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발간물

채욱

  • China, World Economy and Korea-China Economic Cooperation

    후진타오 집정 10년간 중국경제가 초고속 성장을 달성하여 중국은 경제대국으로 부상하였다. 그러나 성장과정에서 나타난 중국 내부의 구조조적인 모순과 선진국의 경기침체라는 대외적인 환경 변화로 인해 중국경제가 어려움에 직면하고 있다. 중국..

    채욱 발간일 2012.12.31

    경제관계, 경제협력

    원문보기

    목차

    Foreword



    Contributors

    Ⅰ. Introduction and Summary / Pyeong Seob Yang
    1. Background
    2. Review of Previous Studies
    3. Summary

    Ⅱ. The Transformation of China’s Development Pattern and Its Impacts on the World Economy / Yin Xiangshuo
    1. Introduction
    2. China’s Economic Development Since 1978
    3. Transformation of China’s Development Pattern
    4. The Impact of the Transformation of China’s DevelopmentPattern on the World Economy
    5. The Impact of Transformation on Sino-Korean Economic Relations
    6. Concluding Remarks

    Ⅲ.China’s Demographic Transition and Labor Market Changes: Implications to China and Rest of the World / Cai Fang and Wang Meiyan
    1. Demographic Trend of China
    2. Resultant Changes in the Labor Market
    3. Impacts on Economic Growth
    4. Implications to the World Economy
    5. Suggestions to Korean Government and Investors

    Ⅳ. China’s Policy Direction on Industrial Upgrading and Its Impacts on the World Economy / Feng Fei
    1. China’s Industrial Upgrading Process since Its Reform andOpening-up
    2. Current Situation and Development Strategy of China’s Emerging Industries
    3. Impact of China’s Industrial Upgrades on the World Economy and Closer Cooperation between China and Korea

    Ⅴ. China Energy Policy Trend and China-Korea EnergyCooperation / Han Wenke and Fan Lijuan
    1. Status of China’s Energy Development
    2.Key Issues and Challenges Faced with China Energy Development
    3. The Projection for Energy Development Perspectives duringChina’s 12th Five Year and to 2020
    4. The Development Priorities for China’s 12th Five Year Period and to 2020
    5. The Impact on the World and Northeast Asia by China’s Energy Economy
    6. Suggestions on Cooperation between China and Korea

    Ⅵ. RMB Internationalization and Its Impacts / Zhang Bin
    1. Introduction
    2. Development and Current Status of RMB Internationalization
    3. Development Direction of RMB Internationalization
    4. Impact of RMB Internationalization on the Global Economy and Financial Orders
    5. RMB Internationalization and China-South Korea Cooperation

    Ⅶ. China’s Overseas Investment Strategy and Its Impacts on the World Economy / Wang Luo
    1. The Evolution of China’s Overseas Investment
    2. The Features of China’s Overseas Investment
    3. The Evolution of China’s Policies on Overseas Investment
    4. The Impact of China’s Overseas Investment on the World Economy and Domestic Economy
    5. The Situation China’s Overseas Investment Faces in the New Era
    6. Problems in China’s Overseas Investment
    7. The Trends of Chinese Enterprises’ Overseas Investments
    8. The Outlook of the Policies and Measures to Encourage Overseas Investment
    9. The Trends of China’s Investment in South Korea and the Recommendations

    Ⅷ. South Korean Multinational Companies in China / Wang Zhile
    1. Introduction
    2. Development of Foreign Enterprises in China
    3. Development of South Korean Enterprises Invested in China
    4. Investment of Famous Korean Multinational Corporations in China
    5. Suggestions: Integration into China for Sustainable Development

    Ⅸ. An Assessment of Korea-China Economic Cooperation / Pyeong Seob Yang
    1. Korea-China Economic Cooperation: An Overview
    2. Korea-China Trade Cooperation: Assessment and Tasks
    3. Korea-China Investment Cooperation: Assessment and Tasks
    4. Suggestion of Cooperation for Future-Oriented Trade and Investment

    닫기
    국문요약
    후진타오 집정 10년간 중국경제가 초고속 성장을 달성하여 중국은 경제대국으로 부상하였다. 그러나 성장과정에서 나타난 중국 내부의 구조조적인 모순과 선진국의 경기침체라는 대외적인 환경 변화로 인해 중국경제가 어려움에 직면하고 있다. 중국내에서는 중국경제가 지속적 발전(sustainable development)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두 가지 함정을 벗어나야 한다는 지적이 있다. ‘중등소득의 함정’과 ‘체제이행의 함정’이다.  이에 따라 중국은 경제발전방식을 근본적으로 전환함으로써 새로운 성장동력을 마련하고자 한다. 이러한 중국의 중장기 발전전략의 변화는 중국경제의 성장률은 물론 세계경제 및 한중 경제관계에도 영향을 미치게 될 것이다.
      발전방식 전환이 이루어지면서 중국경제는 고속성장 시대가 끝나고 중속성장 시대에 진입할 것이다. 중국의 발전방식 전환, 성장 동인 변화, 중국경제의 성장률 둔화는 한중 경제협력에도 영향을 미치게 될 것이다. 따라서   미래 20년을 준비하기 위한 새로운 한중 협력방안을 도출해야 할 때이다. 이러한 목적에서 중국의 발전방식의 전환과 인구 문제, 새로운 산업정책과 에너지 정책, 중국경제의 글로벌화 정책으로 나누어 중국의 중장기 발전전략을 검토하고, 이를 바탕으로 새로운 한중 경제협력 관계를 모색하고자 본 보고서를 발간하였다. 본 보고서에서는 크게 4가지 주제를 다루었다. 첫째, 중국의 발전전략 전환과 관련된 이슈를 다루었다. 그동안 중국의 가장 큰 성장동력의 하나이었던 ‘인구 보너스’가 사라지면서 잠재성장력 둔화로 이어지고 있다. 이러한 성장 잠재력 둔화를 극복하기 위해 중국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경제발전 전략의 전환 방향과 그에 따른 영향을 분석하였다. 둘째, 중국의 중장기 산업 전략의 전환 방향과 이러한 변화가 세계경제와 한중관계에 미칠 영향을 분석하였다. 산업구조의 변화와 관련된 이슈로서 중국의 산업 고도화 추진 방향과 중장기 에너지 정책 변화를 분석하였다. 셋째, 중국경제의 국제화 이슈를 다루었다. 중국은 WTO 가입 이후 개방 확대를 통해 높은 경제성장률을 달성하였다. 이를 ‘대외개방의 보너스’라 한다. 그러나 이러한 ‘개방의 보너스’가 소실되어 가고 있는 것도 중국이 해결해야 할 과제 중 하나이다. 이에 중국은 스스로 국제화를 통해 시장을 넓히고, 이를 통해 지속적인 성장잠재력을 강화하는 동시에 국제사회에서의 위상도 강화하려 하고 있다. 중국의 국제화 전략의 핵심 내용인 위안화 국제화 전략과 해외투자 전략을 분석하였다. 넷째, 한중 경제협력 이슈로서 한중 수교 20년간 양국간 무역과 투자 협력 현황과 과제, 그리고 중국에 진출한 한국계 다국적기업의 중국 사업을 평가하였다.
    닫기
  • 전환기 중국 연해지역의 경제발전전략: 당면과제와 시사점

     본 자료집은 2011년 11월 ‘전환기 중국 연해지역의 경제발전전략: 당면 과제와 시사점’이라는 주제로 진행된 국제세미나에서 발표된 내용을 정리한 것이다. 1부 ‘산업구조의 재편과 고도화’에서는 랴오닝성, 장쑤성, 저장성의 산업구조 조..

    채욱 발간일 2012.07.30

    경제협력, 해외직접투자

    원문보기

    목차
    발간사

    발표ㆍ토론 요약

    제1부 지역별 신성장동력
    환수도녹색경제권 발전계획과 평가
    광둥성의 도시발전계획과 전망
    산둥반도 남색경제구(藍色經濟區) 계획과 해양경제의 지속가능한 발전

    제2부 산업구조의 재편과 고도화
    저장성 전통산업 클러스터의 업그레이드
    장쑤성 내 산업 이전과 지역균형발전
    산업구조조정과 랴오닝성 노후 공업기지의 진흥

    세미나 프로그램

    필진 소개
    닫기
    국문요약

     본 자료집은 2011년 11월 ‘전환기 중국 연해지역의 경제발전전략: 당면 과제와 시사점’이라는 주제로 진행된 국제세미나에서 발표된 내용을 정리한 것이다. 1부 ‘산업구조의 재편과 고도화’에서는 랴오닝성, 장쑤성, 저장성의 산업구조 조정 현황과 문제점을 분석하였다. 2부 ‘지역별 신성장동력’에서는 환수도경제권, 광둥성, 산둥성에서 추진하고 있는 지역발전전략과 전략산업에 대해 논의하였다.


    이 자료집은 중국 연해지역의 경제발전 현황과 당면과제를 분석하고, 이에 대한 우리의 대응방안을 모색하고 있으므로 기업인과 연구자, 정책입안자가 중국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한·중 교류 협력을 증진시키는 데에 참고자료가 될 것이다.

    닫기
  • 중국의 발전전략 전환과 권역별 경제동향

    글로벌 경제위기 이후 중국은 경제발전 패러다임의 전환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내수확대 정책을 적극 시행하고, 저부가가치산업에서 고부가가치산업으로의 업그레이드를 추진하며, 종전의 연해지역 중심 발전에서 내륙지역 개발을 강조하며 지역균..

    채욱 외 발간일 2011.10.07

    경쟁정책, 경제개혁, 경제발전

    원문보기

    목차
    발 간 사
    세미나 소개
    발표・토론 요약

    제1부 중국의 권역별 발전전략과 경제 현황
    중국 지역경제 발전 현황, 문제 및 추세 / 가오궈리(高国力)
    저장성 12・5 발전전략 기본구상 연구 / 스진촨(史晋川)・둥쉐빙(董雪兵)・황량하오(黄良浩)
    동북 3성의 지역경제 전략 및 발전에 대한 분석과 전망 / 다즈강(笪志剛)
    중국 서부대개발 10년, 성과와 향후 전망 / 야오후이친(姚慧琴)・차이리슝(蔡立雄)

    제2부 중국의 권역별 新성장동력
    중국의 도시화와 지역정책: 특징과 동향 / 박인성(朴寅星)
    중국 중부 4대 도시군 내수시장 진출확대 방안 / 정지현(鄭知賢)
    주강삼각주지역의 산업이전 현상과 외자기업에게 주는 시사점 / 허시유(何喜有)
    징진지(京津冀)지역 LED 산업 발전 현황과 시사점 / 김부용(金芙蓉)

    필진 소개
    닫기
    국문요약
    글로벌 경제위기 이후 중국은 경제발전 패러다임의 전환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내수확대 정책을 적극 시행하고, 저부가가치산업에서 고부가가치산업으로의 업그레이드를 추진하며, 종전의 연해지역 중심 발전에서 내륙지역 개발을 강조하며 지역균형발전을 꾀하고 있다. 이러한 정책적 기조 하에서 도시군을 중심으로 하는 도시화, 주강삼각주와 장강삼각주를 중심으로 한 연해지역에서 내륙지역으로의 산업이전, 신흥산업 육성 등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서부대개발, 동북진흥, 중부굴기 등 내륙지역 개발정책도 더욱 본격화되고 있는 중이다.
    이 자료집은 2010년 11월 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에서 개최된 제1회 중국권역별·성별연구단 국제세미나 “중국의 발전전략 전환과 권역별 경제동향”에서 발표된 논문을 정리, 편집한 것이다. 12차 5개년 규획을 앞두고 중국의 권역별 발전전략이 어떻게 변화하고 있는지, 권역별 경제 현황 및 동향은 어떠한지, 한․중 양국의 경제협력 증진 방안은 무엇인지 등의 내용이 다양한 지역에 걸쳐 논의되고 있다.
    닫기
  • 한국 경제발전경험의 대(對)개도국 적용가능성: 아프리카에 대한 시사점을 중심으로

    후진국의 경제발전은 앞서 발전한 나라에 대한 학습과 모방을 통해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다 이것은 하드웨어적인 기술의 발전과정에서 가장 뚜렷이 발견되지만 . 정부 정책이라는 소프트웨어 분야에서도 예외가 아닐 것이다. 즉 앞서 발전한 나라의..

