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간물
연구보고서
목록으로
미·중 전략경쟁의 장기화와 구조화 속에서 미국, 중국, 한국 3국은 동맹과 파트너십의 상호작용 속에서 자국의 국익과 가치를 극대화하는 길을 모색해야 하는 상황이다. 그런데 삼국 간의 상호 이해가 부족해 서로의 취약성을 공격하는 단기적 전략만을 수립하고 협력과 경쟁의 공간에 대한 장기 전략이 결여된 상태에 있어 상호 간에 잠재적 비용을 극대화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한·미·중 삼각관계를 다차원적 매트릭스로 개념화하는 접근법이 논의될 필요가 있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 미국, 중국 삼각관계의 복잡성에 대해 논의하면서 상호의존과 충돌의 지점을 살펴보는 데 있다. 한·미·중 삼각관계에서 나타나는 역학관계의 복잡성은 삼국 관계의 발전 가능성을 제한하고 전략 수립의 난이도를 높이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한·미·중 삼각관계를 이루고 있는 세 양자관계의 상호작용만 분석하는 것을 통해서는 입체적인 분석이 어렵다는 문제의식하에 출발한다. 단순히 양자관계의 상호작용 속에서 이루어지는 서로에 대한 기대(demand)와 핵심 이익에 대한 고려로 인한 갈등을 제시하는 것을 넘어서서 삼자관계를 하나의 단위로 파악함으로써 입체적이고 삼차원적인 분석의 가능성을 탐색하고자 한다.
교집합을 넓히고 차집합을 좁히는 것이 본 연구를 통해 미국과 한국이 지향해야 할 바이다. 한국은 미국과의 교집합을 넓히고 중국과의 차집합을 좁히는 전략적 방향을 추구해야 한다. 이를 통해 미국과의 신뢰관계를 강화하고 중국과 공존하는 공간을 넓힐 수 있기 때문이다. 한·미 관계의 교집합이 넓어지면 한·중 관계의 위기가 증대하는 것이 자연스러운 추세이지만, 상호 간의 핵심 이익과 레드라인을 파악하며 한·중 간의 교집합을 확대하다 보면 미·중 전략경쟁의 틈새와 공존의 공간을 발견하게 될 것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 미국, 중국 삼각관계의 복잡성에 대해 논의하면서 상호의존과 충돌의 지점을 살펴보는 데 있다. 한·미·중 삼각관계에서 나타나는 역학관계의 복잡성은 삼국 관계의 발전 가능성을 제한하고 전략 수립의 난이도를 높이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한·미·중 삼각관계를 이루고 있는 세 양자관계의 상호작용만 분석하는 것을 통해서는 입체적인 분석이 어렵다는 문제의식하에 출발한다. 단순히 양자관계의 상호작용 속에서 이루어지는 서로에 대한 기대(demand)와 핵심 이익에 대한 고려로 인한 갈등을 제시하는 것을 넘어서서 삼자관계를 하나의 단위로 파악함으로써 입체적이고 삼차원적인 분석의 가능성을 탐색하고자 한다.
교집합을 넓히고 차집합을 좁히는 것이 본 연구를 통해 미국과 한국이 지향해야 할 바이다. 한국은 미국과의 교집합을 넓히고 중국과의 차집합을 좁히는 전략적 방향을 추구해야 한다. 이를 통해 미국과의 신뢰관계를 강화하고 중국과 공존하는 공간을 넓힐 수 있기 때문이다. 한·미 관계의 교집합이 넓어지면 한·중 관계의 위기가 증대하는 것이 자연스러운 추세이지만, 상호 간의 핵심 이익과 레드라인을 파악하며 한·중 간의 교집합을 확대하다 보면 미·중 전략경쟁의 틈새와 공존의 공간을 발견하게 될 것이다.
