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연구보고서

발간물

목록으로
연구보고서 남미공동시장(MERCOSUR)의 경제환경 변화와 한ㆍMERCOSUR 기업간 협력 활성화 방안 경제협력, 기업경영

저자 권기수, 김진오, 박미숙, 김효은 발간번호 17-10 자료언어 Korean 발간일 2017.11.30

원문보기(다운로드:4,468) 저자별 보고서 주제별 보고서

  본 연구는 아르헨티나와 브라질의 시장 친화적 정부 등장 이후 빠르게 변화하는 MERCOSUR의 경제환경과 한ㆍMERCOSUR 무역협정 협상 개시에 대비하고, 정체된 양자간 경제관계 발전의 새로운 돌파구를 마련하기 위해 기획되었다. 특히 본 연구는 최근 한국과 MERCOSUR 간 새로운 협력방안의 하나로 주목받고 있는 기업간 협력에 초점을 두었다.
  이상의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연구는 크게 여섯 장으로 구성되었다. 먼저 제2장에서는 MERCOSUR의 최근 경제환경 변화를 심층적으로 분석하였다. 또한 빠르게 재편되는 국제분업구조를 감안한 MERCOSUR의 생산통합(Productive Integration) 정책의 성과를 고찰하였다. 마지막으로는 아르헨티나와 브라질에서 FTA 정책에 우호적인 신정부 등장 이후 MERCOSUR 통상정책의 중요한 변화를 분석하고 향후 전망을 제시하였다.
  제3장에서는 MERCOSUR 기업과 협력을 희망하는 한국기업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기 위해 기업간 협력 사례를 발굴해 분석하였다. 대표적인 기업간 국제협력 모델(Bridge Model)을 기반으로 협력유형을 제조/생산, 물류/인프라, 유통/마케팅, 금융협력, R&D 및 기술협력으로 구분하여 분석했다.
  제4장에서는 정량적 분석 기법을 사용하여 한국과 MERCOSUR 기업 간 협력유망분야를 발굴하였다. 시장비교우위지수는 한국과 MERCOSUR 간 수출부문에서의 유망협력분야를, 유엔중남미경제위원회(ECLAC)가 제공하는 투입산출표는 투자부문에서의 유망협력분야를 발굴하는 데 활용했다. 또한 MERCOSUR 회원국의 글로벌 가치사슬에의 참여 수준과 회원국 간의 생산통합의 정도를 비교분석하여 협력가능분야를 제시하였다.
  제5장에서는 한국과 MERCOSUR 기업 간의 협력 실태를 바탕으로 양측 기업간 협력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였다. 먼저 MERCOSUR 4개국의 업종별 협회를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를 토대로 양측 기업간 협력수요, 협력방식, 정부에 대한 제언 등을 분석하였다. 다음으로는 이상의 연구결과를 종합해 기업차원에서의 협력 활성화 방안을 도출하고 이러한 기업간 협력확대를 위한 정부차원의 지원방안을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제6장에서는 연구결과를 전체적으로 정리하고, 한국과 MERCOSUR 기업 간 협력강화를 위한 종합방안을 다음과 같이 제언하였다. 먼저 우리 정부 및 기업은 빠르게 변모하는 MERCOSUR 경제환경 변화를 정확하게 인식하고 이에 대한 대응책을 마련해야 한다. MERCOSUR의 양대 중심국인 아르헨티나와 브라질은 중국의 경제성장 둔화에 따른 1차 산품 붐의 종식과 브렉시트(Brexit) 및 트럼프 대통령 등장 이후 선진국을 중심으로 한 보호무역주의 강화와 같은 대외통상환경의 변화에 대응하고 새로운 성장동력을 찾기 위해 개방정책을 적극 추진하고 있다. 특히 협상 타결 가능성이 높은 EUㆍMERCOSUR 간 FTA는 MERCOSUR 대외통상 규범의 선진화는 물론 FTA 비체결국 기업의 양측 현지시장 진출에도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MERCOSUR 시장에서 EU와 경쟁관계에 있는 우리기업의 진출도 영향권에 포함되는데, 특히 관세인하 효과로 인하여 투자보다는 수출부문에서 즉각적인 변화가 예상된다. 이에 따라 우리 정부 및 기업은 급변하는 MERCOSUR의 대내외적인 통상환경변화를 정확하게 파악하고 이에 대응한 공동의 전략을 시급하게 준비해야 한다.
