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전체보고서

발간물

목록으로
Working paper WTO 뉴라운드의 전망과 대책 다자간협상

저자 채욱, 서창배 발간번호 99-02 자료언어 Korean 발간일 1999.03.20

원문보기(다운로드:822) 저자별 보고서 주제별 보고서

현재 WTO에서는 21세기 세계교역질서를 관장할 새로운 무역규범의 구축을 위한 뉴라운드(일명 밀레니엄라운드)에 대한 논의가 한창 진행 중이다. 현재까지 논의된 협상의 범위와 규모, 그리고 대상분야의 성격 등을 감안할 때, 뉴라운드는 21세기의 세계교역질서는 물론이고 각국의 교역패턴과 산업구조에도 지대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2000년에 개시될 뉴라운드는 현재 WTO 일반이사회의 검토결과에 따라 1999년 하반기(1999.11.30 12.3)에 미국 시애틀에서 개최될 제3차 WTO 각료회의에서 협상범위, 방식 및 기간에 대한 모든 세부사항들이 공식적으로 발표될 예정이다.

뉴라운드와 관련하여 가장 중요한 현안은 협상방식 및 범위에 대한 결정이다. 우리나라를 비롯한 EU, 일본, 호주 등은 협상분야 및 이슈간의 주고받기식의 교환(trade-off)을 통해 협상의 타결 가능성이 높은 일괄타결방식(single-undertaking)을 주장하고 있으나, 미국은 협상기간을 불필요하게 지연시킬 수 있다는 논리하에 일괄타결방식보다는 분야별 협상방식(sectoral approach)을 주장하고 있다.

협상범위에 있어서는 농산물과 서비스분야를 비롯한 기설정의제(Built-In-Agenda;BIA)를 중심으로 논의를 진행하자는 개도국(아세안, 인도, 이집트 등)과 기설정의제(BIA)外에 투자, 경쟁정책, 환경, 전자상거래, 정부조달 투명성 등 새로운 통상이슈들, 그리고 공산품 관세인하를 포함시키자는 선진국(미국, EU, 일본, 호주 등)간의 이견조율이 남아 있다. 한편, 협상기간에 대해서는 우루과이라운드협상(1986.9 1993.12)이 장기화되었던 문제점을 감안하여 Ɖ년이라는 기간이 유력하게 거론되고 있다. 현재까지의 논의동향을 종합해 볼 때, 뉴라운드는 포괄적이고 일괄타결방식으로 단기간내에 추진될 가능성이 크다고 하겠다.

뉴라운드는 크게 다음의 세가지 의미를 갖는 것으로 요약될 수 있다.첫째, 기존의 통상이슈에 대한 자유화를 진전시킴으로써 현행 다자간 규범의 확고한 위상을 정립하겠다는 것이다. 즉, 과거 우루과이라운드협상에서 완전히 타결되지 못했거나 또는 타결된 분야에 있어서도 이행이 미진한 분야에 대한 추가적인 협상을 통해 기존의 통상규범을 대폭 보완하겠다는 것이다.둘째, 새로운 통상이슈들에 대한 국제규범의 제정을 통해 실질적인 교역자유화를 달성하겠다는 것이다. 투자, 경쟁정책, 환경, 정부조달 투명성, 전자상거래 등 새로운 통상이슈들은 단순히 시장접근뿐만 아니라 무역에 영향을 주는 각종 국내제도 및 관행과 연계되어 있다는 점에서 그에 대한 국제규범의 제정은 세계교역을 실질적으로 확대시키는 결과를 가져올 것이다. 셋째, 세계무역기구를 통해 다자체제를 더욱 공고히 하겠다는 것이다. 이는 WTO규범의 확대, WTO의 감독 및 규율과 분쟁해결 역량 등의 제고를 통해 제도적 기능을 강화하고, 최빈개도국에 대한 각종 지원기능을 확대함으로써 세계경제의 복지를 향상시키기 위한 협력의 기능까지 완비하겠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다. 이와같은 뉴라운드의 의의는 대외의존도가 특히 높은 우리경제에 시사하는 바가 매우 크다. 우선, 협상분야가 우리경제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우리의 입장을 확고하게 정하는 동시에 포괄적 및 분야별 협상전략을 마련해야 할 필요성이 시급해지고 있다. 어차피 협상이 추진될 예정인 농산물 및 서비스분야의 정치적 경제적 민감성을 고려할 때, 우리로서는 가능한한 다양한 이슈를 포함시켜 일괄타결방식(single-undertaking)으로 진행되는 포괄적 협상(comprehensive negotiations)을 지지하는 것이 매우 유리할 것이다. 또한, 협상에 효율적으로 임하기 위해서는 범정부차원의 협상대책반을 구성하고 민 관 공조체계를 확고하게 구축하여 민간전문가를 최대한으로 활용해야 할 것이다.