    박복영 외 발간일 2007.12.30

    경제개발, 경제협력

    원문보기

    목차
    서 언 국문요약 제1장 머리말 한국 발전경험 공유의 의의 1. 왜 발전경험 공유 인가? 가. 발전경험 의 수요 나. 발전경험 의 공급 2. 왜 한국의 발전경험 인가? 가. 공유대상으로서의 한국 발전경험 나. 발전경험 공유사업 현황 다. 발전경험 공유사업의 개선과제 3. 연구의 내용과 한계 가. 연구의 목적과 범위 나. 보고서의 구성 다. 연구의 의의와 한계 제2장 아프리카경제 현황과 잠재적 적용대상 국가 1. 아프리카의 저성장 2. 아프리카 저성장의 원인 가. 대내적 제약조건 나 대외적 제약조건 다. 대외적 정책요인 라. 대내적 정책요인 3. 아프리카의 변화와 성장 가능성 가. 1990년대 이후의 지속적 성장 나. 경제성장의 배경 다. 평가 4. 한국 발전경험의 잠재적 적용가능 국가 가. 적용가능 국가의 추출 나. 우리나라와의 초기조건 비교 제3장 한국의 산업화 전략과 아프리카에의 적용 가능성 1. 서론 2. 한국의 산업화와 산업화 전략 가. 배경 나. 수출지향적 산업화 다. 선별적 산업정책 3. 한국 산업화 전략의 아프리카 적용 가능성 가. 개론 나. 농업 개발 다. 공산품 수출 라. 선별적 산업정책 제4장 1960년대 한국 산업정책의 대(對)아프리카 적용 가능성 1. 서론 2. 산업정책의 의의 3. 한국 산업정책의 전개와 특징 가. 전사(前史): 식민지공업화 나. 1950년대의 수입대체공업화 다. 1960년대 초 한국과 현재의 아프리카: 경제적 지표의 비교 라. 1960년대의 산업정책 4.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국가들의 산업정책 가. SSA 경제 개관(1960년대 중반 이후) 나. 기존 구조조정프로그램(SAPs)의 특징과 문제점 다. 제조업 발전과 공산품 수출증대를 위한 산업정책의 필요성 5. 결론 제5장 사례연구: 한국 섬유산업의 발전과 아프리카에 대한 시사점 1. 서론 2. 수입대체, 수출주도, 그리고 수출대체 가. 수입대체 나. 수출주도 다. 수출대체 3. 한국 섬유산업의 발전과 산업육성정책(1953~1980년) 가. 수입대체 공업화와 섬유공업(1953~1960년) 나. 수출대체정책과 섬유공업의 발전(1961~1980년) 다. 한국 섬유산업 발전과정에서 나타난 특징 4. 아프리카의 섬유산업: 사하라 이남 일부 국가의 사례를 중심으로 가. 모리셔스(Mauritius) 나. 레소토(Lesotho) 다. 마다가스카르(Madagascar) 5. 시사점 결론을 대신하 여 제6장 한국 무역정책의 대(對)아프리카 적용 가능성 1. 머리말 2. 한국의 주요 무역정책 및 특징 가. 수입대체정책 나. 수출진흥정책 다. 무역자유화정책: 개방정책 3. 한국 무역정책에 대한 평가 가. 수입대체정책 나. 수출진흥정책 다. 무역자유화정책: 개방정책 4. 대(對)아프리카 적용 가능성 가. 아프리카국가들의 무역 현황 및 문제점 나. 한국 무역정책의 대(對)아프리카 적용 가능성 제7장 한국 자본조달정책의 대(對)아프리카 적용 가능성 1. 머리말 2. 한국 자본조달정책의 주요 유형과 특징 가. 개발원조 나. 차관 다. 외국인직접투자(FDI) 3. 한국 자본조달정책에 대한 평가 가. 개요 나. 평가 및 문제점 4. 대(對)아프리카 적용 가능성 가. 아프리카국가들의 자본조달 현황 및 문제점 나. 한국 자본조달정책의 대(對)아프리카 적용 가능성 다. 외국인직접투자 제8장 한국형 기술발전 모델과 아프리카에 대한 시사점 1. 서론 2. 후발국 경제발전을 보는 시각들 가. 워싱턴 컨센서스, 동아시아 컨센서스 및 북경공식 나. 후발국 경제발전에서 기술발전의 역할 3. 한국형 기술발전 모델의 이해 가. 기술발전 단계별 지식창조와 학습 나. 다양한 지식흡수 경로의 적절한 활용 다. 정부의 역할 4. 아프리카 개도국에의 적용 가능성과 시사점 가. 전반적 경제발전전략면에서의 시사점 나. 토착역량 개발과 토착기업의 기술발전 다. 빈곤함정 탈출을 위한 정부 개입과 기술발전 라. 기술발전을 위한 외부지식 흡수와 학습의 다양한 통로 활용 제9장 한국 발전과정의 거버넌스와 아프리카에 대한 시사점 1. 머리말 가. 경제성장과 거버넌스 나. 문제의식과 접근방법 2. 한국의 부패와 반부패 가. 경제발전과정의 부패 나. 부패 유발요인 3. 아프리카의 부패와 경제성장 가. 아프리카의 부패 수준 나. 부패와 반부패의 사례 4. 아프리카에 대한 시사점 가. 우리나라와 아프리카 간 부패유발의 유사성 나. 우리나라의 부패억제요인 다. 아프리카에 대한 시사점 제10장 맺음말 참고문헌 Executive Summary
    닫기
    국문요약
    후진국의 경제발전은 앞서 발전한 나라에 대한 학습과 모방을 통해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다 이것은 하드웨어적인 기술의 발전과정에서 가장 뚜렷이 발견되지만 . 정부 정책이라는 소프트웨어 분야에서도 예외가 아닐 것이다. 즉 앞서 발전한 나라의 정책 방향과 결과, 그리고 정책 실패까지도 후발국들이 최선의 정책을 수립하고 시행착오를 줄이는 데 중요한 도움이 될 수 있다. 그런 점에서 선발국의 발전경험을 후발국과 공유하는 것은 후진국의 빈곤감축과 경제성장 촉진에 기여하는 한 방법이 될 수 있다. (생략)
    닫기
  • 러시아의 WTO 가입과 한국의 무역투자 증진방안

    WTO 미가입국 가운데 최대 경제규모를 자랑하고 있는 러시아는 시장경제체제를 정착시켜 지속가능한 경제성장의 기반을 마련하고, 세계 무역대국들과 동등한 자격으로 국제무역에 참여하기 위해 WTO 가입을 추진하고 있다. 1993년 6월 WTO의 전신인..

    이재영 외 발간일 2007.12.30

    무역정책, 해외직접투자

    원문보기

    목차
    서 언 국문요약 제1장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선행연구의 검토 및 연구의 차별성 3. 연구의 범위, 방법 및 구성 제2장 러시아의 WTO 가입 배경 및 추진 현황 1. WTO 가입 추진배경 2. 러시아 경제에 미치는 기대효과 3. WTO 가입 진행과정과 러시아 국내의 반응 4. WTO 가입 관련 제도 개혁 제3장 러시아의 무역 및 투자 장벽 1. 경제 및 무역 현황 2. 무역장벽 가. 관세 나. 관세 이외의 조세 다. 비관세장벽 3. 서비스 및 투자 장벽 가. 서비스장벽 나. 투자장벽 제4장 WTO 가입협상에 따른 시장개방의 주요 내용 및 평가 1. 부문별 주요 내용 및 쟁점 가. 상품시장 접근 나. 서비스시장 접근 다. 농산물시장 접근 라. 지식재산권 2. 러시아 시장개방계획의 평가 가. MFN 관세율 구조 나. 주요 품목별 관세율 구조 및 평가 다. 서비스시장 제5장 한국의 대러 무역투자 현황 및 러시아 무역투자환경 평가 1. 한국의 대러 무역투자 현황 가. 한ㆍ러 교역 현황 나. 한ㆍ러 교역의 산업별 특징 다. 한국과 러시아의 산업별 경쟁력 분석 라. 한국의 대러시아 투자 현황 2. 러시아의 무역투자환경 평가: 설문조사 가. 설문조사 결과 나. 평가 및 시사점 제6장 결론 한국의 대러시아 무역투자 증진방안 1. 정부 차원의 대응방안 가. 통상협력의 확대 나. 현지 기업활동의 지원 강화 다. 국내 통상인프라의 강화 라. 개발협력사업의 추진 2. 기업 차원의 대응방안 가. 현지투자의 활성화 나. R&D 투자 및 기술협력 확대 다. 민간 통상네트워크의 구축 참고문헌 부록: 러시아의 WTO 가입 관련 무역투자환경 평가 설문조사 Executive Summary
    닫기
    국문요약
    WTO 미가입국 가운데 최대 경제규모를 자랑하고 있는 러시아는 시장경제체제를 정착시켜 지속가능한 경제성장의 기반을 마련하고, 세계 무역대국들과 동등한 자격으로 국제무역에 참여하기 위해 WTO 가입을 추진하고 있다. 1993년 6월 WTO의 전신인 GATT에 가입신청서를 제출한 이래 지금까지 러시아는 WTO 가입을 대외경제정책의 주요 목표로 삼고, 다양한 제도개혁을 추진해왔다. 러시아는 WTO 가입을 통해 중장기적으로 무역활성화, 산업경쟁력 제고, 산업다각화, 소비자 후생증대 등의 다양한 경제적 효과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러시아의 WTO 가입은 2006년 11월 미국과 양자협상을 타결하면서 가시화되기 시작하였으며, 2007년 10월 현재 그루지야, 사우디아라비아와의 양자협상을 남겨두고 있어, 이르면 2008년 내에 이루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러시아의 WTO 가입은 한국의 대러시아 무역투자환경에 적지 않은 변화를 가져다줄 것으로 전망된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WTO 가입 이후 가시화될 러시아의 무역투자환경 변화가 한․러 경제협력에 미치게 될 영향을 분석하고, 한국의 대러시아 무역투자 증진을 위한 정책방안을 제시하는 데 있다. (생략)
    닫기
  • 한ㆍ미 FTA 이후 한국의 대미 통상정책 방향과 과제

    미국은 전세계 GDP의 1/3을 차지하는 세계 제일의 경제대국이자 세계 최대의 소비시장이며, 또한 세계에서 제일 높은 기술역량을 보유하고 있는 국가이기도 하다. 한국의 입장에서 보더라도 미국은 중국에 이은 제2의 수출대상국이고 일본에 이은 제..