  둘째, 정체된 한국과 MERCOSUR 경제관계 발전의 획기적인 전환점으로 한ㆍMERCOSUR 무역협정(TA)을 적극적으로 활용해야 한다. MERCOSUR 회원국의 경기침체가 장기화되면서 우리기업 및 정부의 MERCOSUR 시장에 대한 관심은 크게 낮아졌다. 2016년 9월 대한항공의 상파울루 취항 중단은 상징적인 사건이다. 그러나 양자간의 TA는 국내에서 MERCOSUR 시장의 중요성을 환기하고, 침체된 협력관계를 활성화하는 호재로 작용할 것이다. 따라서 MERCOSUR 회원국과의 협력채널이 부족한 우리는 TA를 협력확대를 위한 플랫폼으로 활용해야 한다. 이를 위해 양측 기업이 높은 관심을 나타내는 기업간 협력을 FTA 협정문의 별도 장으로 구성하여 향후 기업간 협력의 제도적 채널로 활용할 필요가 있다.
  셋째, 양측 기업간 협력을 위한 다양한 형태의 지속가능한 플랫폼 마련이 필요하다. 앞서 양측 기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및 인터뷰에서 기업간 협력채널에 대한 높은 관심도를 확인한 바 있다. 그러나 양측 기업간 협력채널은 대부분 한시적이거나 일회성 이벤트에 그치고 있다. 다양한 분야와 방식에 대한 양측 기업의 협력수요를 충족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형태의 협력채널 구축이 필요하다. 아르헨티나, 브라질 등 현지 투자유치기관에 Korean Desk를 설치하여 기업간 협력 파트너를 발굴 및 주선하고, 한ㆍMERCOSUR 기술혁신센터와 MERCOSUR 수출인큐베이터를 설립하여 기술력을 갖춘 우리 중소기업의 현지시장 진출을 지원해야 한다. 또한 중남미에서 대규모 금융 동원력과 비즈니스망을 구축하고 있는 미주개발은행(IDB)과 중남미개발은행(CAF)을 포함한 지역개발은행과 공동으로 B2B 협력 플랫폼을 구축해 상시적으로 운영할 필요가 있다.
  넷째, 지역통합체 차원의 협력전략이 필요하다. 비록 MERCOSUR와의 협력은 통합체보다는 개별 회원국 수준에 머물고 있지만, MERCOSUR 통합체 차원의 협력사업 실행과 한ㆍMERCOSUR TA 협상 개시 전망을 감안하면 양자간 협력과 병행하여 통합체 차원의 협력전략을 추진할 필요가 있다. 통합체 차원의 다자협력을 통하여 양자협력의 틈새를 보완할 수 있을 것이다. 한ㆍMERCOSUR 간 자국통화무역결제시스템 운영, MERCOSUR 생산통합 프로그램 참여, MERCOSUR 통합시장을 겨냥한 수출인큐베이터 설립, 한ㆍMERCOSUR 비즈니스협의회 운영 등을 통합체 차원의 협력방안으로 검토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우리기업은 MERCOSUR 회원국 및 기업이 지닌 비즈니스 측면의 전략적 가치를 정확하게 이해하고 활용하는 전략 수립이 필요하다. 특히 MERCOSUR 통합시장을 겨냥한 진출 전략을 수립하기 위해서는 개별 회원국이 보유한 시장특성을 정확하게 파악해야 한다. 예를 들어 파라과이와 우루과이는 최종 소비시장으로서의 가치는 미미하지만, 브라질과 아르헨티나 시장으로 진출하기 위한 생산과 물류기지로서의 가능성은 비교적 높게 평가된다. 브라질시장 진출을 목표로 용이한 노무관리와 저임금이 특징인 파라과이에 생산기지를 건설한 자동차부품업체(THN)의 사례가 대표적이다. 이와 같은 진출 대상국의 다변화와 함께 진출방식에서의 패러다임 전환도 필요하다. 단순 수출이나 단독투자 중심의 시장진출 형태에서 벗어나 현지기업과의 전략적 제휴, 합작투자, 기술협력 등 다양한 방식의 진출이 필요하다. 하나마이크론의 기술협력과 동국제강-포스코-Vale의 합작기업(CSP) 설립 등은 양측 기업간 협력의 새로운 가능성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사례다. 