협상전략을 수립하는 데에 있어서도 분야별 예상효과를 도출하여 거시적인 국가무역이익에 입각한 포괄적이고 체계적인 협상전략을 마련하는 동시에 주요국의 입장 및 협상전략에 대한 대응논리개발에도 주력해야 한다. 또한, 뉴라운드가 다양한 집단의 이해관계에 미치는 영향이나 시사점에 대한 객관적 분석과 평가를 토대로 뉴라운드의 의의 및 효과에 대한 對국민 홍보를 충분히 실시함으로써 우리의 향후 정책방향에 대한 국민적 공감대를 형성하는 데에도 각고의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특히, 우루과이라운드(UR)협상에서 우리에게 가장 큰 부담 요인 중 하나로 작용하였던 농산물분야에 있어서는 지금부터 추가개방 여부, 개방의 방법, 농업부문 지원책 등에 대한 일반인의 관심을 제고시키는 노력이 요구된다.
Prospects and Policy Implications of the WTO New Round
Wook Chae & Chang-Bae Seo

Discussions on the upcoming New Round of negotiations have begun in the WTO. In light of the nature, scope and scale of the round of negotiations, it is expected that the round will have a substantial impact on the trade patterns, industrial structures and world trade order of the 21st century. Decisions regarding the specific issues including the scope, modality and duration of the negotiations are to be officially announced at the 3rd WTO Ministerial Meeting to be held in Seattle from November 30 to December 3 of this year.

The most important issue at hand regarding the New Round is deciding upon the scope and modality of the negotiations. While several countries including Korea, EU, Japan and Australia have proposed the negotiations to be conducted as a single-undertaking, comprehensive round of negotiations, allowing the interests of all WTO members to be considered in the talks, the U.S. has strongly advocated a sectoral approach, asserting that the comprehensive approach may unnecessarily prolong the negotiation period. With regard to the scope of the negotiations, developing countries argue that the talks should focus on the UR Built-In-Agendas (BIAs), including agriculture and services, while developed countries have proposed to include tariff-cuts in manufactures and new issues such as investment, competition policy, environment, electronic commerce and transparency in government procurement. On the issue of the duration of the negotiations, most countries agree on the 3-year time frame, reflecting the problems of prolonged UR negotiations.
The discussions to date reflect a possibility of the New Round being pursued in a single-undertaking, comprehensive manner over a relatively short period.

The implications of the New Round are as follows:First, it will establish a firm foundation of the multilateral trade rules by advancing liberalization in existing trade sectors through the improvement of current rules which have not been implemented well or where issues remain incomplete.

Second, it will allow for a substantive trade liberalization through a provision of international rules on new issues. The provision of international rules on those issues will certainly expand world trade in real terms since they are closely related to various national systems and practices which affect trade.

Third, it will strengthen the multilateral trading system through the WTO. The WTO desires not only to enforce institutional functions through expansion of coverage and improvement in its ability to supervise the system and settle disputes among member nations, but also to contribute to the world-wide economic welfare by expanding its functions of assisting developing countries.

All these provide various important implications to the Korean economy. First of all, Korea should recognize the need to devise a comprehensive, sectoral negotiating strategy on the basis of studies of the effects of the New Round on the domestic economy. In Korea's perspective, a singe-undertaking, comprehensive negotiation seems to be advantageous, considering the economic and political sensitivity of agriculture and services. For the negotiatins to be carried out efficiently, it is strongly recommended that Korea utilize experts from the private sector in preparing for the round of negotiations. As a priori,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task force comprising of government officials from all relevant ministries. A close cooperation between the government and non-governmental sectors will certainly maximize the nation's benefits from the negotiations.

