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연구보고서

발간물

목록으로
연구보고서 중국 인터넷융합 전략의 특징과 지역 사례 연구 ICT 경제, 경제협력

저자 이상훈, 김홍원, 김주혜, 최재희 발간번호 18-26 자료언어 Korean 발간일 2018.12.31

원문보기(다운로드:2,365) 저자별 보고서 주제별 보고서

   중국은 인터넷 플랫폼과 정보통신기술(ICT)을 활용해 경제와 사회 각 부문과 인터넷을 융합하여 미래 신산업 생태계를 창조하겠다는 ‘인터넷 플러스(인터넷융합)’ 전략을 추진 중이다. 중국의 인터넷융합 전략은 ‘중국제조 2025’와 함께 중국의 새로운 성장 동력인 혁신을 실현할 중요한 전략으로서 산업고도화를 촉진하고 4차 산업혁명에 대한 대응 기반을 구축하는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중국에서는 인터넷경제의 발전과 함께 인터넷융합을 통한 새로운 업태가 속출하고 있으며 이는 중국 경제성장의 촉매제이자 향후 대중국 비즈니스 모델 변화의 중요한 요인이 될 전망이다. 인터넷경제가 발전하면서 현재 중국에서는 인터넷 금융(핀테크), 온라인 교육, 스마트 설비, 앱(app) 기반 비즈니스, 스마트시티 등과 관련된 신경제 분야의 시장규모가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또한 유통ㆍ물류, 제조 등 기존 산업의 스마트화를 유도하면서 4차 산업혁명의 소프트웨어 혁신을 추진하고 있다. 이에 ICT 제조 및 인터넷 강국인 한국의 향후 대중국 협력 및 중국시장 진출 등과 관련된 중요한 변화를 파악할 필요가 있다.
   경제ㆍ사회의 전 영역을 대상으로 하는 인터넷융합 전략은 중국의 경제ㆍ산업구조, 생산ㆍ소비 트렌드, 비즈니스 모델, 도시화 및 지역개발 등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어 새로운 시대의 대중국 경협 전략 수립을 위한 심도 있는 분석이 필요한 시점이다. 특히 중국의 각 지역은 중앙의 인터넷융합 전략을 추진하기 위하여 지역의 경제적 기반 및 전략 목표 등에 부합하는 정책을 발표하고 실질적인 프로젝트를 추진하고 있다. 이처럼 지방정부는 중앙의 전략적 지향을 해당 지역의 기반산업, 개발사업 및 새로운 전략 추진에 적용하기 때문에 발 빠른 정책 발표와 사업 추진이 가능한데, 일부 지역에서 이미 ICT를 접목한 인터넷융합 분야에서 4차 산업혁명의 기반기술 선점 등을 위한 실험이 진행 중이다.
   이러한 문제의식과 배경을 토대로 본 연구는 4차 산업혁명 시대에 선제적으로 대응하여 선도하려는 중국의 인터넷융합 전략을 살펴보고, 일부 분야와 지역에서 추진하고 있는 관련 정책과 기술ㆍ산업 수요, 관련 리스크를 파악하여 새로운 분야의 중국시장 진출과 한ㆍ중 협력 방안을 제시하였다. 특히 인터넷융합 관련 11대 중점 분야 중 경제ㆍ산업에 대한 파급효과 및 부가가치가 큰 스마트 헬스케어, 스마트시티, 인공지능을 대상으로 현황, 육성 정책 및 추진 체계, 지역 추진 사례 및 대중국 협력 방안 등을 분석하였다.
   제2장에서는 중국의 인터넷융합 전략의 추진 배경과 전략의 주요 내용, 인터넷융합 관련 인프라 현황에 대해 분석하였다. 특히 ‘인터넷 플러스’로 잘 알려진 중국의 정책이 단순히 인터넷에 다양한 분야를 연결하는 정책이 아니라 4차 산업혁명에 적극 대응하기 위한 매우 광범위한 전략이자 중국의 장기적인 발전 전략의 일환으로 추진되고 있는 정책이라는 점에 중점을 두고 분석하였다.
   한국도 4차 산업혁명에 적극적이고 선제적으로 대응하고자 지난 2017년 11월에 4차 산업혁명 대응계획 I-KOREA 4.0을 발표한 바 있다. 그리고 대응계획이 발표된 이후에 분야별로 세부 실행계획이라고 할 수 있는 구체적인 전략이 발표되고 있는데, 이러한 분야와 영역은 경제적 파급효과가 크고 우리 정부가 중점적으로 추진하고자 하는 분야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현재 구체적인 세부 전략이 발표된 영역은 스마트시티, 스마트 헬스케어, 인공지능 분야이다. 이들 세 영역은 중국정부가 중점적으로 추진하고 있는 인터넷융합 전략에서도 공통적으로 나타나고 있다. 인터넷+교통, 인터넷+공공서비스, 인터넷+인공지능이 바로 그것으로, 인터넷+교통은 중국이 추진하고 있는 스마트시티의 핵심 영역이며, 공공서비스 역시 스마트 헬스케어가 주된 내용을 이루고 있다. 따라서 우리 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중점 영역과 중첩되는 이들 세 분야에 대해 제3~5장에서 심층적으로 분석하였다.