  The economic environment of MERCOSUR has been rapidly changing after the emergence of market-friendly governments in Argentina and Brazil and the possibility of starting negotiations for a Korea-MERCOSUR trade agreement is growing. This study is designed to respond to such circumstances and to provide a new breakthrough in the development of previously stagnant bilateral economic relations. The study focuses especially on cooperation among firms, which has recently attracted attention as one of the new cooperation measures between Korea and MERCOSUR.
  In line with these research objectives, the study consists of six chapters. Chapter 2 depicts MERCOSUR’s recent economic environment developments in depth. In addition, we review the results of MERCOSUR’s productive integration policy while considering the rapidly reorganizing international division of labor structure. Finally, we analyze the major changes in the MERCOSUR trade policy and present its future prospects after the emergence of a new government in favor of FTA policies in Argentina and Brazil.
  Chapter 3 explores and analyzes cases of cooperation between firms through which we draw implications for Korean firms wishing to cooperate with MERCOSUR firms. In particular, based on the inter-firm bridge model, the study divides the various types of cooperation into the categories of manufacturing/production, logistics/infrastructure, distribution/marketing, financial cooperation and R&D/technical cooperation.
  Chapter 4 uses quantitative analysis techniques to identify promising areas of cooperation between Korea and MERCOSUR. The study uses revealed comparative advantage (RCA) to identify potential areas of cooperation within the export sector between Korea and MERCOSUR, and the input-output tables provided by the United Nations Economic Commission for Latin America and the Caribbean (ECLAC) for the investment sector. In addition, the study proposes future cooperation areas based on MERCOSUR member countries’ level of participation in the global value chain and the level of product integration among the member countries.
  Chapter 5 suggests ways to invigorate cooperation among firms of Korea and MERCOSUR, compared to the current state of cooperation. First, based on the results of surveys conducted by industry associations in four countries, we analyze the cooperation demand, preferred cooperation method and proposals for the government. Then we summarize the results of the above research to elucidate ways to stimulate cooperation at the firm level, and suggest ways to support such cooperation at the government level.
  Finally, Chapter 6 summarizes the results of the study and suggests a comprehensive plan for strengthening cooperation between Korea and MERCOSUR. First, both governments and firms must swiftly recognize the rapid changes within the economic environment of MERCOSUR and prepare countermeasures. MERCOSUR’s two major countries, Argentina and Brazil, are facing major changes in the external trade environment such as the end of the primary product boom caused by slowing economic growth in China and the rise of protectionism within developed countries following Brexit and the Trump administration taking office, and are actively pursuing open policies to secure new growth engines. In particular, the upcoming EU-MERCOSUR FTA is expected to have a significant impact not only on the advancement of MERCOSUR’s foreign trade norms but also on the entry of firms to those markets from non-FTA nations. In the MERCOSUR market, the entry of Korean companies, which compete with their EU counterparts, may also be affected in the export sector, in particular due to tariff cuts. The Korean government and its firms should precisely identify and respond to MERCOSUR’s internal and external changes in the business environment, and prepare joint strategies to cope with such changes.