It should be important to provide a comprehensive and systematic negotiating strategies from the perspective of national trade benefits based on analyses of the expected sectoral effects. At the same time, the government should focus its efforts in building up a national consensus on the future policy directions by actively publicizing the implications and effects of the New Round. In particular, it is crucial to draw nation-wide concerns over the liberalization issues in the agricultural sector which made the process of the previous negotiations difficult.
Ⅰ. 서 론

Ⅱ. 뉴라운드 논의의 대두
1. 뉴라운드의 의의
2. 뉴라운드 논의의 배경
3. 과거 다자협상과의 비교

Ⅲ. 뉴라운드의 논의 현황 및 전망
1. 협상범위, 방식 및 기간
2. 향후 논의 일정 및 전망

Ⅳ. 예상 분야별 주요국 입장
1. WTO 협정 이행
2. 농산물분야
3. 서비스분야
4. 새로운 통상이슈
5. 기타 주요이슈

Ⅴ. 뉴라운드 출범시 예상효과와 우리의 입장
1. 농산물분야
2. 서비스분야
3. 공산품 관세인하
4. 새로운 통상이슈
5. 기타 이슈

Ⅵ. 대응방안

Ⅶ. 요약 및 결론

참고문헌

판매정보

분량/크기, 판매가격
분량/크기 72
판매가격 5000 원

구매하기 목록

같은 주제의 보고서

연구자료 DDA 서비스협상의 주요 쟁점 평가와 시사점 2022-10-25 연구보고서 아시아-유럽 정상회의(ASEM) 25주년 평가와 한국의 활용전략 2021-12-30 연구자료 미국과 EU의 농업보조 변화와 정책 시사점 2021-12-30 중장기통상전략연구 미·중 전략경쟁하 WTO 다자체제의 전망과 정책 시사점 2021-12-29 연구자료 디지털 전환 시대의 국경간 전자조달 논의 동향과 시사점 2021-03-30 중장기통상전략연구 WTO 상소기구의 기능 변화와 전략적 통상정책 2020-12-30 연구자료 디지털세 논의에 관한 경제학적 고찰 2020-11-06 중장기통상전략연구 WTO 개혁 쟁점 연구: 국영기업, 산업보조금, 통보 2019-12-31 중장기통상전략연구 WTO 개혁 쟁점 연구: 분쟁해결제도 2019-12-31 중장기통상전략연구 WTO 개혁 쟁점 연구: 농업보조 통보 및 개도국 세분화 2019-12-31 연구보고서 아세안 사회문화공동체와 한국의 분야별 협력방안 2019-12-31 연구보고서 WTO 체제 개혁과 한국의 다자통상정책 방향 2018-12-31 연구자료 체제전환국의 WTO 가입경험과 북한 경제 2018-07-20 연구자료 RCEP 역내 생산·무역구조 분석과 시사점 2017-10-24 연구자료 The EU’s Investment Court System and Prospects for a New Multilateral Investment Dispute Settlement System 2017-10-12 연구보고서 글로벌 통상환경의 변화와 포스트 나이로비 다자통상정책 방향 2016-12-30 전략지역심층연구 Evolving Digital and E-Commerce Trade Rules for Northeast Asia 2016-12-30 연구자료 Mega FTA 대응전략 연구: TBT 협정을 중심으로 2016-09-12 연구보고서 한·중·일의 비관세장벽 완화를 위한 3국 협력방안: 규제적 조치를 중심으로 2015-12-30 중장기통상전략연구 GTI 회원국의 무역원활화 현황 및 역내 협력방안 2014-12-30
공공누리 OPEN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 출처표시, 상업용금지, 변경금지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표시기준 (공공누리, KOGL) 제4유형

대외경제정책연구원의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 금지 +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저작권정책 참조

콘텐츠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콘텐츠 만족도 조사

0/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