In the context of the prolonged and structured U.S.-China strategic competition, the three countries which we examine - the United States, China, and the Republic of Korea (ROK) - must find ways to maximize their respective national interests and value. Nevertheless, due to a lack of mutual understanding between the three countries, they are focusing on attacking each other’s vulnerabilities rather than on long-term strategies for cooperation and competition, thus maximizing their costs. This study is motivated by the need to discuss an approach that conceptualizes the U.S.-China-ROK triangle as a multi-dimensional matrix to address these issues.
This study aims to examine points of conflict and interdependence within the trilateral relationship between the Republic of Korea, the United States, and China. As the dynamics in the trilateral relationship become more complex, progress can be limited and strategic planning becomes more challenging. Thus, this study begins with the premise that it is difficult to perform three-dimensional analysis by examining only the interaction of the three bilateral relationships that form a triangle. In addition to demonstrating the demand for each other, as well as conflicts that may result from consideration of core interests in the interaction of bilateral relations, this study seeks to explore the possibility of stereoscopic and three-dimensional analysis of trilateral relations as a whole.
Building upon this study, the United States and Republic of Korea should work in the direction of expanding their intersecting areas while reducing areas of divergence. The ROK’s strategy should be to increase convergence with the United States and decrease divergence with China. By doing so, it can expand the space for coexistence with China and strengthen its trust relationship with the United States. With the intersection of the U.S.-Korea relationship expanding, it is natural for crises in the Sino-Korea relationship to arise, but there are gaps and places of coexistence within the U.S.-China strategic competition if the parties understand each other’s priorities and red lines and expand the intersections within Korea-China relations.
This study aims to examine points of conflict and interdependence within the trilateral relationship between the Republic of Korea, the United States, and China. As the dynamics in the trilateral relationship become more complex, progress can be limited and strategic planning becomes more challenging. Thus, this study begins with the premise that it is difficult to perform three-dimensional analysis by examining only the interaction of the three bilateral relationships that form a triangle. In addition to demonstrating the demand for each other, as well as conflicts that may result from consideration of core interests in the interaction of bilateral relations, this study seeks to explore the possibility of stereoscopic and three-dimensional analysis of trilateral relations as a whole.
