30 전략지역심층연구 미중 전략 경쟁 심화와 경제·안보의 블록화가 남북관계에 미치는 영향 2021-12-30 연구보고서 외국인 기업의 남북경협 참여활성화 방안 2021-12-30 연구보고서 대북제재의 게임이론적 접근과 북한경제에 미치는 영향 2021-12-30 연구자료 북한 대외 채무의 쟁점과 과제: 국제 규범과 해외 사례를 중심으로 2021-07-08 전략지역심층연구 북한의 관광정책 추진 동향과남북 관광협력에 대한 시사점 2020-08-03 연구보고서 체제전환국의 FDI 유입 결정요인과 북한에 대한 시사점 2019-12-30 연구보고서 2016년 대북제재 이후 북한경제 변화와 신남북협력 방향 2019-12-30 연구자료 미얀마의 대외관계 정상화 경험과 북한에 대한 시사점 2019-09-06 연구보고서 북한의 무역제도 연구: 남북한 CEPA 체결에 대한 시사점 2018-12-31 연구자료 Economic Development after German Unification and Implications for Korea 2018-12-28 연구보고서 비핵화에 따른 대북경제제재 해제: 분석과 시사점 2018-12-28 연구자료 체제전환국의 WTO 가입경험과 북한 경제 2018-07-20 중장기통상전략연구 통일 후 남북한 금융·재정 통합방안 2017-12-27 연구자료 Economic Transition in Unified Germany and Implications for Korea 2017-12-27 중장기통상전략연구 통일 후 남북한 산업구조 재편 및 북한 성장산업 육성방안 2017-12-27
공공누리 OPEN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 출처표시, 상업용금지, 변경금지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표시기준 (공공누리, KOGL) 제4유형

대외경제정책연구원의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 금지 +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저작권정책 참조

콘텐츠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콘텐츠 만족도 조사

0/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