    채욱 외 발간일 2007.12.30

    자유무역

    원문보기

    목차
    서 언
    국문요약
    약어 정리

    제1장 서 론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가. 연구의 배경
    나. 연구의 목적
    2. 연구의 범위와 구성
    가. 연구의 범위
    나. 연구의 구성

    제2장 한ㆍ미 통상관계의 변화 추이
    1. 무역 및 투자 관계의 변화
    가. 양적 변화
    나. 구조적 변화
    2. 통상정책 및 현안의 변화
    가. 통상정책의 상호관계
    나. 통상현안의 변화

    제3장 미국 통상정책의 결정요소
    1. 미국의 통상행정체제
    가. 통상조직
    나. 통상정책
    2. 미국 의회의 역할과 성향
    가. 통상정책에서 의회의 역할
    나. 의회의 통상정책 성향: FTA 비준사례 분석

    제4장 한ㆍ미 FTA협상의 주요 결과 및 평가
    1. 상품분야
    가. 농업
    나. 제조업
    2. 서비스 및 투자 분야
    가. 서비스
    나. 투자
    3. 기타 분야
    가. 상품관련 규범
    나. 지식재산권
    다. 정부조달
    라. 경쟁정책
    마. 노동ㆍ환경

    제5장 향후 예상되는 통상이슈
    1. 협정이행 관련 이슈 및 향후 전망
    가. 한국의 이행과정에서 발생 가능한 통상현안
    나. 미국의 이행과정에서 발생 가능한 통상현안
    2. 협정 외 통상이슈 및 향후 전망
    가. 농업
    나. 제조업
    다. 서비스
    라. 상품관련 규범
    마. 지식재산권
    바. 정부조달
    사. 경쟁정책
    아. 노동ㆍ환경

    제6장 주요국 사례 분석: FTA 체결 이후 대미 통상관계 및 제도적 변화
    1. 대미 통상관계의 변화
    가. 무역 및 투자 관계의 변화
    나. 미국과의 분쟁사례
    2. 정책 및 제도상의 변화
    가. 멕시코 사례
    나. 캐나다 사례
    다. 칠레 사례
    라. 호주 사례
    마. 싱가포르 사례
    3. 한국경제에 주는 시사점

    제7장 대미 통상정책의 방향과 과제
    1. 정책방향
    가. 양자통상 측면
    나. 다자통상 측면
    다. 지역통상 측면
    2. 정책과제
    가. 법ㆍ제도의 정비 및 체계화
    나. 통상인프라의 활용 및 개선
    다. 산업경쟁력 강화

    참고문헌
    부 록: 제3장 2절의 실증분석에 대한 설명
    Executive Summary
    닫기
    국문요약
    미국은 전세계 GDP의 1/3을 차지하는 세계 제일의 경제대국이자 세계 최대의 소비시장이며, 또한 세계에서 제일 높은 기술역량을 보유하고 있는 국가이기도 하다. 한국의 입장에서 보더라도 미국은 중국에 이은 제2의 수출대상국이고 일본에 이은 제2의 수입대상국으로서 수출입을 총괄하면 한국의 최대 교역대상국이다. 따라서 미국시장을 안정적으로 확보하는 것은 한국의 지속적 성장을 위해서도 필수불가결한 요소라고 할 수 있다. 더욱이 세계 최고의 기술역량을 보유한 미국기업들의 국내투자를 유치하고 기술제휴를 활성화하는 것은 한국의 산업경쟁력을 강화하고 산업구조를 고도화하는 데 가장 중요한 요소가 아닐 수 없다. 따라서 한국이 향후 주요 선진국과의 경쟁에서 뒤지지 않고 다자체제나 지역협력체제에서 주도적 역량을 발휘하는 데 있어 미국의 힘을 효과적으로 활용하지 않으면 안 된다. (생략)
    닫기
  • 선진통상국가 실현을 위한 중장기 통상전략 연구

    [한국경제의 패러다임 변화] 한국경제는 대외적으로 세계화의 진전, 그리고 대내적으로는 민주화의 진전으로 근본적인 변화를 경험하고 있다. 1997년 외환위기 이후에는 민주화세력에서 참여화세력으로 사회변화의 주도세력이 바뀌었으며, 시민단체..

    채욱 발간일 2006.12.29

    경제발전, 무역정책

    원문보기

    목차
    서언 국문요약 보고서의 취지와 구성 제1장 한국경제의 패러다임 변화와 새로운 국제통상환경 1. 한국경제 패러다임의 변화 가. 패러다임 변화의 요인 나. 패러다임 변화의 특징 2. 한국경제의 전망과 애로요인 가. 불투명한 성장 전망 나. 성장부진의 요인과 과제 3. 중장기 세계통상환경 전망 가. 세계화의 심화와 WTO체제의 변모 나. 지역주의(FTA)의 확산 다. 중국·일본간 패권경쟁과 동아시아질서의 변화 라. BRICs의 부상과 세계 성장축의 다극화 마. 세계 경상수지 불균형과 통상마찰 바. 국제 에너지시장의 불안 제2장 한국통상정책의 발전과 평가 1. 통상정책의 의의 가. 통상정책의 정의 나. 통상정책의 역할 2. 국내ㆍ국제 경제의 여건변화와 통상정책 가. 시기별 통상정책의 전개: 의의와 평가 나. 대외경제환경의 변화와 정책대응 3. 주요 이슈별 통상정책에 대한 평가 가. 통상정책 추진체계와 운영 나. 농산물협상과 구조조정 다. 에너지 확보전략과 성과 라. 외국인직접투자 유치 마. 자본시장 자유화에 대한 접근방법 제3장 선진경제 실현을 위한 비전과 통상정책의 방향 1. 한국경제의 과제와 지속적 성장조건 가. 한국경제의 현황과 과제 나. 혁신경제의 추구 다. 성장친화적인 분배ㆍ복지경제의 정착 라. 효과적인 거버넌스의 구축 2. 선진경제 통상정책의 특징: 사례연구의 시사점 가. 선진경제 사례연구의 필요성 나. 사례연구의 주요 내용 다. 한국경제에 대한 시사점 3. 통상정책의 목표와 추진방향 가. 통상정책의 목표 나. 통상정책의 추진방향 제4장 한국통상정책의 3대 전략과 10대 실천과제 1. 실질적 열린경제 가. 시장개방 확대를 통한 경쟁 촉진 나. 한국경제 투자친화도의 제고 다. 금융허브와 역외금융시장 육성 라. 혁신적 지식역량의 국제화 2. 전략적 협력경제 가. 시장확대를 위한 적극적 무역정책 전개 나. 개발도상국과의 지속적 협력강화 다. 지역협력의 전략적 활용 라. 안정적 에너지자원 확보 3. 효과적 통상거버넌스 가. 개방친화적 통상인프라 구축 나. 통상정책 결정 및 운영체제 효율화 4. 통상전략의 우선순위 제5장 결론 참고문헌 Executive Summary
    닫기
    국문요약
    [한국경제의 패러다임 변화] 한국경제는 대외적으로 세계화의 진전, 그리고 대내적으로는 민주화의 진전으로 근본적인 변화를 경험하고 있다. 1997년 외환위기 이후에는 민주화세력에서 참여화세력으로 사회변화의 주도세력이 바뀌었으며, 시민단체가 능동적 여론주도자로 부상한 한편 정부는 의사결정자에서 조정자로 역할이 바뀌고 있다. 기업 역시 이윤극대화에 그치지 않고 혁신을 주도해야 할 사회적 책임이 증대하고 있다. 한국경제의 패러다임, 즉 경제의 기본 여건과 구조는 생활패턴의 변화, 대외환경의 변화, 지배구조의 변화, 시장구조의 변화간의 상호작용으로 급속하게 변하고 있다. 이러한 패러다임의 변화는 새로운 관행, 제도 및 정책대응을 요구한다. 최근 한국경제의 성장부진은 경제주체들이 변화하는 패러다임에 효과적으로 대응하지 못하고 있는 데에서 비롯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생략)
    닫기
  • WTO 무역분쟁의 추이와 한국관련 분쟁사안에 대한 종합평가 및 정책시사점

    한국이 1980년대 후반기 경상수지흑자를 기록하면서 주요국으로부터 시장개방을 위한 통상압력을 받아 온 것은 주지의 사실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WTO가 출범하기 이전인 1994년까지 한국과 관련되어 GATT에 공식 제기된 무역분쟁은 거의 없었다..

    채욱 외 발간일 2001.12.30

    무역분쟁

    원문보기

    목차
    제1장 서론

    제2장 국제무역분쟁의 추이 및 특징
    1. 분쟁 및 분쟁해결 현황
    2. 주요 분쟁 분야 및 원인
    3. 분쟁 및 분쟁해결의 특징

    제3장 한국관련 무역분쟁의 현황과 전망
    1. 분쟁 및 분쟁해결 현황
    2. 주요 분쟁 분야 및 원인
    3. 향후 무역분쟁의 전망

    제4장 한국관련 주요분쟁사례 및 평가
    1. 주요 분쟁사례
    2. 종합평가 및 시사점

    제5장 정책과제
    1. 대외적 추진과제
    2. 대내적 추진과제

    제6장 요약 및 결론

    <참고문헌>
    닫기
    국문요약
    한국이 1980년대 후반기 경상수지흑자를 기록하면서 주요국으로부터 시장개방을 위한 통상압력을 받아 온 것은 주지의 사실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WTO가 출범하기 이전인 1994년까지 한국과 관련되어 GATT에 공식 제기된 무역분쟁은 거의 없었다. 1993년 폴리아세탈수지에 대한 한국의 반덤핑 조치에 대해 미국이 제소한 바가 있고, 그 이전에는 1988년에 미국, 호주, 뉴질랜드 등이 각각 한국의 쇠고기 수입제한조치에 대해 GATT에 제소한 것이 GATT시대를 통틀어 다자차원에서 제기된 한국관련 무역분쟁의 전부였다. (생략)
    닫기
  • Impact of China’s Accession to the WTO and Policy Implications for Asia-Pacific..

    본 논문에서는 중국의 WTO 가입이 아시아-태평양 지역의 개도국 (아·태개도국)에 미치는 경제적 영향을 분석하고 그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정책대안을 제시하고 있다. 중국의 WTO 가입을 위한 미·중간의 양자협상의 결과로 중국은 높은 수준..

    채욱 외 발간일 2001.03.30

    경제개방, 다자간협상

    원문보기

    목차
    Executive Summary

    Ⅰ. Introduction

    Ⅱ. China and AP Developing Economics in the World Economy
    1. Recent Economic Performance
    2. Structure of World Trade and AP Developing Economies

    Ⅲ. China's Liberalization Schedule
    1. Basic Policy Directions
    2. Overview of the U.S.-China Agreement
    3. Assessment of Liberalization Schedule

    Ⅳ. Impact on AP Developing Economies
    1. Areas of Export Interest for AP Developing Economies
    2. Impact of Tariff Liberalization on Developing Economies' Exports
    3. Competition between AP Developing Economies and China in Overseas Markets:
    Some Implications for Textile and Apparel Exports

    Ⅴ. Policy Implications
    1. Trade and Investment Liberalization
    2. Response to New Trade Issues
    3. Industrial Restructuring
    4. Human Resource Development

    References

    국문요약
    닫기
    국문요약
    본 논문에서는 중국의 WTO 가입이 아시아-태평양 지역의 개도국 (아·태개도국)에 미치는 경제적 영향을 분석하고 그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정책대안을 제시하고 있다. 중국의 WTO 가입을 위한 미·중간의 양자협상의 결과로 중국은 높은 수준의 시장개방을 약속하게 되었다. (생략)
    닫기
  • WTO 서비스규범 관련 논의동향 및 대응방안

    지난 UR 협상에서 서비스교역에 관한 긴급세이프가드, 보조금, 정부조달 규정의 제정 문제는 후속협상을 통해 결정하도록 하였다. 이에 따라 1995년 7월 이후 GATS 규범작업반(Working Party on GATS Rules)이 구성되어 서비스교역에 관한 규범제정..

    김준동 외 발간일 2000.12.30

    다자간협상

    원문보기

    목차
    서 언
    국문요약

    제1장 서론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2. 연구방법
    3. 보고서의 구성

    제2장 긴급세이프가드
    1. 긴급세이프가드 논의동향
    2. 주요 쟁점별 논의동향
    3. 협상에 따른 예상영향
    4. 대응방안

    제3장 서비스 보조금
    1. 서비스 보조금 논의동향
    2. 주요국의 서비스 보조금 현황
    3. 대응방안

    제4장 서비스 정부조달
    1. 서비스 정부조달 논의동향
    2. 서비스 정부조달 관련 국내현황
    3. 대응방안

    제5장 결론
    참고문헌
    닫기
    국문요약
    지난 UR 협상에서 서비스교역에 관한 긴급세이프가드, 보조금, 정부조달 규정의 제정 문제는 후속협상을 통해 결정하도록 하였다. 이에 따라 1995년 7월 이후 GATS 규범작업반(Working Party on GATS Rules)이 구성되어 서비스교역에 관한 규범제정에 관한 논의가 시작되었으나, 그 동안 기본적 사항에 관한 선진국과 개도국간의 입장차이로 큰 진전이 없었었다.