   우선 제3장에서는 중국의 인공지능 발전 현황과 정책, 베이징시 정부와 주요 기업의 인공지능 관련 사업 추진 사례를 분석하였다. 중국은 글로벌 인공지능 시장에서 독보적인 수준의 경쟁력을 보유하고 있는 미국의 뒤를 바짝 추격하고 있다. 특히 지난 20년간 인공지능 관련 누적 논문 건수와 특허신청 건수는 중국이 세계 1위를 차지하였고, 기업 및 인재 수 또한 세계 2위 수준으로 양적인 측면에서 확연하게 두각을 나타내고 있다. 반면 질적인 측면에서는 하드웨어 및 컴퓨팅 기술 역량 부족, 고급인재 부족 등 여러 과제에 당면해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중국 내에서는 자체적으로 대량의 데이터를 보유하고 있는 대형 인터넷 기업 BAT를 중심으로 수많은 스타트업이 유기적인 인공지능 생태계를 구축하고 있다. 선도 기업들은 인공지능 핵심기술과 플랫폼을 선점하기 위해 경쟁 중으로, 특히 인공지능 스타트업에 대한 투자와 협력을 추진하여 핵심기술을 확보하는 방안을 적극 활용하고 있다. 또한 인공지능 개방형 플랫폼의 구축을 통해 사업 영역을 확대하고 관련 분야의 자체적인 생태계를 조성해 나가고 있다.
   이와 같이 중국의 인공지능 분야의 발전은 시장이 주도하고 있으며, 정부의 정책적 지원이 윤활유 역할을 하고 있다. 2017년 중국 중앙정부가 인공지능 육성을 위한 장기적인 발전계획을 수립한 이후 약 20개의 지방정부가 일제히 각 지역에 맞는 인공지능 발전정책을 발표하였다. 이러한 발전정책을 기반으로 중앙정부와 지방정부에서는 관련 제도 마련 및 시범사업을 추진하여 발전 환경을 조성하고, 동시에 당면과제에 대한 대응 방안도 마련해 나가는 것으로 나타났다.
   베이징시는 인공지능과 관련하여 우수한 정책 환경과 연구역량, 인재와 정보기술이 집적되어 있어 중국 내에서 인공지능이 가장 발전한 지역으로 평가받고 있다. 베이징시에서는 의료, 유통, 도시 관리, 자율주행 등의 영역에서 인공지능이 활발하게 응용되고 있고, 각 산업의 발전 환경을 조성하는 데 집중하고 있다. 특히 자율주행 영역은 베이징이 우위를 점하고 있는 분야로, 시정부 차원에서 자율주행과 관련하여 △ 규범 제정 △ 시범도로 건설 및 시범운영기지 구축 △ 주요 기업ㆍ기관으로 구성된 혁신센터 및 연맹 조직 등 체계적인 조치와 시범사업을 시행하여 발전 기반을 견고히 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제4장에서는 중국의 스마트시티 발전정책과 저장성 항저우시의 추진 사례를 살펴보았다. 먼저 글로벌 스마트시티의 발전과 중국의 현황을 간략히 살펴보고, 스마트시티의 발전을 위한 중국의 주요 정책과 추진 체계를 정리하였다. 세계 주요 국가들은 기존의 도시문제를 해결하고 인공지능, 빅데이터 등 신기술을 적용한 산업을 성장시키기 위한 플랫폼으로서 스마트시티의 발전을 추진하고 있다. 글로벌 스마트시티 시장은 2025년 2조 달러의 거대시장으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되며, 특히 중국이 빠른 성장세를 견인할 것으로 예측된다. 중국 내 500여 개의 도시가 스마트시티의 건설을 정책적으로 추진 중이지만 발전 성숙기에 도달한 도시는 아직 없는 것으로 파악된다. 다만 중국 내에서 스마트시티 조성사업이 가장 활발히 진행 중이면서 발전수준이 높다고 평가받는 도시는 항저우시이다. 항저우시는 교통, 행정, 치안, 환경, 금융 등 다양한 분야의 스마트화를 추진하고 있지만 그중에서 스마트 교통 분야는 이미 실질적인 응용에 성공한 것으로 평가되고 항저우 모델이 중국 기타 지역과 해외로까지 적용되고 있다.