  Second, Korea should actively utilize the MERCOSUR Trade Agreement (TA) as a turning point in the development of the economic relationship between Korea and MERCOSUR. As the recession of the MERCOSUR member countries has worn on, interest in the MERCOSUR market by the Korean companies and the government has been in marked decline: the suspension of Korean Air’s Sao Paulo operations in September 2016 is one such symbolic event. The TA between the two, however, will be a boon to invigorate the importance of the MERCOSUR market in Korea and to revitalize stagnant cooperation. As we lack cooperation channels with MERCOSUR, we need to use the TA as a platform for expanding cooperation. For this purpose, it is necessary to stipulate a separate chapter of business cooperation within the FTA agreement and to use it as an institutional channel for future cooperation between companies from the two regions.
  Third, the two regions should build various forms of sustainable platforms for business cooperation. In previous surveys and interviews with companies from both sides, we have identified a high degree of interest in building business cooperation channels. However, most of the cooperation channels between the two regions are only temporary or one-time events. In order to meet the cooperation demands of both regions, it will be necessary to establish lasting, diverse channels of cooperation. A Korean Desk, for example, should be established within the investment promotion agencies of MERCOSUR countries to identify and help establish business partners among enterprises. A MERCOSUR Technology Innovation Center or MERCOSUR Export Incubator could also serves as helpful channels to support Korean SMEs with the technological capabilities necessary to enter the MERCOSUR market.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B2B cooperation platform with regional development banks, including the Inter-American Development Bank (IDB) and Development Bank of Latin America (CAF), which have large financial mobilization powers and business networks in Latin America.
  Fourth, a comprehensive cooperation strategy at the regional integration level is needed. Cooperation with MERCOSUR remains at the level of individual member countries rather than MERCOSUR as a whole. It will be necessary to pursue an integrated cooperation strategy in parallel with bilateral cooperation as a means to complement the gap between bilateral cooperation through multilateral cooperation at an integrated level. Deployment of integrated local currency payment systems between Korea and MERCOSUR, participation in the MERCOSUR production integration program, establishment of an export incubator targeting the MERCOSUR market and operation of a Korea-MERCOSUR business council are among the potential co-op initiatives that can be implemented across MERCOSUR.
  Finally, Korean firms need to establish a strategy to accurately understand and utilize the strategic value of business aspects present within MERCOSUR member countries and companies. In particular, in order to establish an entry strategy aimed at the MERCOSUR integrated market, it will be necessary to accurately grasp the characteristics of the market of individual member countries. For instance, though their value as end-consumer markets lags behind Brazil and Argentina, Paraguay and Uruguay’s potential as a production and logistics base for entry into the Brazilian and Argentine markets is relatively high. One example is THN, an automobile parts company aimed at the Brazilian market that has built production bases in Paraguay due to its simplified labor management and low wages. In addition to the diversification of target countries, a change in the paradigm of entry mode is required; we need to move beyond simple exports or investment measures to more sophisticated, collaborative relationships such as strategic alliances, joint ventures, and technical cooperation with local companies. Hana Micron’s technological cooperation and Dongkuk Steel-POSCO-Vale’s joint venture (CSP) are examples of new possibilities for cooperation between the two regions. 