    서비스규범에 관한 논의는 지난 2000년 2월부터 후속협상의제로서 농산물협상과 함께 WTO 서비스협상이 재개된 이후 본격적으로 진행되게 되었다. 이에 본 연구는 GATS 규범작업반에서의 서비스교역에 대한 긴급세이프가드, 보조금, 정부조달에 관한 규범 제정에 있어서의 쟁점을 정리하고, 쟁점별로 각국의 입장 및 향후 전망과 국내 현황을 바탕으로 대응방안을 제시함으로써, 이 분야의 논의에 대한이해를 돕고 향후 협상전략 수립에 기여하고자 하였다. 서비스규범 중에서 현재 긴급세이프가드에 관한 논의가 가장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이는 서비스 분야의 경쟁력이 상대적으로 취약한 개도국들이 가장 관심을 보이며 협상을 주도하고 있고, 선진국들 역시 개도국들의 서비스 협상에의 참여도를 높이기 위해 비교적 적극적인 태도를 취하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긴급세이프가드 규범제정 협상은 이미 두 차례에 걸쳐 제출된 ASEAN 초안과 수 차례의 의장문서를 통해 주요쟁점에 관한 회원국간 논의가 상당히 진전된 상태이다. 현재까지 제기된 각종 관련 쟁점 중에서도 국내산업의 정의, 외국인 서비스 공급자의 기득권 범위 등이 가장 핵심적인 쟁점이 되고 있다. 우선, 국내산업의 정의와 관련하여 기설립 외국인 서비스공급자를 국내산업의 범주에 포함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외국인직접투자의 유치를 국가의 최우선 정책중의 하나로 추진해온 정부로서는 긴급세이프가드가 외국인직접투자를 저해하는 요소로 작용하지 않도록 협상을 추진해야 할 것인 바, 이는 국익을 위해서나 국가의 위상을 위해서도 절대적으로 요구되는 것이다. 다만, 긴급세이프가드의 본래의 취지에 부합하도록 제소자격을 부여하거나 국내산업피해를 측정하는 데에 있어서만은 기설립 외국인 서비스 공급자를 국내산업에서 제외시키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또한, 외국인투자자의 보호를 위해 가능한 한 기설립 외국인서비스 공급자의 기득권 범위를 최대한 보장하되, 다수 회원국의 의견을 반영하고 세이프가드의 목적에 부합하도록 외국인 서비스공급자의 사업확장에 대해서는 제한을 가하는 것이 순리일 것으로 판단된다. 보조금과 관련하여서는 그 동안 규범 제정의 필요성과 실효성에 대한 의문으로 인해 별 진전이 없었다가, 최근에 들어와서야 보조금의 정의를 포함하여 본격적으로 규범 제정과 직접적으로 관련 있는 요소들에 대한 점검을 시작하였다. 서비스 보조금의 정의는 대부분의 회원국들이 상품 분야 보조금·상계조치협정에서의 정부의 재정적 지원 또는 가격 및 소득지원, 보조금을 통한 혜택발생 등의 개념에 기초하여 설정하는 것에 공감을 하고 있는 상태이다. 그러나, 서비스 분야의 특수성을 정의 부분에 삽입하기보다는 각국의 사회정책 수행상 보조금의 지급이 필요한 경우에 대해 시정조치에서 예외적으로 이를 반영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품 분야의 보조금·상계조치협정에서와 유사하게 전체 보조금을 허용대상 보조금과 시정조치 대상 보조금으로 나누어 시정조치 대상 보조금에 대한 규율을 서비스 분야의 특성에 맞게 마련하는 것이 필요하다. 허용보조금으로는 객관적 기준 하에 모든 서비스 업종에 적용되는 비특정적인 보조금과 특정적 보조금이라고 해도 연구개발, 지역개발, 환경보전 등의 목적으로 지급되는 보조금이나 공익성을 지닌 보조금을 포함시킬 수 있다. 이러한 허용보조금을 제외한 보조금에 대한 시정조치로서는 서비스 통계의 문제점을 포함한 서비스 분야의 특수성으로 인해 상계관세를 부과하도록 하는 방안은 실현가능성이 없다. 따라서 무역왜곡 효과를 갖는 서비스 보조금에 대한 시정조치는 농산물보조금에서와 같이 감축약속을 하는 방안과 상품 분야의 보조금·상계조치협정에서와 같이 분쟁해결절차를 이용하는 방안을 고려할 수 있다.

    한편, 대부분 국가들에 있어서 자국 GDP의 약 10∼20%를 차지하는 규모인 것으로 나타나고 있는 정부조달에 대해서는 현재 WTO 관련 규범은 매우 취약한 상태이다. 서비스 규범작업반에서의 서비스 정부조달에 대한 논의는 아직 원칙적 수준에만 그치고 있다. 향후 WTO 차원에서 서비스 정부조달 관련 규범제정이 GATS가 아니라 정부조달 투명성 작업반이나 정부조달 협정위원회에 위임될 가능성도 있는 것으로 보인다. GATS에서 서비스 정부조달에 관한 투명성과 시장개방에 대한 규범이 강화된다고 하여도, 한국 경제에는 부정적인 영향이 적을 것으로 판단된다. 현재 한국은 정부조달협정에 가입하고 있으며, 규범측면에서는 상당한 수준의 시장개방을 이미 실현하였다. 수출 면에서는 특히 건설서비스 분야에서의 이득이 클 수 있으므로 서비스 정부조달에 대한 과제를 계속 추진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세 가지 서비스교역 관련 규범 중 협상의 우선순위는 긴급세이프가드, 보조금, 정부조달의 순으로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개도국들이 이러한 순위로 관심을 갖기 때문이다. 서비스협상의 근본 목적이 시장개방과 국내규제의 완화를 통한 서비스교역의 자유화에 있다고 할 때, 서비스규범은 현 상황에서 개도국들이 시장개방에서의 자유화를 추진하는 데 유인을 제공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따라서 서비스협상의 원활한 진행과 목적 달성을 위해서는 서비스규범 제정에 있어서 개도국들의 관심사항인 긴급세이프가드에 우선순위를 두는 것이 요구된다. 정부조달의 경우는 정부조달협정이나 정부조달 투명성작업반에서 어느 정도 다루어질 수 있는 사항이고 보조금의 경우에는 현 GATS의 내국민대우 규정으로 일정 부분 그에 대한 규율이 가능하므로, 이들에 대한 논의의 부진이 전체 서비스협상에 장애가 되지 않도록 주의를 기울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닫기
  • WTO 뉴라운드 규범분야의 논의동향과 한국의 협상전략

    본 연구에서는 WTO규범분야중에서 주요국의 관심이 높고 뉴라운드의 협상의제로 채택될 가능성이 높은 이슈들을 대상으로 우리나라의 협상전략을 제시하고자 한다. 현재의 예상으로는 뉴라운드가 출범하는 경우 반덤핑협정, 보조금ㆍ상계조치협정, ..

    최낙균 외 발간일 2000.12.30

    다자간협상

    원문보기

    목차
    서언
    국문요약

    제1장 序論
    1. WTO체제의 기능
    2. WTO 규범분야 논의의 의의와 배경
    3. 뉴라운드 논의 동향과 규범분야의 주요 이슈
    4. 연구 목적 및 구성

    제2장 반덤핑
    1. 논의 동향
    2. 대내외 조치현황
    3. 뉴라운드 반덤핑 협상의 예상효과
    4. 한국의 입장 및 협상전략

    제3장 보조금/상계조치
    1. 논의 동향
    2. 주요국의 보조금/상계관세제도 운용 현황
    3. WTO 보조금 상계조치협정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
    4. 보조금/상계관세 제도의 경제적 효과
    5. 한국의 입장 몇 협상전략

    제4장 원산지 규정
    1. 논의 동향
    2. 주요국의 운용현황
    3. 경제적 효과
    4. 한국의 입장 및 협상전략

    제5장 지역무역협정
    1. 논의 동향
    2. 주요국의 운용현황
    3. 경제적 효과
    4. 한국의 입장 및 협상전략

    제6장 지적재산권
    1. 논의 동향
    2. 주요국의 지적재산권 제도 현황
    3. TRIPS협정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
    4. TRIPS협정의 경제적 효과
    5. 한국의 입장 및 협상전락

    제7장 무역원활화
    1. 논의 동향
    2. 주요국제기구의 규범 제정 현황
    3. 기존 제도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
    4. 경제적 효과
    5. 한국의 입장 및 협상전략

    제8장 요약 및 정책시사점
    1. 반덤핑
    2. 보조금/상계조치
    3. 원산지규정
    4. 지역무역협정
    5. 지적재산권
    6. 무역원활화

    제9장 결론: 규범분야의 종합적 협상전략

    참고문헌
    닫기
    국문요약
    본 연구에서는 WTO규범분야중에서 주요국의 관심이 높고 뉴라운드의 협상의제로 채택될 가능성이 높은 이슈들을 대상으로 우리나라의 협상전략을 제시하고자 한다. 현재의 예상으로는 뉴라운드가 출범하는 경우 반덤핑협정, 보조금ㆍ상계조치협정, 원산지규정, 지역무역협정과 관련한 GATT 24조 등의 개정과 지적재산권협정(TRIPs), 그리고 WTO에 작업반이 구성되어 있는 무역원활화협정의 신규 제정문제 등이 규범분야에서 주요한 이슈로 대두될 것으로 예상된다.

    본 연구에서는 이상과 같은 규범분야의 주요 이슈에 대해 주요국의 입장과 쟁점사항들을 분석하고, 이에 대응한 협상전략을 제시하였다. 우선, 반덤핑 이슈의 경우에 뉴라운드 의제로 채택될지 여부에 대해서는 현재로는 명확하게 예측하기가 어렵다. WTO의 대다수 회원국들이 뉴라운드협상에서 현행 반덤핑 규정을 개정하기 위한 협상을 할 것을 주장하는 반면, 다자체제에서 가장 큰 영향력이 있는 미국이 그에 강력하게 반대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WTO출범이후 다소 주춤하던 세계의 반덩핑조치 건수가 최근 들어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는 점에서 미국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뉴라운드협상에서 어떠한 형태이든 반덤핑 이슈가 다루어질 가능성은 적지 않다. 반덤핑 이슈가 뉴라운드 협상의제로 채택될 경우, 우리나라는 반덤핑조치의 남용을 근본적으로 억제하기 위한 방안을 강력하게 제시해야 할 것이다. 반덤핑 조치의 무역제한효과를 감안할 때, 반덤핑조치의 발동을 억제할 수 있는 방향으로 협정의 개선이 이루어진다면, 반덤핑조치의 주요 대상국이 되고 있는 한국은 매우 큰 수출증대효과를 누릴 수 있을 것이 분명하다. 따라서, 우리나라로서는 반덤핑조치의 발동요건을 엄격하게 설정하는 방향으로 협상을 유도하는 것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최소덤핑마진이나 무시할만한 덤핑수입량의 상향조정, 그리고 환율조정기준의 명료화, 원가이하판매기준의 상향조정도 반덤핑조치의 남용을 억제하는 데에 큰 효과가 있을 것이다. 또한, 반덤핑 협정상의 자동소멸시효기간이 효력을 발할 수 있도록 막연한 덤핑 및 피해의 재발가능성에 기초한 반덤핑조치의 연장은 반드시 시정되어야 한다.