   중국 스마트시티 발전의 구체적인 추진 사례로서 들여다본 항저우시는 2012년부터 중앙정부의 스마트시티 관련 정책기조에 기민하게 반응하며 정책을 추진해 왔고, 최근 2018년 5월에는 「항저우 시티 브레인 규획(杭州城市数据大脑规划)」을 발표해 2022년까지의 스마트시티 건설 로드맵을 제시했다. 교통, 의료, 관광, 환경 등 도시 전반을 아우르는 항저우 시티 브레인 프로젝트는 교통 분야에서부터 우선적으로 성과를 내고 있다. 항저우시는 교통 데이터의 실시간 수집ㆍ분석ㆍ응용을 통해 신호체계를 최적화하여 교통 흐름을 원활히 했고, 그 밖에 주차, 교통사고, 단속 등 교통 분야 전반의 스마트화를 빠르게 진행하고 있다. 항저우 시티 브레인 프로젝트의 성과는 각 행동주체의 효과적인 역할 수행과 선순환 구조의 생태계에 기인한다. 중국 중앙정부는 스마트시티 발전의 큰 방향성을 제시하는 한편 공공데이터의 통합ㆍ공유, 개인정보보호 제도의 포괄적 시행 등 신산업 발전에 유리한 제도적 환경을 조성해 주었다. 항저우 시정부는 스마트시티 조성에 필요한 기술과 서비스를 정부조달의 형태로 시장에 발주해 수요를 직접적으로 창출했다. 또한 항저우시 내 일부 지역을 테스트베드로 제공해 기업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했다. 알리바바는 자사의 클라우드 및 인공지능 플랫폼을 통해 정부에는 도시 운영체제를 공급했고, 도시 운영에 필요한 세부 기술을 보유한 중소 스타트업들에는 서비스 구현에 필요한 플랫폼을 제공했다. 중소 스타트업은 정부가 제공한 테스트베드와 알리바바의플랫폼 위에서 기술혁신과 품질제고를 도모하고, 이는 도시민 삶의 질적 향상에 기여하고 있다. 
   또한 항저우시는 스마트시티 발전의 핵심요소로서 데이터에 주목하여 효과적인 데이터 활용을 위해 중국 최초로 데이터자원 관리국을 신설해 공공데이터를 통합ㆍ공유 관리하고 있다. 해당 기관을 통해 시티 브레인 프로젝트에서 발생하는 데이터를 직접 소유하고 활용하여 공공서비스의 품질을 제고하고 있다.
   제5장에서는 인터넷과 공공서비스(益民服务)의 융합 사례인 스마트 헬스케어 분야 시장의 발전 현황, 중앙정부와 지방정부의 정책과 추진 체계, 산업 생태계와 지역 응용 사례를 살펴보고 산업의 특징과 쟁점을 분석하였다. 
   현재 글로벌 스마트 헬스케어 시장은 미국, 독일 등 선진국을 중심으로 발전하고 있으며, 특히 미국은 원격진료 관련 제도 구축과 서비스 적용 측면에서 월등히 앞서가고 있다. 향후 중국시장도 의약품 온라인 거래, 온라인 진료를 중심으로 높은 성장세가 예상된다. 통계자료의 제약으로 인해 지역별 시장을 파악하기 어려우나, 소득수준이 높고 인구가 밀집된 동부 연해지역의 시장규모가 크고 그중에서도 광둥성의 시장규모가 가장 큰 것으로 추정된다.
   2018년 들어 중국 중앙정부는 온라인 의료서비스 및 의약품 유통, 인공지능 활용, 데이터 관리 및 공유, 업계 표준체계 및 관리감독, 통신 인프라 정비, 의료비 지불체계 및 의료보험 제도 적용 등 스마트 헬스케어 서비스와 관련하여 전반적인 가이드라인을 발표하였다. 이어 중앙정부의 가이드라인을 반영한 지방정부의 문건이 속속히 발표되고 있다. 또한 국가위생건강위원회를 중심으로 정책 추진 체계가 구성되었고, 국가위생건강위원회 산하의 국유기업을 통해 국가 차원에서 건강의료 데이터 정부사업을 추진 중이다. 그리고 국가위생건강위원회와 정보통신연구원을 주축으로 산업연맹이 결성되어 운영 중이다. 
   중국 내 온라인 진료 플랫폼인 인터넷 병원, 데이터 분석 및 인공지능, 유전체 분석 등 다양한 분야의 기업을 포괄하는 스마트 헬스케어 산업 생태계가 형성되고 있고, 2010~16년 스마트 헬스케어 관련 창업 기업 수는 2,800여 개에 달한다. 이 중 광둥성을 대표하는 IT기업 텐센트와 금융기업 핑안의 비즈니스 확장이 상당히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광둥성의 지역거점병원 중 광둥성 제2인민병원, 광저우 지난대학 제1부속병원은 IT기업과 합작하여 인터넷진료 플랫폼을 구축하였고, 지방정부와 IT기업이 합작해 건강의료 빅데이터 사업을 전개 중이다.
   의료서비스는 생명과 직결된 분야이고, 공공서비스의 성격을 지니고 있어 정책과 사회적 수용 여부가 스마트 헬스케어 산업 생태계 형성 및 발전에 큰 영향을 미친다. 중국 내의 사회적으로 신기술을 수용하고 후발주자들이 혁신적인 기술을 도입하며 자체적인 생태계를 구축하는 데에는 낙후된 의료서비스 체계 등 중국 고유의 환경적인 요인이 긍정적으로 작용하고 있다. 한편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제도적 기반의 마련이 필수적이나 현재 중국은 시행착오를 겪으며 관련 법규를 보완해 가는 과정 중이다.