Building upon this study, the United States and Republic of Korea should work in the direction of expanding their intersecting areas while reducing areas of divergence. The ROK’s strategy should be to increase convergence with the United States and decrease divergence with China. By doing so, it can expand the space for coexistence with China and strengthen its trust relationship with the United States. With the intersection of the U.S.-Korea relationship expanding, it is natural for crises in the Sino-Korea relationship to arise, but there are gaps and places of coexistence within the U.S.-China strategic competition if the parties understand each other’s priorities and red lines and expand the intersections within Korea-China relations.
국문요약
제1부 시진핑 신시대 한·미·중 삼각관계의 복합성과 새로운 균형 모색
제1장 서론
1. 연구의 배경과 목적
2. 문제 제기
3. 연구 방법
제2장 시진핑 신시대의 중국
1. 시진핑 신시대의 함의
2. 민족주의와 사회주의 이념의 강화
제3장 미·중 전략경쟁의 영향
1. 시진핑 정부의 전략과 미국의 대응
2. 미국 탈동조화 전략의 한계
3. 전략경쟁으로 소모되는 미국과 중국의 국력
제4장 한·미·중 삼각관계에 대한 매트릭스 분석
1. 한·미·중 삼각관계의 복합성
2. 한·미·중 삼국의 상호의존성과 변화 요인
제5장 한·미·중 삼국의 새로운 균형 모색
1. 한·미·중 삼각관계의 양자적 교집합과 차집합
2. 삼각관계 속 한·미 동맹의 새로운 균형
3. 한국의 대중국 전략 목표와 새로운 균형
제6장 결론
1. 결론
2. 시사점
제2부 미국 싱크탱크 석학들과의 대담
1. 문제 제기
2. 미국 싱크탱크 전문가들과의 대담 및 세미나 정리
3. 미국 싱크탱크 및 석학들과의 대담이 남긴 것: 미국에 대한 재평가와 한국의 미래
참고문헌
Executive Summary
제1부 시진핑 신시대 한·미·중 삼각관계의 복합성과 새로운 균형 모색
제1장 서론
1. 연구의 배경과 목적
2. 문제 제기
3. 연구 방법
제2장 시진핑 신시대의 중국
1. 시진핑 신시대의 함의
2. 민족주의와 사회주의 이념의 강화
제3장 미·중 전략경쟁의 영향
1. 시진핑 정부의 전략과 미국의 대응
2. 미국 탈동조화 전략의 한계
3. 전략경쟁으로 소모되는 미국과 중국의 국력
제4장 한·미·중 삼각관계에 대한 매트릭스 분석
1. 한·미·중 삼각관계의 복합성
2. 한·미·중 삼국의 상호의존성과 변화 요인
제5장 한·미·중 삼국의 새로운 균형 모색
1. 한·미·중 삼각관계의 양자적 교집합과 차집합
2. 삼각관계 속 한·미 동맹의 새로운 균형
3. 한국의 대중국 전략 목표와 새로운 균형
제6장 결론
1. 결론
2. 시사점
제2부 미국 싱크탱크 석학들과의 대담
1. 문제 제기
2. 미국 싱크탱크 전문가들과의 대담 및 세미나 정리
3. 미국 싱크탱크 및 석학들과의 대담이 남긴 것: 미국에 대한 재평가와 한국의 미래
참고문헌
Executive Summary
판매정보
분량/크기 | 136 |
---|---|
판매가격 | 7,000 원 |
같은 주제의 보고서
단행본
미중갈등과 경제안보: 닉슨-저우언라이 회담록을 통한 교훈
2024-07-30
전략지역심층연구
우크라이나 전쟁과 세계질서 재편: 분야별 전망과 한국의 정책과제
2023-12-29
연구보고서
국제사회의 중국 담론에 대한 분석과 시사점
2023-12-29
연구보고서
영-미 사례를 통한 미중 패권 전환 가능성 분석: 무역, 금융, 안보, 다자주의를 중심으로
2023-12-29
전략지역심층연구
북한 기후변화 적응을 위한 국제협력방안: 농업과 자연재해를 중심으로
2022-12-20
세계지역전략연구
아세안 신흥안보 협력 강화를 위한 모델 구축에 관한 연구
2022-12-30
세계지역전략연구
한-인도네시아 포괄적 미래 협력 방안 연구
2022-12-30
중국종합연구
미중 전략경쟁시대 북중관계 변화와 우리의 대응방안
2022-12-30
연구보고서
미중 전략경쟁 시대 지정학적 리스크와 경제안보
2022-10-30
Policy Analysis
Challenges and Opportunities of Korea’s Foreign Policy as a Developed Country
2022-09-30
전략지역심층연구
미중 전략 경쟁 심화와 경제·안보의 블록화가 남북관계에 미치는 영향
2021-12-30
Working paper
A Theoretical Approach to Evaluating Global Vaccination Plans
2021-03-31
세계지역전략연구
미중 경쟁에 대한 호주의 전략적 대응과 시사점: 호주의 대중정책 변화를 중심으로
2022-05-20
연구보고서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아세안 공동체 변화와 신남방정책의 과제
2021-12-30
연구보고서
대북제재의 게임이론적 접근과 북한경제에 미치는 영향
2021-12-30
중국종합연구
외교적 마찰에 대한 중국의 대응 유형 및 영향 요인 분석
2021-12-30
연구보고서
미ㆍ중 갈등시대, 유럽의 대미ㆍ중 인식 및관계 분석: 역사적 고찰과 전망
2021-12-30
세계지역전략연구
아랍-이스라엘 데탕트 시대 역내 안보환경 변화와 한-중동 경제협력 확대 방안
2021-12-30
단행본
미국 바이든 행정부 시대 미중 전략경쟁과 한국의 선택 연구
2021-07-20
중장기통상전략연구
WTO 상소기구의 기능 변화와 전략적 통상정책
2020-12-30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표시기준 (공공누리, KOGL) 제4유형
대외경제정책연구원의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 금지 +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저작권정책 참조
콘텐츠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