    그 외에도, 우회덤핑방지규정의 도입 및 국내산업확립의 실질적 지연에 대한 기준설정도 우리나라로서는 중요한 협상이슈로 다루어져야 할 부분이다. 보조금·상계조치협정의 경우, 허용보조금 범위의 확대, 개도국에 대한 금지보조금의 기준 완화, 상계관세의 남용방지, 수산보조금, 투자인센티브 등이 쟁점으로 부각될 것으로 전망된다. 이중에서 개도국들이 관심을 갖는 금지보조금의 완화와 허용보조금의 확대 문제에 우선순위를 두고 협상에 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이 분야에서의 논의를 성공적으로 진전시키는 것이 전체 협상에서 개도국의 참여를 이끌어내는 데 도움이 되기 때문이다. 단, 국내기업의 수출에 크게 부정적인 영향을 가져오지 않도록 하기 위해, 금지보조금의 경우 미소요건의 절충적인 완화와 허용보조금의 경우는 환경보조금에 대한 허용범위의 확대에 중점을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계관세에 대한 논의는 반덤핑 분야에서의 논의와 연계될 것이므로, 반덤핑 협상에 역점을 두고 보조금·상계조치 협상에서는 그 논의를 조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 반덤핑 분야가 뉴라운드 협상에서 제외될 경우는 보조금·상계조치 협상에서 상계관세의 남용을 방지하도록 협정의 개선을 도모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 외 투자인센티브나 수산보조금의 경우는 뉴라운드 협상의 투자나 환경 등 다른 논의에 결부시키는 것이 적절하므로, 보조금·상계조치 협상 자체에서는 그러한 논의가 협상의 진전에 장애가 되지 않도록 주의를 기울일 필요가 있다. 원산지규정은 물품의 제조국을 판정하는 기준으로서 다국적기업의 활동증대, 부품의 아웃소싱 등으로 인해 그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현재 WTO협정 내에는 비특혜 원산지에 관한 규정이 포함되어 있으나 여러 가지 문제점으로 인하여 이에 관한 통일 원산지 규정을 만들기 위한 작업을 진행 중에 있으나 현재까지도 타결을 보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통일원산지규정의 제정작업을 뉴라운드에 포함시키자는 주장이 대두되고 있는 것이다. 현재 진행 중인 통일원산지규정 제정작업이 뉴라운드를 통해 완료된다면, 이 규정은 무역분야에서 최혜국 대우, 반덤핑, 세이프가드, 수량제한, 원산지표시, 수출입 통계작성 등 거의 모든 무역분야의 새로운 근거규범으로서 적용될 것이다. 따라서, 업계의 해당품목에 대한 전문성을 갖고 있는 품목별 전문가와 관계부처의 담당자를 중심으로 대책반을 만들어 원산지 규정에 대한 중요성을 업계에 인식시키고 동대책반에서의 충분한 논의를 거쳐 품목별 원산지에 대한 우리의 최종안을 만들어야 할 것이다. GATT와 WTO에 통보된 지역무역협정의 수는 1999년 10월말 현재 209개로 실제로 효력을 유지하고 있는 협정도 130여개에 달하고 있으며, 지역무역협정의 회원국간의 교역량이 전세계교역량의 50%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이에 따라 일부국가들 간에는 지역무역협정의 WTO체제와의 일치성을 유지하기 위한 WTO 관련규정의 개정문제를 금번 WTO 뉴라운드에서 다루자는 주장을 하고 있다. 지역무역협정 조항에 대한 명백하고 이해 가능한 명료화를 통해서만이 실질적인 지역무역협정의 검토 및 GATT규정 합치여부가 결정될 수 있으므로 이를 뉴라운드에 포함시켜 우리의 입장을 반영하여야 할 것이다. 지적재산권 부문에서 뉴라운드 협상의 주요 기설정의제로는 포도주의 지리적 표시에 관한 다자통보 및 국제공통등록소 설치 문제와 포도주 및 증류주이외의 분야로 TRIPS협정의 규정을 확대 적용하는 문제 등이 있으며, 생물다양성의 보호, 전통적 지식의 지적재산권보호, 생명체에 대한 특허허용 문제, 필수의약품에 대한 특허적용제외 문제 등이 있다. 또한, 비위반제소 적용 예외기간의 연장 문제도 큰 쟁점이 되고 있다. 나아가서, 개도국들은 TRIPS협정에 2000년에 협정을 전반적으로 검토한다는 규정이 포함되어 있음을 들어 유예기간의 연장, 전통적 지적재산권에 대한 인정, 기술이전 및 기술협력/지원의 활성화 등을 주장하고 있다. 반면, 선진국들은 재협상을 원하지는 않지만 한편으로는 전자상거래 등과 관련된 신지식재산권 보호를 반영하기 위한 개정논의에 큰 관심을 보이고 있다. 일반적으로 지재권보호 강화는 한국과 같은 기술중진국에서는 기술혁신에 대한 촉진제가 될 수 있다. 따라서 지재권보호의 강화를 거부하기보다는 일시적으로 높아지는 수입 기술료에 대한 대처 및 기술혁신제도의 정비와 적절한 경쟁정책의 적용을 통한 지재권 남용의 통제 등 제도적 장치의 강화가 필요하다.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통상압력에 의해서가 아니라 지재권제도가 한국경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심도 있는 실증분석에 입각하여 한국 경제체제에 맞는 제도를 만들어 나가야 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작업이 선행되지 않으면 국제논의에서 뚜렷한 협상전략을 가지기는 힘들 것이다. 최근 수출입 및 통관과정에서의 비효율성이 무역거래에 장애요인으로 대두됨에 따라 WTO에서는 무역절차의 단순화에 대한 분석작업에 착수하였으나, WTO의 논의 범위와 향후 과제 등에 대해 각국간 뚜렷한 입장의 차이가 나타나고 있다. EU는 WTO규범의 기본 틀을 개발하고 보다 포괄적인 무역원활화규범을 새롭게 제정해야 한다는 입장인데 반해, 미국, 일본 등은 현행규범의 개정에 보다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다. 이처럼 WTO논의범위를 둘러싼 논란이 벌어지고 있지만, 대부분의 국가들은 수출입 및 통관관련 국제규범과 국내법규 및 행정처분 등에 있어 투명성을 제고하는 것이 매우 중요한 과제라는 점에는 동의하고 있다. 앞으로 WTO의 무역원활화 논의는 WCO 등 기존국제기구의 논의와의 중복을 피하기 위해 모든 세부적 이슈에 대해 상세하게 규정하기보다는 무역원활화에 대한 일반원칙을 포괄하는 무역원활화규범을 제정함으로써 모범사례(best practices)에 기초한 각국의 자발적 조치를 촉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동규범에는 과도한 서류제출의 간소화, 자동화 및 정보기술의 활용, 규제의 투명성 제고, 위험관리 및 사후적 세관관리 등은 서둘러 시행될 수 있도록 WTO 회원국간에 상호협조하고 필요시 개도국에 대한 기술지원을 강화하는 규정이 포함될 수 있을 것이다. 우리나라는 그동안 WTO상품이사회에 몇차례 제안서(non-paper)를 제출한 바 있는데, 이러한 기존의 입장과의 일치되게 회원국들이 제기하는 모든 세부적 사항에 대한 강제적 규정 대신에 일반원칙을 제시하고, 사안별로 구속력 있는 새로운 의무 또는 단순권고 형태로 추진할 것을 제안해야 한다.

    이상과 같이 본 연구에서 다룬 6개의 규범을 경중과 완급별로 구분해 본다면, 반덤핑과 지적재산권협정의 개정문제가 우리 경제에는 가장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통일원산지규정과 무역원활화규범은 WTO에서는 처음으로 제정되는 것으로서 우리 기업의 대외진출활동에 지장이 초래되지 않도록 규범의 기본틀이 짜여질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보조금ㆍ상계조치, 지역무역협정은 UR협상에서는 우리나라 협상전략에서 상당히 중요한 비중을 차지했던 분야들이다. 우리나라는 이들 분야에서 통상외교의 일관성유지를 위해 기존의 기본입장을 견지할 필요는 있겠지만, 동 분야는 여타 규범분야에 비해 우리나라가 선진국과 개도국간의 이해조정에 나설 수 있는 분야이다. 우리나라는 앞으로 규범분야의 협상에서 각 규범간의 상대적 완급과 중요성을 감안하여 협상에 임하는 것이 중요할 것이다. 또한, 각 협정내에서도 어느 조항에 우선순위를 둘 것인지를 미리 검토하여 어느 조항을 얻어내고 어느 조항을 양보할 것인지에 관한 일종의 거래(trade-off)가 가능할 수 있도록 준비해야 할 것이다.
    닫기
  • WTO 뉴라운드 협상의 전망과 한국의 협상력 제고방안

    시애틀 각료회의(1999.11.30-12.3)를 계기로 출범할 것으로 예상되던 뉴라운드, 즉 제9차 다자간무역협상은 각국의 첨예한 의견대립으로 각료회의의 결렬과 함께 무산되었다. 뉴라운드를 가능한한 조기에 출범시키기 위한 WTO 및 국별차원의 노력은..

    최낙균 외 발간일 2000.12.30

    다자간협상

    원문보기

    목차
    서언 국문요약 제1장 서론 제2장 뉴라운드 협상의 논의현황과 전망 1. 논의배경 및 의의 2. 논의 현황 3. 향후 전망 제3장 분야별 논의현황 및 주요쟁점 1. 농업 및 서비스 2. 공산품 시장접근 3. 새로운 통상이슈 4. 기타이슈 제4장 한국의 분야별 주요 현황과 입장 1. 농업 2. 서비스 3. 공산품 시장접근 4. 반덤핑 5. 기타 분야 제5장 한국의 협상력 제고방안 1. 협상목표 및 고려요소 2. 기존 협상체제의 문제점 3. 협상력 제고방안 제6장 요약 및 결론 참고문헌
    닫기
    국문요약
    시애틀 각료회의(1999.11.30-12.3)를 계기로 출범할 것으로 예상되던 뉴라운드, 즉 제9차 다자간무역협상은 각국의 첨예한 의견대립으로 각료회의의 결렬과 함께 무산되었다. 뉴라운드를 가능한한 조기에 출범시키기 위한 WTO 및 국별차원의 노력은 아직까지 결실을 보지 못하고 있다. 현재로서는 2001년 하반기에 개최될 제4차 WTO 각료회의를 계기로 뉴라운드가 출범할 것이라는 전망이 가장 유력한 상황이다. 뉴라운드가 2001년 하반기에 출범할 수 있을 것이라는 전망도 의제선정 및 협상방식에 대한 주요선진국간 또는 개도국간의 이견이 충분히 좁혀진다는 전제하에 가능할 뿐이다. 다만, 농업과 서비스등 UR협정에 명시된 기설정 의제가 이미 협상이 진행중이고 공산품 관세인하에 있어서는 국가간 이견이 크지 않다는 측면에서 2001년 하반기경에는 비록 제한적인 형태로라도 뉴라운드가 출범할 수 있을 것이라는 데에 상당수의 국가가 기대를 하고 있다. (생략)
    닫기
  • WTO 뉴라운드의 전망과 대책

    현재 WTO에서는 21세기 세계교역질서를 관장할 새로운 무역규범의 구축을 위한 뉴라운드(일명 밀레니엄라운드)에 대한 논의가 한창 진행 중이다. 현재까지 논의된 협상의 범위와 규모, 그리고 대상분야의 성격 등을 감안할 때, 뉴라운드는 21세기의..

    채욱 외 발간일 1999.03.20

    다자간협상

    원문보기

    목차
    Ⅰ. 서 론

    Ⅱ. 뉴라운드 논의의 대두
    1. 뉴라운드의 의의
    2. 뉴라운드 논의의 배경
    3. 과거 다자협상과의 비교

    Ⅲ. 뉴라운드의 논의 현황 및 전망
    1. 협상범위, 방식 및 기간
    2. 향후 논의 일정 및 전망

    Ⅳ. 예상 분야별 주요국 입장
    1. WTO 협정 이행
    2. 농산물분야
    3. 서비스분야
    4. 새로운 통상이슈
    5. 기타 주요이슈

    Ⅴ. 뉴라운드 출범시 예상효과와 우리의 입장
    1. 농산물분야
    2. 서비스분야
    3. 공산품 관세인하
    4. 새로운 통상이슈
    5. 기타 이슈

    Ⅵ. 대응방안

    Ⅶ. 요약 및 결론

    참고문헌
    닫기
    국문요약
    현재 WTO에서는 21세기 세계교역질서를 관장할 새로운 무역규범의 구축을 위한 뉴라운드(일명 밀레니엄라운드)에 대한 논의가 한창 진행 중이다. 현재까지 논의된 협상의 범위와 규모, 그리고 대상분야의 성격 등을 감안할 때, 뉴라운드는 21세기의 세계교역질서는 물론이고 각국의 교역패턴과 산업구조에도 지대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2000년에 개시될 뉴라운드는 현재 WTO 일반이사회의 검토결과에 따라 1999년 하반기(1999.11.30 12.3)에 미국 시애틀에서 개최될 제3차 WTO 각료회의에서 협상범위, 방식 및 기간에 대한 모든 세부사항들이 공식적으로 발표될 예정이다.

