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발간물

목록으로
지역연구시리즈 Renewable Energy Policy in Germany and Its Implications for Korea 에너지산업, 환경정책

저자 Hyun Jean Lee, Sung-Won Yoon 발간번호 10-04 자료언어 English 발간일 2010.12.30

원문보기(다운로드:663) 저자별 보고서 주제별 보고서

독일은 신재생에너지 부문에 대한 정책적 지원을 통해 에너지 자급률을 높이는 동시에 환경문제에 대해 적극적으로 대처하고 있다. 독일 신재생에너지 정책의 성공은 발전차액제도의 도입, 중소기업에 대한 신재생에너지 보급전략, 개발 지역의 다각화에 기인하고 있는데, 특히 발전차액제도법(StrEG) 및 신재생에너지원법(EEG)과 같은 법 제도를 통해 에너지 공급의 안정성, 효율성, 환경적 양립가능성의 측면에서 독일 내 신재생에너지의 보급에 큰 기여를 했다. 독일과 마찬가지로 에너지의 해외 의존도가 높은 우리나라도 ‘녹색성장’을 표방하고 대통령직속 녹색성장위원회를 설립 하는 등 다방면에서의 신재생에너지 정책을 실시하고 있는바, 본고는 독일의 신재생 에너지 정책의 수립 배경, 과정 및 현황에 대한 고찰을 통해 우리나라의 신재생에너지 부문에 대한 노력이 더욱 효과적으로 발현될 수 있도록 하는 정책적 시사점을 찾고자 한다.

This study is to review Germany’s renewable energy policy in order to find out the implications for the development of Korea’s renewable energy policy. Germany has put a lot of efforts to develop and promote renewable energy sources. Such efforts led to enhancing energy self-sufficiency and pursuing environmental compatibility at the same time. The success of German renewable energy policy results from the introduction of feed-in tariffs, the promotion strategies for SMEs, and the diversification strategies of local communities. Most of all, in terms of security of supply, cost-efficiency and environmental compatibility in particular, the Electricity Feed-in Act (StrEG) and the Renewable Energy Sources Act (EEG) have greatly contributed to promoting renewable energy sources. Korea, heavily dependent on energy import, is now taking various policy actions in order to achieve ‘Green Growth.’ The implications from the German experience would lead Korea to achieve the goal by successfully deploying renewable energies.

Executive Summary 


Abbreviations 


I. Introduction 


II. Overview of the German Renewable Energy Sector 
1. Energy Mix and Trends 
2. Increasing Demand for Renewable Energy Sources 


III. Renewable Energy Policy in Germany 
1. Policy Developments at the EU level 
2. Domestic Policy Developments and Opposing Views 
3. Evaluation of German Renewable Energy Policy 


IV. Korea’s Green Growth Strategy 
1. Policy Background 
2. Renewable Energy Policy 
3. Implications from the German Case 


V. Conclusion 


References

판매정보

분량/크기, 판매가격
분량/크기 120
판매가격 7000 원

구매하기 목록

같은 주제의 보고서

전략지역심층연구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과 중동부유럽 주요국의 지정학적 위기 대응 전략: 에너지 이슈를 중심으로 2022-12-30 연구보고서 인도의 신·재생에너지 시장 및 정책 분석과 한-인도 협력 방안 2022-12-30 세계지역전략연구 한-MENA 녹색전환 협력 방안 2022-12-30 중국종합연구 미중 전략경쟁 내 중국 탄소중립 대외전략과 시사점 2022-12-30 중국종합연구 중국의 수소에너지 산업지원정책과 한중협력방안 2022-12-30 세계지역전략연구 아세안 지역의 저탄소 에너지기반 구축을 위한 한-아세안 협력 방향 2022-12-30 연구보고서 글로벌 기후금융의 현황과 발전방향: 녹색채권을 중심으로 2022-06-30 세계지역전략연구 기후 변화가 아프리카 농업 및 분쟁에 미치는 영향과 시사점 2021-12-30 연구자료 인도네시아 탄소 중립 대응 정책과 한국의 그린뉴딜과의 협력 방안 2022-03-30 연구보고서 러시아의 동북아 에너지 전략과 한-러 신협력방안: 천연가스 및 수소 분야를 중심으로 2021-12-30 연구보고서 국제사회의 순환경제 확산과 한국의 과제 2021-12-30 연구보고서 글로벌 탄소중립 시대의 그린뉴딜 정책과 시사점 2021-12-30 연구자료 유럽 주요국 녹색당의 성공 및 실패 요인 분석 2021-12-30 연구보고서 에너지전환시대 중동 산유국의 석유산업 다각화 전략과 한국의 협력방안: 사우디아라비아와 UAE를 중심으로 2021-12-30 중국종합연구 중국의 2060 탄소중립 추진전략 연구 2021-12-30 중국종합연구 세계 주요국 탄소중립 전략과 중국의 저탄소 전략의 비교 분석 2021-12-30 ODA 정책연구 글로벌 ESG 동향 및 국가의 전략적 역할 2021-12-30 APEC Study Series The Effects of Climate Change on Income Inequality: Evidence from APEC Member Economies 2021-11-15 APEC Study Series The Effects of Climate Change on Income Inequality: Evidence from APEC Member Economies 2021-11-15 중국종합연구 중국의 계절관리제 관련 사업장 대기오염물질 배출 관리 정책 분석 및 한중 협력 방안 연구 2020-12-30

콘텐츠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콘텐츠 만족도 조사

0/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