   제6장에서는 앞서 주요 지역별 추진 사례를 분석한 결과를 토대로 우리 기업과 정부를 대상으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인공지능 분야의 발전을 위해 우리 정부는 무엇보다 먼저 장기적이고 지속 가능한 인공지능 발전 정책을 수립하고, 인공지능 관련 생태계가 원활히 구축될 수 있도록 지원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중국의 주요 기업뿐만 아니라 글로벌 인공지능 기업들은 개방형 인공지능 플랫폼을 통해 자체적인 생태계를 구축하고, 시장지배력을 확대해 나가려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이에 중국정부는 바이두-자율주행, 텐센트-의료ㆍ영상, 커따쉰페이-음성인식 등 중점 분야의 인공지능 생태계를 조성하기 위해 주도 기업을 특정하고, ‘국가 차세대 인공지능 개방혁신 플랫폼’ 프로젝트를 추진하여 규제 완화, 데이터 제공 등 다양한 지원을 하고 있다. 우리 정부도 우리 기업의 인공지능 개방형 플랫폼 구축을 적극적으로 지원하는 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또한 우리 기업은 플랫폼의 개방을 통해 관련 영역의 국내 생태계를 구축하고, 자사 플랫폼의 시장지배력을 확대해 나갈 수 있는 전략 수립이 필요하다. 이와 함께 중국 중앙정부의 정책적 지원을 받고 있는 동시에 각 분야의 시장을 선도하고 있는 ‘국가 차세대 인공지능 개방혁신 플랫폼’에 협력사로 참여하여 연합생태계에 진입하는 방안을 고려해 볼 수 있다.
   스마트시티 분야의 경우 저장성 항저우시의 사례에서 보았듯이 정부 주도의 수요 창출과 기업의 기술력이 중요한 발전 요인으로 나타났다. 정부는 스마트시티의 발전을 위한 전문적이고 중장기적인 로드맵을 제시하고 프로젝트 사업을 적극 추진해 시장수요를 직접적으로 창출해 낼 필요가 있다. 또한 기업의 신기술과 서비스를 도시민의 생활에 직접 시험 적용해 볼 수 있는 테스트 베드를 제공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고, 해당 공간 내 제도적 혁신 및 지원은 필수적 요소라고 할 수 있다. 현재 우리나라에서 진행 중인 프로젝트는 사업규모가 크지 않고 구체적인 진행이 더딘 데다 무엇보다 데이터 활용 측면에서도 제도적인 걸림돌이 많다는 지적이다. 또한 스마트시티 조성 프로젝트는 도시민의 삶과 관련되어 공공성이 짙기 때문에, 기업에게는 단기적인 수익 차원에서의 접근이 불리할 수 있다. 그러나 기업은 정부가 인증하고 도시민이 직접 이용하는 공공서비스에 참여함으로써 기업 인지도 제고, 이미지 개선 등의 홍보효과를 누릴 수 있고, 서비스 과정에서 얻는 피드백과 데이터 등은 자사의 제품 품질 향상에도 긍정적으로 작용할 것으로 보인다.
   마지막으로 스마트헬스케어 분야의 경우 우리 정부와 기업에게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준다. 첫째, 우리 정부는 의료서비스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편으로서 스마트 헬스케어 서비스를 도입하고 육성할 필요가 있다. 이때 우선적으로 개선이 시급한 영역을 선별하고 시장 형성과 기존 업계에 대한 충격완화 정책을 병행하여야 할 것이다. 둘째, 규제 완화가 필요한 신사업에 참여하는 기업에 대해 유연한 정책운영을 적용하여야 한다. 셋째, 스마트헬스케어 혁신의 핵심요소인 데이터와 관련하여 우리나라 의료시스템에 적합한 효과적인 데이터 통합관리 방안을 강구하여야 할 것이다.
   한편 기업 입장에서 볼 때 중국 내에서의 비즈니스 기회가 방대할 것으로 기대되나, 현지 기업들도 아직 이익창출에 대한 과제를 안고 있어 기업 진출 시 수익모델 정립에 대한 고민이 필요하다. 아울러 중국의 정책 운영 특성에 대한 이해 및 정책적 리스크 점검이 선행되어야 하고, 관련 리스크 경감을 위해 중국 대기업과 협업하여 진출하는 방안을 우선적으로 고려할 수 있다. 급변하는 중국의 산업생태계 및 시장 변화에 맞추어 현지화된 전략을 구사하여야 하며, 직접 진출 시 지방정부의 정책 및 우리 기업의 지원기관을 적극 활용할 것을 제안한다.
   마지막으로 스마트 헬스케어 산업의 특성상 입지 선택이 중요하지 않을 수 있으나, 광둥성 지역 사례를 보면 초기 사업 추진 시 지역 앵커기업과 거점병원, 정부기관, 스타트업 간에 협업이 시도되고 있다. 이에 현지 진출 시 협력하고자 하는 기업(기관)의 지역 및 역내 산업 생태계도 감안하여야 할 것이다.