    뉴라운드와 관련하여 가장 중요한 현안은 협상방식 및 범위에 대한 결정이다. 우리나라를 비롯한 EU, 일본, 호주 등은 협상분야 및 이슈간의 주고받기식의 교환(trade-off)을 통해 협상의 타결 가능성이 높은 일괄타결방식(single-undertaking)을 주장하고 있으나, 미국은 협상기간을 불필요하게 지연시킬 수 있다는 논리하에 일괄타결방식보다는 분야별 협상방식(sectoral approach)을 주장하고 있다.

    협상범위에 있어서는 농산물과 서비스분야를 비롯한 기설정의제(Built-In-Agenda;BIA)를 중심으로 논의를 진행하자는 개도국(아세안, 인도, 이집트 등)과 기설정의제(BIA)外에 투자, 경쟁정책, 환경, 전자상거래, 정부조달 투명성 등 새로운 통상이슈들, 그리고 공산품 관세인하를 포함시키자는 선진국(미국, EU, 일본, 호주 등)간의 이견조율이 남아 있다. 한편, 협상기간에 대해서는 우루과이라운드협상(1986.9 1993.12)이 장기화되었던 문제점을 감안하여 &#393;년이라는 기간이 유력하게 거론되고 있다. 현재까지의 논의동향을 종합해 볼 때, 뉴라운드는 포괄적이고 일괄타결방식으로 단기간내에 추진될 가능성이 크다고 하겠다.

    뉴라운드는 크게 다음의 세가지 의미를 갖는 것으로 요약될 수 있다.첫째, 기존의 통상이슈에 대한 자유화를 진전시킴으로써 현행 다자간 규범의 확고한 위상을 정립하겠다는 것이다. 즉, 과거 우루과이라운드협상에서 완전히 타결되지 못했거나 또는 타결된 분야에 있어서도 이행이 미진한 분야에 대한 추가적인 협상을 통해 기존의 통상규범을 대폭 보완하겠다는 것이다.둘째, 새로운 통상이슈들에 대한 국제규범의 제정을 통해 실질적인 교역자유화를 달성하겠다는 것이다. 투자, 경쟁정책, 환경, 정부조달 투명성, 전자상거래 등 새로운 통상이슈들은 단순히 시장접근뿐만 아니라 무역에 영향을 주는 각종 국내제도 및 관행과 연계되어 있다는 점에서 그에 대한 국제규범의 제정은 세계교역을 실질적으로 확대시키는 결과를 가져올 것이다. 셋째, 세계무역기구를 통해 다자체제를 더욱 공고히 하겠다는 것이다. 이는 WTO규범의 확대, WTO의 감독 및 규율과 분쟁해결 역량 등의 제고를 통해 제도적 기능을 강화하고, 최빈개도국에 대한 각종 지원기능을 확대함으로써 세계경제의 복지를 향상시키기 위한 협력의 기능까지 완비하겠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다. 이와같은 뉴라운드의 의의는 대외의존도가 특히 높은 우리경제에 시사하는 바가 매우 크다. 우선, 협상분야가 우리경제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우리의 입장을 확고하게 정하는 동시에 포괄적 및 분야별 협상전략을 마련해야 할 필요성이 시급해지고 있다. 어차피 협상이 추진될 예정인 농산물 및 서비스분야의 정치적 경제적 민감성을 고려할 때, 우리로서는 가능한한 다양한 이슈를 포함시켜 일괄타결방식(single-undertaking)으로 진행되는 포괄적 협상(comprehensive negotiations)을 지지하는 것이 매우 유리할 것이다. 또한, 협상에 효율적으로 임하기 위해서는 범정부차원의 협상대책반을 구성하고 민 관 공조체계를 확고하게 구축하여 민간전문가를 최대한으로 활용해야 할 것이다.

    협상전략을 수립하는 데에 있어서도 분야별 예상효과를 도출하여 거시적인 국가무역이익에 입각한 포괄적이고 체계적인 협상전략을 마련하는 동시에 주요국의 입장 및 협상전략에 대한 대응논리개발에도 주력해야 한다. 또한, 뉴라운드가 다양한 집단의 이해관계에 미치는 영향이나 시사점에 대한 객관적 분석과 평가를 토대로 뉴라운드의 의의 및 효과에 대한 對국민 홍보를 충분히 실시함으로써 우리의 향후 정책방향에 대한 국민적 공감대를 형성하는 데에도 각고의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특히, 우루과이라운드(UR)협상에서 우리에게 가장 큰 부담 요인 중 하나로 작용하였던 농산물분야에 있어서는 지금부터 추가개방 여부, 개방의 방법, 농업부문 지원책 등에 대한 일반인의 관심을 제고시키는 노력이 요구된다.
    닫기
  • WTO 분쟁해결사례 연구

    코스타리카는 미국이 자국의 통합품목관세(HTSUS)규정에 근거하여 다시 미국으로 재수입하는 조건으로 수출된 제품에 부분적인 관세감면을 규정하여 왔음에도 불구하고 유독 코스타리카로부터의 섬유류 수입에 대해 과도적 세이프가드조치를 부과함..

    채욱 외 발간일 1998.12.30

    무역분쟁

    원문보기

    목차
    서 언

    Ⅰ.패널節次
    1.事案의 槪要
    2. 主要爭點
    3.패널의 評決(Findings)

    Ⅱ. 上訴節次
    1. 節次的 進行
    2. 主要爭點
    3. 上訴機構의 平均

    Ⅲ. 示唆點
    1. 法的 이슈
    2. 經濟的 이슈
    3. WTO 紛爭解決節次의 實效性 認識

    參考文獻

    附錄

    Executive Summary
    닫기
    국문요약
    코스타리카는 미국이 자국의 통합품목관세(HTSUS)규정에 근거하여 다시 미국으로 재수입하는 조건으로 수출된 제품에 부분적인 관세감면을 규정하여 왔음에도 불구하고 유독 코스타리카로부터의 섬유류 수입에 대해 과도적 세이프가드조치를 부과함으로써 섬유 및 의류협정(ATC)이나 GATT 1994하에서의 그들의 이익이 무효화 또는 침해되었다고 WTO에 제소했음.

    당해사안에서는 ATC 제6조에 근거하여, 미국이 과도적 세이프가드조치를 부과하기 이전에 수입물량의 증가가 심각한 피해 혹은 실제적 피해위협을 유발하였다는 사실의 입증여부, 미국이 특정산업에 심각한 피해가 발생되었다는 사실을 입증하기 위하여 특정산업과 연관성이 있는 경제지표를 활용해야 하는 요건이 충족되었는지의 여부, 그리고 그와 같은 과도적 세이프가드조치가 미국의 국내생산을 보호하기 위한 목적으로 적용되었는지의 여부가 양국간에 주요 쟁점이 되었음.

    패널은 미국이 자국내 산업이 코스타리카産 내의제품의 재수입으로 인해 심각한 피해 또는 실제적인 위협이 발생하였음을 입증하지 못한 채 코스타리카의 수출에 대해 수입규제조치를 부과함으로써 ATC 제6조 2항 및 4항에 위배했다고 평결함. 또한, 패널은 미국이 코스타리카의 재수입에 대한 보다 호의적인 조치를 허가하지 않음으로써 ATC 제6조 6항(d)을 위배하였고, ATC 제6조와 일치하지 않는 방식으로 수입규제조치를 부과함으로써 ATC 제2조 4항을 위배하였으며 협의요청일을 기준으로 규제기간의 개시를 설정함으로써 ATC 제6조 10항 및 GATT 1994 제10조 2항을 위배했다는 결론을 내림.

    한편, 코스타리카는 패널의 특정 법 이슈 및 법 해석에 대해 상소기구에 상소하였는 바, 상소기구는 법 이슈 및 해석에 대해 패널평결중 일부의 오류를 지적하였으나, 대부분 패널평결을 지지하였음.

    WTO체제의 출범이후 개도국이 선진국을 제소한 두 번째 분쟁인 당해 분쟁은 WTO 분쟁해결절차의 실효성 및 공정성을 확인함으로써 특히 개도국이 분쟁해결절차를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계기를 제공하였으며, 상소기구의 새로운 법해석에 따라 과거 모호했던 세이프가드조치의 최초개시일과 관련하여 ATC 제6조 10항에 의거하여 과도적 세이프가드조치의 효력에 대한 소급적용을 원칙적으로 금지하고 있음을 분명히 하였음.
    닫기
  • WTO 분쟁해결사례연구

    ■ 인도는 미국이 인도산 직조모직셔츠 및 블라우스 품목의 수입에 대해 과도적 세이프가드 조치를 취함으로써 섬유 및 의류협정(Agreement on Textiles and Clothing: ATC)을 위반하였으며, WTO 협정 특히 GATT 1994와 ATC하에서 인도의 이익이 무..

    채욱 발간일 1998.12.30

    무역분쟁

    원문보기

    목차
    序言
    要約

    Ⅰ. 패널節次
    1. 사안의 개요
    2. 주요쟁점
    3. 패널의 결정(Findings)

    Ⅱ. 上訴節次
    1. 절차적 진행
    2. 주요쟁점
    3. 상소기구의 평결

    Ⅲ. 示唆點
    1. 법적이슈
    2. 경제적 이슈

    參考文獻

    附錄

    Executive Summary
    닫기
    국문요약
    ■ 인도는 미국이 인도산 직조모직셔츠 및 블라우스 품목의 수입에 대해 과도적 세이프가드 조치를 취함으로써 섬유 및 의류협정(Agreement on Textiles and Clothing: ATC)을 위반하였으며, WTO 협정 특히 GATT 1994와 ATC하에서 인도의 이익이 무효화 또는 침해되었다고 WTO에 제소함.

    ■ 당해사안에서는 입증책임, 사안의 검토기준, 그리고 미국의 과도적 세이프가드 조치가 ATC 제6조에 부합되게 적용되었는지의 여부, 심각한 피해가 발생했는지의 여부가 양당사국간에 주요쟁점이 되었음.

    ■ 패널은 미국측의 과도적 세이프가드 조치가 ATC 제2조에 부합하지 않는다는 사실에 대한 입증책임은 제소국인 인도에게 있으며, 검토기준은 미국의 조치가 WTO 규정에 잘 부합하는지에 대한 객관성 평가를 하는데에 제한된다고 평결함. 패널은 또한 미국이 과도적 세이프가드 조치를 부과하기 위한 ATC 제6조의 실체적 요건을 충족시키지 못함으로써 ATC 제6조는 물론이고 ATC 제2조를 위배했다고 평결함.

    ■ 한편, 인도는 패널의 특정 법이슈 및 해석에 대해 상소기구에 상소하였는 바, 상소기구는 일부 패널논리의 명확성에 대한 문제점을 지적하였으나, 패널이 법적 오류를 범하지는 않았다며 패널평결을 지지하였음.

    ■ 당해분쟁은 입증책임의 소재, 심사범위를 결정하는 검토기준, 심각한 피해에 관한 입증등 향후 각종 분쟁에서 매우 중요하게 다루어질 가능성이 있는 법적·경제적 이슈에 대한 기준과 지침을 제시하고 있음. 동 사안은 특히 향후 섬유교역과 관련된 분쟁은 물론이고 일반세이프가드 조치와 관련된 분쟁에도 좋은 시사점을 제공할 것으로 보임.
    닫기
  • WTO紛爭解決事例 硏究 : 日本의 酒稅에 관한 紛爭

    ­ EC, 미국, 캐나다등 3국은 일본이 자국의 주세법에 근거하여 자국산 소주에 비해 위스키/브랜디, 콘약, 백색화주등 외국산 화주류에 차별적으로 높은 세금을 부과함으로써 GATT 1994下에서의 그들의 이익이 무효화 또는 침해되었다고 WTO에 제소..