서언


국문요약


제1장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연구의 구성 및 방법
가. 연구 구성
나. 연구 방법
3. 연구의 범위
가. 기업간 협력의 개념과 모델
나. 선행연구와의 차별성 및 한계


제2장 MERCOSUR 경제환경 변화와 전망
1. 거시경제환경 변화 및 전망
2. MERCOSUR 생산통합 추이와 평가
가. 생산통합 추진 배경
나. 생산통합의 제도화
다. 생산통합의 주요 추진 사례
라. 생산통합의 평가
3. 대외통상정책의 변화 및 전망
가. MERCOSUR 대외통상정책 변화
나. 글로벌 통상협상 환경 변화와 MERCOSUR의 선택
다. 주요 무역협상 추진 동향 및 전망
4. MERCOSUR 경제환경 변화에 대한 평가와 시사점


제3장 MERCOSUR 기업과의 협력 사례 및 시사점
1. 협력 사례
가. 제조/생산 협력
나. 물류/인프라 협력
다. 유통/마케팅 협력
라. 금융 협력
마. R&D/기술 협력
2. 한국에 대한 시사점
가. 기업간 협력의 의의
나. 시사점
다. 한계 및 소결


제4장 한ㆍMERCOSUR 기업간 유망협력분야
1. 무역측면에서의 유망협력분야
가. 한ㆍMERCOSUR 무역 현황
나. 유망협력분야
2. 투자측면에서의 유망협력분야
가. 한ㆍMERCOSUR 투자 현황
나. 유망협력분야
3. MERCOSUR 생산통합측면에서의 유망협력분야


제5장 한ㆍMERCOSUR 기업간 협력 활성화 방안
1. 한ㆍMERCOSUR 기업간 협력 실태
가. 외국기업과의 협력 현황 및 동기
나. 한국기업과의 협력수요 및 협력방식
다. 한ㆍMERCOSUR 무역협정(TA)에 대한 입장
2. 한ㆍMERCOSUR 기업간 협력 활성화 방안
가. 정부차원의 지원 확대방안
나. 기업차원의 협력 활성화 방안


제6장 요약 및 결론


참고문헌


Executive Summary 

판매정보

분량/크기, 판매가격
분량/크기 244
판매가격 10000 원

구매하기 목록

같은 주제의 보고서

중국종합연구 한중 탄소중립 협력 활성화 방안 연구 2023-12-29 중국종합연구 2023년 중국종합연구 총서 정책연구과제 요약집 2023-12-29 중국종합연구 탄소중립 시대 중국 동북지역 한중 지역개발 협력방안 : 중국 지린성을 중심으로 2023-12-29 세계지역전략연구 한-인도 해운·항만산업 협력방안 연구 2023-12-29 세계지역전략연구 아세안 주요국의 난민지원정책과 한국에 대한 시사점 2023-12-30 세계지역전략연구 중동·북아프리카 식량위기에 대한 역내 인식과 대응 및 협력방안 2023-12-27 단행본 만화로 보는 세계경제 2023 2023-12-23 세계지역전략연구 사하라이남 아프리카 주요국의 탈탄소 정책과 청정에너지부문 협력 방안 2023-11-29 연구자료 동지중해 천연가스 개발 현황과 한국의 협력 방안 2023-10-20 연구보고서 경제안보 이슈의 부상과 대외협력 방향 2022-12-30 세계지역전략연구 주요국의 대남아시아 경제협력전략과 정책 시사점: 중국, 일본, 인도를 중심으로 2022-12-30 연구보고서 미·중 전략 경쟁 시대 글로벌 기업의 대응과 중국진출 한국기업에 대한 시사점 2022-12-30 중장기통상전략연구 일본의 중장기 통상전략과 한·일 협력 방안 2022-12-30 연구보고서 한국-동남아 가치사슬 안정화를 위한 메콩지역 협력 방안 연구 2022-12-30 중장기통상전략연구 아세안의 중장기 통상전략과 한-아세안 협력 방안 2022-12-30 중장기통상전략연구 중국의 중장기 통상전략과 한중 협력 방안 2022-12-30 연구자료 방글라데시 기후변화 영향 분석 및 시사점 2022-12-30 연구보고서 인도의 신·재생에너지 시장 및 정책 분석과 한-인도 협력 방안 2022-12-30 ODA 정책연구 공공기관 ESG 현황과 경영전략: 해외사례를 중심으로 2022-11-21 연구보고서 미·중 경쟁 하 중남미의 GVC 참여와 RVC 구축 연구 2022-12-30
공공누리 OPEN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 출처표시, 상업용금지, 변경금지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표시기준 (공공누리, KOGL) 제4유형

대외경제정책연구원의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 금지 +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저작권정책 참조

콘텐츠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콘텐츠 만족도 조사

0/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