   China is pursuing the 'Internet Plus' Internet convergence strategy to create a future new industry ecosystem in which various economic and social sectors converge with the Internet through an Internet platform and ICT technology. Along with “Made in China 2025,” China’s Internet convergence strategy is an important strategy to realize innovation as a new growth engine for China. The strategy will be responsible for promoting industrial advancement and formulating an effective response to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It is expected to serve as a catalyst for China’s economic growth and an important factor that will transform Korea’s business model with China, as new industries through Internet convergence are growing along with the development of the Internet economy. With the development of the Internet economy, the market size of the new economy related to Internet finance (FinTech), online education, smart facilities, app-based business and smart city is rapidly growing in China. In addition, the country is promoting the innovation of software in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nd the transition toward “smart” processes in existing industries such as distribution, logistics, and manufacturing. In light of these developments, it is necessary to identify significant changes in Korea's future cooperation with China, particularly in relation to ICT manufacturing and Internet-related industries, an area where Korea is particularly strong.
   The Internet convergence strategy covers all areas of the economy and society and is having a great impact on China’s economic and industrial structure, production and consumption trends, business models, urbanization and regional development. This means an in-depth analysis is needed to establish a strategy for economic cooperation with China that is well suited to recent developments. In particular, each region of China has announced policies in accordance with the economic base or strategic goals of the region and implemented practical projects in order to promote the central government’s Internet convergence strategy. In some regions experiments are already underway to pioneer platform technologies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in the field of Internet convergence, which is already incorporating new ICT technologies.
   Based on this perception and background, this study examines China’s Internet convergence strategy to enable a preemptive response to changes caused by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nd identifies relevant policies, technology and industry demands and related risks unfolding in some sectors and regions. The study then goes on to present new approaches to advance into new areas of the Chinese market and promote cooperation between Korea and China. In particular, we analyze the present status, nurturing policies, and local cases of smart healthcare, smart city, and artificial intelligence projects, which have a large impact on the economy and industry and generate high added value in 11 major fields related to Internet convergence.
   In Chapter 2, we analyze the background of the Internet convergence strategy in China, the main contents of the strategy, and the current state of infrastructure related to Internet convergence. In particular, the analysis was focused on the fact that China’s 'Internet Plus' strategy is more than just a policy to connect various sectors to the Internet, and should be understood as a very broad strategy to actively respond to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being pursued in coordination with China's long-term development strategy. In November 2017 the Korean government announced I-KOREA 4.0, its plan to actively respond to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fter the response plan was announced, specific strategies have been announced in each sector as well. These are sectors which have a large economic impact and areas where the Korean government intends to focus on. Current areas where detailed strategies have been announced are smart cities, smart healthcare and artificial intelligence. These three areas are also included in the Internet convergence strategy, which the Chinese government is focusing on. As such, we analyze each of these areas in Chapters 3 to 5.
   In Chapter 3, we analyze the status and policy of artificial intelligence development in China, and examine cases of promoting artificial intelligence-related projects by the city government of Beijing and major companies. China is in close pursuit of the United States, which has an unrivaled level of competitiveness in the global artificial intelligence market. In particular, China leads the world in accumulated number of AI-related papers and patent applications over the past 20 years, and ranks second in the world in terms of the number of companies and personnel in the field. In China, a large number of start-ups have been established around the Internet giant BAT, which owns a large amount of data, thus forming an organic artificial intelligence ecosystem. Leading companies are rushing to pioneer artificial intelligence core technologies and platforms. In particular, they are actively utilizing measures to secure core technologies by promoting investment and cooperation in artificial intelligence startups. They are also expanding their business areas and creating their own ecosystem in related fields through the establishment of an open artificial intelligence platform. As such, the development of artificial