    채욱 발간일 1997.12.30

    무역분쟁

    원문보기

    목차
    서언
    요약

    Ⅰ. 패널節次
    1. 事案의 槪要
    2. 主要爭點
    3. 패널의 評決

    Ⅱ. 上訴節次
    1. 節次的 進行
    2. 主要爭點
    3. 上訴機構의 評決

    Ⅲ. 示唆點
    1. 日本 酒稅紛爭으로부터의 示唆點
    2. 韓國 酒稅紛爭에의 示唆點

    參考文獻

    附錄

    關聯條項 原文
    닫기
    국문요약
    ­ EC, 미국, 캐나다등 3국은 일본이 자국의 주세법에 근거하여 자국산 소주에 비해 위스키/브랜디, 콘약, 백색화주등 외국산 화주류에 차별적으로 높은 세금을 부과함으로써 GATT 1994下에서의 그들의 이익이 무효화 또는 침해되었다고 WTO에 제소했음.

    ­ 당해사안에서는 GATT 1994 제3조 1항 및 2항에 근거하여, 동종물품 및 직접적으로 경쟁적이거나 대체가능한 물품에 대한 정의, 수입물품이 그와 같은 물품들에 비해 차별적으로 높은 세금 또는 유사하지 않은 세금이 부과되었는지의 여부, 그리고 그와 같은 과세조치가 일본의 국내산업을 보호하기 위한 목적으로 적용되었는지의 여부가 관련국가간에 주요 쟁점이 되었음.

    ­ 패널은 문제의 수입주류중 보드카는 소주와 동종물품이고 소주에 비해 높은 과세를 하였으므로 GATT 1994 제3조 2항 제1문에 위배되며, 여타의 주류는 소주와 유사하지 않게 과세되었고 그와 같은 과세가 국내생산을 보호하기 위한 목적으로 적용되어 GATT 1994 제3조 2항 제2문을 위배했다는 결론을 내림.

    ­ 한편, 일본과 미국은 패널의 특정 법이슈 및 법해석에 대해 상소기구에 상소하였는 바, 상소기구는 법이슈 및 해석에 대해 패널평결중 일부의 오류를 지적하였으나, 대부분 패널평결을 지지하였음.

    ­ 당해분쟁은 현재 진행중인 한국과 EC 및 미국간의 주세분쟁에 많은 시사점을 제공하고 있는 바, 특히 동종물품 및 직접적으로 경쟁적이거나 대체가능한 물품에 관한 정의, 초과과세 및 유사하지 않은 과세에 관한 해석, 그리고 국내생산보호 여부등에 관해 우리나라가 패널에서 주장할 수 있는 논리의 개발에 좋은 지침을 제시하고 있음.
    닫기
  • An Economic Assessment of Anti-Dumping Rules: From the Perspective of Competitio..

    본 보고서는 다음과 같이 구성되어 있다. 제2장에서는 경제적, 법적 범주에서 덤핑의 정의를 논의하고 덤핑의 유형과 영향력을 살펴본다. 제3장에서는 현재 반덤핑 규정의 특징을 일반관세, 보호규약과 같은 다른 무역 조치와 비교해 살펴보고 GATT..

    채욱 발간일 1996.10.01

    반덤핑제도

    원문보기

    목차
    Ⅰ. Introduction

    Ⅱ. Dumping: Definition and Types

    Ⅲ. Anti-Dumping Rules: Characteristics and History

    Ⅳ. Economic Rationales for Anti-Dumping Rules

    Ⅴ. Anti-Competitive Effects of Anti-Dumping Rules

    Ⅵ. Reform of Anti-Dumping Rules

    Ⅶ. Conclusion

    Reference
    닫기
    국문요약
    본 보고서는 다음과 같이 구성되어 있다. 제2장에서는 경제적, 법적 범주에서 덤핑의 정의를 논의하고 덤핑의 유형과 영향력을 살펴본다. 제3장에서는 현재 반덤핑 규정의 특징을 일반관세, 보호규약과 같은 다른 무역 조치와 비교해 살펴보고 GATT/WTO 반덤핑법의 배경을 검토한다. 제4장에서는 현 반덤핑 규정의 이론적 거가 가격차별 가격이하 판매의 측면으로부터 사정된다. 제5장에서 현 반덤핑 규정에서 주요한 반경쟁 요인을 분석하고자 한다. 그리고 제6장은 경쟁정책 맥락에서 현 제도의 개혁 방안을 제안한다. 마지막으로 제7장에서 본 보고서의 결론을 맺는다.
    닫기
  • 서비스교역과 세이프가드

    서비스産業은 각국의 경제성장, 생산성 증대 및 國家競爭力 제고에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는 점에서 先開途國을 막론하고 그의 경제적 비중이 실로 지대하다고 할 수 있다. 서비스産業의 중요성에 대한 각국의 인식이 높아지는 가운데, 서비스교역의..

    채욱 발간일 1994.12.28

    무역장벽, 무역정책

    원문보기

    목차
    目次

    I. 序論
    1. 硏究目的
    2. 硏究의 內容 및 構成

    II. 서비스교역의 槪要
    1. 서비스교역의 定義 및 特性
    (1) 서비스의 定義
    (2) 서비스교역의 形態
    (3) 서비스교역의 特徵
    2. 旣存의 國際規範
    (1) GATT 규정
    (2) OECD 自由化 規約
    (3) UNCTAD 지침
    (4) 기타 규정
    3. WTO / GATS의 主要內容
    (1) 一般義務 (General Obligations)
    (2) 具體的 約來(Specific Commitments)
    (3) 附屬書(Annexes)
    (4) 기타 규정

    III. 서비스 / 세이프가드의 槪要
    1. 세이프가드의 一般的 개념 및 유형
    2. GATS의 세이프가드 관련 규정
    3. 서비스 / 세이프가드 관련 주요이슈
    (1) 서비스 / 세이프가드의 필요성
    (2) 主要 論議事項

    IV. 서비스 / 세이프가드의 運用方向
    1. 基本方向
    (1) 主要原則
    (2) 發動節次
    2. 國內産業의 被害
    (1) 國內産業의 範圍
    (2) 被害判定의 墓準
    (3) 여타 經濟部門에의 파급효과
    3. 救濟措置
    (1) 救濟措置의 특성
    (2) 救濟措置의 形態

    V. 結論 및 示唆點
    1. 結論
    2. 示唆點

    參考文獻
    닫기
    국문요약
    서비스産業은 각국의 경제성장, 생산성 증대 및 國家競爭力 제고에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는 점에서 先開途國을 막론하고 그의 경제적 비중이 실로 지대하다고 할 수 있다. 서비스産業의 중요성에 대한 각국의 인식이 높아지는 가운데, 서비스교역의 規模도 情報․通信의 발달 및 直接投資의 증대 등 世界經濟의 글로벌化 현상에 편승하여 지난 수년에 걸쳐 급증하는 추세를 보여왔다. 그와 같은 추세는 최근 서비스交易의 自由化를 위한 多者間 規範의 제정으로 WTO체제의 출범과 함께 더욱 가속화 될 전망이다.
    서비스交易의 自由化는 장기적으로 국가간의 技術交流 및 경쟁촉진을 통하여 기업경영의 효율성을 제고하는데에 크게 기여하는 한편, 國家에 따라서는 단기적으로 서비스수입의 증가에 의한 관련 國內産業의 피해나 외국문화의 무분별한 유입 등 그에 따른 부정적인 영향도 적지 않게 수반할 것으로 예상된다. 서비스産業의 競爭力이 비교적 취약한 우리나라의 경우에도 交易의 自由化에 따른 개방의 충격을 최소화하고 이익을 극대화하기 위한 각종 정책대안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바, 특히 세이프가드 規範을 서비스분야에 도입하는 방안에 대해서는 보다 많은 연구와 노력이 필요하다고 하겠다.
    현재 우리나라의 對外貿易法에는 무역 및 유통서비스 분야에 한하여 輸入增加에 의한 産業被害를 구제할 수 있는 법적근거를 마련하고 있으나, 향후 서비스의 다양한 특성을 고려한 구체적 규정이 보완되어야 함은 물론이고 그 적용범위도 확대되어야 할 것이다.

    이에 本 硏究에서는 서비스분야에 세이프가드를 도입하는데에 있어서 고려해야 할 다양한 問題點들을 적시하고, 그에 대한 論議方向과 運用方案을 제시하고 있다. 따라서, 本 硏究는 서비스분야에 있어서 세이프가드 연구의 시작에 불과하며, 앞으로 보다 깊은 연구가 뒷받침되어야 할 것이다. 이 報告書는 本 硏究院의 蔡 旭 博士가 執筆하였으며, 李美鏡 硏究助員과 金裕鎭 硏究員이 자료의 수집 및 정리 등 모든 단계에서 많은 도움을 주었다. 아무쪼록 本 硏究內容이 政策當局, 硏究機關, 學界는 물론이고 서비스교역에 관심을 가진 모든 분들에게 유용한 參考資料로 활용되길 바란다.

    1994年 12月
    對外經濟政策硏究院
    院長 柳莊熙
    닫기
  • 국제무역분쟁의 현황과 GATT의 역할

    채욱 발간일 1993.11.25

    무역분쟁

    원문보기

    목차
    目次

    I. 國際貿易紛爭과 GATT의 役割
    1. GATT의 基本性格 및 機能
    2. 國際貿易紛爭에서의 GATT의 役割

    II. GATT 紛爭解決節次의 槪要
    1. 紛爭解決 關聯 GATT 規定
    2. GATT 紛爭解決節次 現況
    3. GATT 紛爭解決節次의 向後 展望과 課題

    III. 國際貿易紛爭의 現況
    1. 國際貿易紛爭의 推移
    2. 貿易紛爭의 主要分野 및 原因
    3. 紛爭解決의 現況 및 問題點

    IV. 國際貿易紛爭의 向後 展望
    1. 貿易紛爭의 展望
    2. 貿易紛爭의 새로운 分野

    V. 우리나라의 貿易紛爭 事例
    1. 韓ㆍ美 쇠고기紛爭
    2. 폴리아세탈수지 關聯 韓ㆍ美 反덤핑紛爭

    VI. 우리에게 주는 示唆點
    닫기
    국문요약
    닫기
  • A Note on Korea’s Anti-dumping System and Practices

    한국은 1967년 GATT에 가입한 이래로, 1970년대 후반까지 강력한 수출지향 경제정책을 추진해왔다. 이 기간동안 한국은 개발도상국으로서 무역 손실로 인한 피해를 막고자 고관세 및 다양한 비관세 보호 조치 하에서 전례없는 고도성장을 이뤄왔다...

    채욱 발간일 1993.06.01

    반덤핑제도

    원문보기

    목차
    Contents

    I. Recent Economic Environments in Korea

    II. Brief History of Korea's Anti-dumping Practices

    III. Characteristics of Anti-dumping Related Industries

    IV. Korea's Anti-dumping System

    V. Some Notes on Anti-dumping Regulations of GATT and Advanced Countries

    VI. Further Considerations for a Desirable Anti-dumping System

    VII. Concluding Remarks

    References
    닫기
    국문요약
    한국은 1967년 GATT에 가입한 이래로, 1970년대 후반까지 강력한 수출지향 경제정책을 추진해왔다. 이 기간동안 한국은 개발도상국으로서 무역 손실로 인한 피해를 막고자 고관세 및 다양한 비관세 보호 조치 하에서 전례없는 고도성장을 이뤄왔다.
    반덤핑제도의 궁극적 목표는 불공정 대외무역조치를 시정하고 대외 덤핑조치로부터 발생하는 물질적 손실이나 그 위협에 대해 국내산업의 피해를 완화하는데 있다. 그러나 동 제도는 GATT에 엄격한 적용을 받도록 되어 있으며, 이 제도의 오용은 교역상대국과의 통상마찰을 일으킬 우려가 있다. 특히 덤핑마진의 산정 및 피해의 판정에 있어서는 많은 기술적 문제가 내포되어 있으므로 전문적 지식 및 경험이 무엇보다도 강조되는 부분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동 제도를 운용하는 데에는 이 제도의 네가지 기본요구사항인 투명성, 공평성, 효율성 그리고 전문성 확보가 기본적으로 갖추어져야 할 것이다.
    이 보고서는 한국의 반덤핑제도 역사를 살펴보고, 우리나라 제도의 개선방안을 위한 GATT 및 주요선진국의 반덤핑제도를 통해 우리날 제도의 개선방안을 제시한다.
    닫기
  • GATT 및 주요선진국의 反덤핑제도와 우리나라 제도의 개선방안

    한국은 1967년 GATT에 가입한 이래로, 1970년대 후반까지 강력한 수출지향 경제정책을 추진해왔다. 이 기간동안 한국은 개발도상국으로서 무역손실로 인한 피해를 막고자 고관세 및 다양한 비관세 보호 조치 하에서 전례없는 고도성장을 이뤄왔다. ..

    채욱 발간일 1993.01.01

    반덤핑제도

    원문보기

    목차
    序 言

    Ⅰ. 反덤핑制度의 槪要
    1. 덤핑의 定義
    2. 反덤핑制度의 意義 및 特性
    3. 反덤핑措置의 經濟的 效果

    Ⅱ. GATT/反덤핑 規程 및 主要內容
    1. 反덤핑制度의 略史
    2. GATT/反덤핑관련 諸規程
    3. UR 反덤핑協定案의 主要內容

    Ⅲ. 主要國의 反덤핑制度 및 措置現況
    1. 主要國의 反덤핑措置 現況
    2. 主要國의 反덤핑制度
    3. 主要國의 對韓 反덤핑規制 現況

    Ⅳ. 우리나라의 反덤핑制度 現況
    1. 우리나라의 反덤핑措置 現況
    2. 우리나라의 現行 反덤핑制度
    3. 덤핑防止關稅制度의 改正案 內容

    Ⅴ. 우리나라 反덤핑制度의 改善方案
    1. 反덤핑制度 運用의 基本要件
    2. 問題點 및 改善方案
    닫기
    국문요약
    한국은 1967년 GATT에 가입한 이래로, 1970년대 후반까지 강력한 수출지향 경제정책을 추진해왔다. 이 기간동안 한국은 개발도상국으로서 무역손실로 인한 피해를 막고자 고관세 및 다양한 비관세 보호 조치 하에서 전례없는 고도성장을 이뤄왔다. 반덤핑제도의 궁극적 목표는 불공정 대외무역조치를 시정하고 대외 덤핑조치로부터 발생하는 물질적 손실이나 그 위협에 대해 국내산업의 피해를 완화하는데 있다. 그러나 동 제도는 GATT에 엄격한 적용을 받도록 되어 있으며, 이 제도의 오용은 교역상대국과의 통상마찰을 일으킬 우려가 있다. 특히 덤핑마진의 산정 및 피해의 판정에 있어서는 많은 기술적 문제가 내포되어 있으므로 전문적 지식 및 경험이 무엇보다도 강조되는 부분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동 제도를 운용하는 데에는 이 제도의 네가지 기본요구사항인 투명성, 공평성, 효율성 그리고 전문성 확보가 기본적으로 갖추어져야 할 것이다.
    이 보고서는 한국의 반덤핑제도 역사를 살펴보고, 우리나라 제도의 개선방안을 위한 GATT 및 주요선진국의 반덤핑제도를 통해 우리나라 제도의 개선방안을 제시한다.
    닫기
  • 보험산업의 국제화전략

    우리나라의 보험산업은 지난 30여 년 동안 고도의 경제성장과 함께 여타 산업의 추종을 불허하는 경이적인 성장을 지속하여, 1989년에는 수입보험료 기준으로 세계 제9위의 보험대국으로 부상하게 되었다. 1990년 현재 우리나라의 총수입보험료는 1..

    채욱 발간일 1992.03.27

    산업정책

    원문보기

    목차
    序 言

    Ⅰ. 保險의 槪要
    1. 保險의 定義 및 意義
    2. 保險의 機能
    3. 保險의 分類

    Ⅱ. 우리나라 保險産業의 構造와 現況
    1. 成長推移
    2. 構造的 特性
    3. 經營 및 資産運用

    Ⅲ. 우리나라 保險市場開效의 現況 및 期待效果
    1. UR / 保險서비스協商과 우리나라의 立場
    2. 우리나라 保險市場의 規制制度
    3. 外國保險會社의 國內進出現況 및 經營效率 分析
    4. 市場開放의 期待效果

    Ⅳ. 우리나라 保險産業의 海外進出 展望과 國際化戰略
    1. 世界保險市場 現況
    2. 우리나라 保險會社의 海外進出現況과 展望
    3. 우리나라 保險會社의 海外進出 方案
    4. 外國社의 國內進出에 대한 對應方案

    Ⅴ. 結 論
    닫기
    국문요약
    우리나라의 보험산업은 지난 30여 년 동안 고도의 경제성장과 함께 여타 산업의 추종을 불허하는 경이적인 성장을 지속하여, 1989년에는 수입보험료 기준으로 세계 제9위의 보험대국으로 부상하게 되었다. 1990년 현재 우리나라의 총수입보험료는 19조 6,332억원, 총자산은 무려 35조 8,377억 원에 이르러 보험산업이 국민경제에 미치는 영향과 그 중요성은 실로 막대하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양적 성장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 보험산업은 정부의 강력한 지원 아래 실적 위주의 외형 확대에 치중한 결과, 내적으로는 자율성 결여, 보험인수 및 판매기법의 낙후, 영세한 모집체계 등 제반문제점이 노정되어 왔다. 따라서 전반적으로 보험경영기반이 취약할 뿐만 아니라 홍보활동부족 및 사후관리서비스 미흡 등으로 소비자의 보험에 대한 인식이 매우 낮은 실정이라 할 수 있다. 더욱이 자유화 · 개방화·국제화 방향으로 흐르고 있는 세계경제추세 속에서 국제경쟁력이 취약한 우리나라의 보험산업은 대내외적으로 심각한 난관에 직면하게 되었다.우리나라는 1980년대 후반부터 미국과의 쌍무협상과 우루과이라운드 다자간협상을 통해서 보험시장을 상당부분 개방하였으나, 선진보험국들은 여전히 추가개방과 함께 각종 규제적 장벽을 철폐할 것을 강력히 요구하고 있어, 향후 개방폭은 현재보다 훨씬 확대될 전망이다.

    보험시장의 완전한 개방은 소비자에게 상품선택의 폭을 넓힐 뿐만 아니라, 값싸고 양질의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소비자권익보호에 기여하는 긍정적 효과를 가져다주는 반면, 단기적으로는 시장경쟁 및 모집질서의 혼란, 국내보험회사의 도산, 국내자본의 해외유출 등 상당한 부정적 파급효과를 수반할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우리나라의 보험산업은 시장의 완전개방에 대비하여 능동적이고 효과적인 대응전약수립과 함께 국내영업신장의 한계성을 극복하기 위한 해외진출방안도 적극적으로 모색해야 할 중차대한 싯점에 놓여 있다고 할 수 있다.해외진출을 모색하는 우리나라 보험회사들은 자신의 세계시장에서의 위치, 진출예정국의 보험시장환경 및 자신의 경쟁력수준을 세밀히 검토하여 가장 적합하고 효과적인 진출방식을 선정하여야 한다. 국제경쟁력이 미약한 우리나라 보험산업의 현 위치를 감안할 때, 우리 교포들이나 기업들이 대거 진출해 있는 지역을 선정하여 언어 및 문화의 동질성을 바탕으로 한 자국계 시장의 공략이 우선적으로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닫기
  • The Urguay Round : Unresolved Issues and Prospects

    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은 1991년 3월 28-29일 이틀동안 우루과이라운드: 미해결 문제와 전망에 관한 국제 회의를 개최했다. 본 협상과 직접, 간접적으로 관련된 여러 저명한 학자와 전문가가 참여한 본 세미나는 직접적인 토론 기회를 제공함으로..

    박태호 외 발간일 1991.09.02

    다자간협상, 무역정책

    원문보기

    목차
    Foreword

    1. Agriculture

    2. Textiles and Clothing

    3. Antidumping

    4. TRIPs

    5. Services

    6. Financial Services

    7. Assessing the Uruguay Round Negotiations in Terms of Modern Trade and
    Political Economy Analysis

    8. Panel Discussions for Overall Assessment

    Apendices
    닫기
    국문요약
    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은 1991년 3월 28-29일 이틀동안 우루과이라운드: 미해결 문제와 전망에 관한 국제 회의를 개최했다. 본 협상과 직접, 간접적으로 관련된 여러 저명한 학자와 전문가가 참여한 본 세미나는 직접적인 토론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우루과이라운드의 주요 미해결 문제에 관한 진전된 합의를 도출하는 자리가 되었다.
    닫기
  • 우리나라 세이프가드 제도의 개선과 활용방안

    우리나라는 최근 선진국의 공정무역 및 시장개방요구에 대응하여 자유시장경쟁질서의 확립과 산업구조의 개편 등 개방경제체제로의 이행을 위한 수입자유화정책을 본격적으로 추진하여 왔다. 시장개방 초기에는 제조업분야의 수입자유화에 중점을 두..

    채욱 발간일 1991.08.01

    무역정책

    원문보기

    목차
    I. 서론

    II. 세이프가드의 개요
    1. 세이프가드의 정의 및 의의
    2. 세이프가드 논의의 약사
    3. 세이프가드의 발동구조

    III. 세이프가다논의의 주요문제점
    1. 법해석상의 문제점
    2. 운용상의 문제점
    3. 회색지대조치
    4. UR 세이프가드 협상의 최근 진전상황

    IV. 주요국의 세이프가드제도 및 사례
    1. 주요국의 세이프가드 발동현황
    2. 주요국의 세이프가드제도
    3. 주요국의 대한 세이프가드 조치내역

    V. 우리나라 세이프가드제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1. 세이프가드 관련기관
    2. 대외무역법
    3. 탄력관세제도

    VI. 세이프가드의 활용방안
    1. 우리나라의 세이프가드관련 조치현황
    2. 산업피해 판정기준에 대한 경제학적 분석

    VII. 요약 및 결론
    닫기
    국문요약
    우리나라는 최근 선진국의 공정무역 및 시장개방요구에 대응하여 자유시장경쟁질서의 확립과 산업구조의 개편 등 개방경제체제로의 이행을 위한 수입자유화정책을 본격적으로 추진하여 왔다. 시장개방 초기에는 제조업분야의 수입자유화에 중점을 두고 수입자유화 예시제를 통한 수입자유화율 제고에 역점을 두어왔으나 점차 각 분야에서의 비관세장벽 유발뿐 아니라 제조업분야에서는 개방품목의 수입 확대 및 개방유보품목의 추가적인 자유화 실시 농산물분야에서는 개방품목의 조기 확대 및 관세인하, 그리고 금융/보험/유통 등 서비스분야에서도 시장개방을 시작하는 단계로 발전하였다. 더욱이 1990년대에 들어선 지금은 우루과이라운드 다자간 무역협상의 타결과 OECD 가입을 앞두고 시장개방은 더욱 확대되어 수입급증으로 인한 국내산업의 피해가 심대해질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우리나라는 그동안 국제수지 적자를 이유로 수입수량제한 등 각종 산업보호수단을 임의로 유지해왔으나 1988년 IMF 8개국 가입에 이어서 1990년에는 GATT 11개국으로 이행됨에 따라, 종전의 사전적 수입관리체계에서 벗어나 선진국형 사후적 수입관리체계로의 전환을 서두르고 있는 실정이다.
    닫기
공공누리 OPEN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 출처표시, 상업용금지, 변경금지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표시기준 (공공누리, KOGL) 제4유형

대외경제정책연구원의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 금지 +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저작권정책 참조

콘텐츠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콘텐츠 만족도 조사

0/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