intelligence in China is led by the market, and the government’s policy support plays a facilitating role. Since the Chinese government set up a long-term development plan for artificial intelligence in 2017, about 20 local governments have announced policies for development of artificial intelligence suitable for their respective regions. Of these, Beijing is highly regarded as one of the most developed regions of artificial intelligence in China because of its excellent policy environment, research capacity, human resources and information technology related to artificial intelligence. In particular, Beijing has been analyzed as possessing strengths in the area of autonomous driving vehicles, and the city government is solidifying its development base by implementing systematic measures and pilot projects, such as establishing self-driving related norms, building test roads and pilot operation bases, and establishing innovation centers.
   In Chapter 4, we examine China’s Smart City development policies with a focus on the case of Hangzhou City in Zhejiang Province. First, we briefly review the development of global smart cities and current situation in China, after which we summarize the main policies and implementation system of China for the development of smart cities. The global smart city market is expected to grow to a $2 trillion market in 2025, with China in particular expected to drive fast growth. Approximately 500 cities in China are implementing policies to construct smart city projects, among which Hangzhou City is the most active and at a high level of development. The city of Hangzhou is pursuing a transition toward 'smart' processes in various fields, including transportation, administration, policing, environment and finance, among which the smart transportation sector is already evaluated as having succeeded in practical application. The Hangzhou model is being applied to other regions of China and overseas. Hangzhou City optimized its signal system through real-time collection, analysis and application of traffic data to facilitate traffic flow. In addition, it has been rapidly promoting the use of smart technology in all areas of traffic including parking, traffic accidents, and policing of traffic violations. The achievements of the Hangzhou City Brain Project can be attributed to an ecological system where each actor carries out its own role effectively to create a virtuous cycle structure. The central government of China has presented general directions for the development of smart cities, while creating an institutional environment favorable to the development of new industries, including the integration and sharing of public data and the comprehensive implementation of the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system. Hangzhou’s municipal government directly created demand in the field by commissioning the technologies and services needed to create smart cities in the form of government procurement orders. Hangzou has also designated certain regions as test beds for the new technology, encouraging companies to actively participate. Alibaba has supplied the government with city operating systems through its cloud and artificial intelligence platforms, while providing the platforms needed to implement services to small start-ups with detailed technologies needed to run the cities. Small- and medium-sized startups seek to innovate technology and improve quality based on the test bed projects provided by the government and technology platform created by Alibaba, and in this manner contribute to improving the quality of citizens' lives.
   Chapter 5 examines the development status of the smart healthcare market, which represents a convergence between the Internet and public services, the policy and implementation system of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and the industrial ecosystem and regional applications, going on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and issues of the industry. Currently, the global smart healthcare market is developing in the U.S., Germany, and other advanced countries. In the future, the Chinese market is also expected to see high growth, focusing on online trading of drugs and online medical treatment. Due to limitations in statistical data, there is a limit to understanding the market by region, but the market size of the eastern coastal region is large. In 2018, China’s central government announced a comprehensive guideline on smart healthcare services. This was followed by the release of local government documents reflecting the central government's guidelines. In addition, the policy implementation system was formed with the National Health and Health Commission at the center, and government projects for health care data were carried out at the national level through state-owned enterprises. In addition, an industrial federation was formed and is being operated under the supervision of the National Health and Health Commission and the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An industrial ecosystem encompassing companies in various fields, including Internet hospitals, data analysis and artificial intelligence, and genetic analysis, creating an online treatment platform in China. The business expansion of Tencent, an IT company representing dual Guangdong Province, and Ping An, a financial company, is proceeding quite actively. The local hub hospital in Guangdong Province and IT companies in the region have jointly established an Internet-based medical treatment platform, and local governments and IT companies are collaborating to develop big data projects in the health care sector. The unique environment in China, such as the lagging state of medical services, acts as a positive factor when it comes to embracing new technologies in China and establishing a self-sufficient ecosystem. Also, in terms of the institutional infrastructure that must be established to provide services, China has been undergoing trial and error and is now in the process of revising relevant laws and regulations.
   In Chapter 6, we drew implications for Korean companies and the government, based on the results of our analysis of major regional cases. For the development of the artificial intelligence (AI) sector, the Korean government should establish long-term and sustainable artificial intelligence development policies, among other things, and come up with support measures to ensure that the artificial intelligence-related ecosystem is smoothly established. Major Chinese enterprises and global AI firms are striving to build their own ecosystem and expand their market dominance through an open artificial intelligence platform. In response, the Chinese government has designated leading companies to create artificial intelligence ecosystems in key areas, seen in projects such as  the Baidu autonomous driving, Tencent medical care and video imaging, and  iFLYTEK voice recognition projects, and has implemented the National Next Generation AI Open Innovation Platform to provide various forms of support. It will be necessary for the Korean government to actively support the establishment of the artificial intelligence open platform for Korean companies. In addition, Korean companies need to establish a strategy to build an ecosystem in relevant areas by offering an open platform and expanding their market presence. At the same time, it could be worthwhile to consider entering into the alliance ecosystem by participating in the National Next Generation Artificial Intelligent Open Innovation Platform, which is receiving the policy support of the Chinese central government and leading the market in each field, as a partner company.
   In the Smart City sector, as seen in the case of Hangzhou City in Zhejiang Province, government-led demand generation and corporate technological prowess have emerged as important development factors. The government needs to propose a specialized and mid-to long-term roadmap for smart city development and actively promote projects to directly generate market demand. It is also important to provide a test bed where the new technologies and services of an enterprise can be directly applied to the lives of the citizens. Institutional innovation and support within the space are essential elements as well. As of yet, the current projects in progress within Korea remain limited in scale and slow to develop, while the numerous institutional regulations blocking the utilization of data are pointed out as major obstacles. In addition, smart city projects have important implications for the lives of citizens and are very public in their nature, meaning private companies could struggle with various disadvantages in terms of short-term profit. At the same time, however, companies can enjoy promotional effects such as raising corporate awareness and improving their image by participating in public services that are certified by the government and directly used by city residents, and feedback and data from the service process will also have a positive effect on improving their product quality.
   Finally, in the smart healthcare sector, the implications for the Korean government and corporations are as follows. First, the Korean government needs to introduce and nurture smart healthcare service as a way to solve problems in medical service. At this time, it is necessary to identify priority areas where improvement is urgent, and to form a market and mitigate the impact on existing industries. Also, flexible policies should be applied to companies participating in new businesses that require deregulation. Finally, effective data integration management methods suitable for the Korean medical system should be considered in relation to data, which is a key element of smart health care innovation. While Korean companies can expect to see enormous business opportunities in China, even Chinese companies are still facing challenges in generating profits, so Korean companies must carefully design their own profit model in advance. Other tasks to consider in advance will be to gain an understanding for the characteristics of Chinese policy operations and policy-related risks, and to consider cooperation with large Chinese enterprises in order to mitigate the related risks. It is necessary to carry out localized strategies in line with China's rapidly changing industrial ecology and market changes, and actively utilize local government policies and domestic business support institutions when planning to directly enter the market. Last but not least, while location selection may not be a crucial factor when it comes to the smart healthcare industry, the cases we examined in Guangdong Province show a good example of collaboration between local anchor companies and central hospitals, government agencies and startups in the initial stages of business implementation. Therefore, companies looking to advance into the local market should first understand and make considerations for the local and regional industrial ecosystems in which their cooperation partners operate within.

서언


국문요약


제1장 서론
1.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2. 연구의 내용 및 방법
3. 선행연구와의 차별성 및 본 연구의 한계


제2장 중국의 인터넷융합 전략의 주요 내용 및 추진 현황
1. 중국의 인터넷융합 전략의 추진 배경
    가. 중국의 장기 성장 전략
    나. 뉴노멀과 발전 방식의 전환
    다. 제조업 발전의 한계
2. 중국의 인터넷융합 전략의 주요 내용
    가. 발전 목표
    나. 주요 세부 분야별 정책
    다. 전략 추진 체계
3. 중국의 인터넷융합 관련 인프라 현황
    가. 인터넷 환경
    나. 창업 및 투자


제3장 인공지능 발전정책과 베이징 추진 사례
1. 현황
    가. 글로벌 현황
    나. 중국 현황
    다. 지역 현황
2. 주요 정책과 추진 체계
    가. 주요 정책
    나. 추진 체계
3. 지역 추진 사례
    가. 산업 생태계 및 주요 기업
    나. 지역 응용 사례
4. 주요 특징 및 쟁점
5. 소결


제4장 스마트시티 추진 정책과 저장성 추진 사례
1. 현황
    가. 글로벌 현황
    나. 중국 현황
    다. 지역 현황
2. 주요 정책과 추진 체계
    가. 주요 정책
    나. 추진 체계
3. 지역 추진 사례
    가. 산업 생태계
    나. 지역 응용 사례
4. 주요 특징과 쟁점
5. 소결


제5장 스마트 헬스케어 발전정책과 광둥성 추진 사례
1. 현황
    가. 글로벌 현황
    나. 중국 현황
2. 주요 정책과 추진 체계
    가. 주요 정책
    나. 추진 체계
3. 지역 추진 사례
    가. 산업 생태계 및 주요 기업
    나. 지역 응용 사례
4. 주요 특징 및 쟁점
5. 소결


제6장 평가 및 시사점
1. 요약 및 평가
    가. 인공지능
    나. 스마트시티
    다. 스마트 헬스케어
2. 대중국 협력과 시장진출을 위한 시사점
    가. 기업에 대한 시사점
    나. 정부에 대한 시사점


참고문헌


Executive Summary

판매정보

분량/크기, 판매가격
분량/크기 212
판매가격 10000 원

구매하기 목록

같은 주제의 보고서

세계지역전략연구 Exploring Urban Perception on Climate Change in Developing Countries 2024-08-29 연구보고서 글로벌 디지털플랫폼의 데이터 집중화에 따른 경제적 영향 분석 2023-12-30 단행본 2023 KIEP 정책연구 브리핑 2024-06-28 연구보고서 대러 경제 제재가 러시아 경제에 미치는 영향과 한-러 경제협력 안정화 방안 2023-12-29 연구보고서 글로벌 경제안보 환경변화와 한국의 대응 2023-12-29 중장기통상전략연구 인도의 중장기 통상전략과 한·인도 협력 방안 2023-12-29 중장기통상전략연구 몽골의 중장기 통상전략과 한·몽골 협력 방안 2023-12-29 연구보고서 인도-태평양 전략 추진을 위한 한-태평양도서국 중장기 협력 방안 2023-12-29 연구보고서 미중 기술경쟁 시대 중국의 강소기업 육성전략과 시사점 2023-12-29 연구보고서 미중경쟁에 따른 아세안 역내 공급망 재편과 한국의 대응방안 2023-12-29 중장기통상전략연구 남아프리카공화국의 중장기 통상전략과 한·남아공 협력 방안 2023-12-29 연구자료 동티모르의 아세안 가입 지원 및 개발협력 확대 방안 2023-12-29 중장기통상전략연구 멕시코의 중장기 통상전략과 한·멕시코 협력 방안 2023-12-29 중장기통상전략연구 호주의 중장기 통상전략과 한·호주 협력 방안 2023-12-29 연구보고서 주요국의 산업별 디지털 전환이 노동시장에 미치는 영향 2023-12-29 연구보고서 인도태평양 시대 한ㆍ인도 경제협력의 방향과 과제 2023-12-29 연구보고서 인도 서비스 산업 구조 분석과 한-인도 산업 협력 확대 방안 2023-12-29 연구보고서 일본의 글로벌 공급망 리스크 관리와 한·일 간 협력방안 연구 2023-12-29 연구보고서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이 EU의 '개방형 전략적 자율성' 확대에 미친 영향: 에너지 전환, 인적 교류, 안보 통합을 중심으로 2023-12-30 연구보고서 중동부유럽으로의 EU 확대 평가와 향후 전망 2023-12-29
공공누리 OPEN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 출처표시, 상업용금지, 변경금지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표시기준 (공공누리, KOGL) 제4유형

대외경제정책연구원의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 금지 +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저작권정책 참조

콘텐츠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콘텐츠 만족도 조사

0/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