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간물
세계지역전략연구
목록으로
본 연구의 목적은 2020년 아랍국가와 이스라엘 간 관계 정상화 이후 역내 정치 질서 변화와 경제협력을 전망하고, 우리나라와 아랍, 이스라엘 간 경제협력이 가능한 분야를 모색하는 것이다. 다시 말해 정세변화에 따른 역내 정치ㆍ안보 질서 변화와 함의를 다각도에서 분석하고, 우리의 대응 전략을 모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제2장에서는 아랍-이스라엘 데탕트의 배경과 전개 과정을 논의한다. 이란의 위협과 미국의 ‘단계적 중동 떠나기’가 궁극적으로 아랍과 이스라엘 간 협력을 불러왔다. 1979년 이란 이슬람혁명 이후 중동에서 아랍 순니 왕정국과 이란 이슬람혁명 세력 간 대결이 격화되었고, 더 나아가 이란의 이슬람혁명 세력은 팔레스타인 문제에 깊숙이 개입하여 이스라엘과 충돌하였다. 이러한 대결 양상은 현재진행형이다. 이와 함께 오바마 행정부 이래 미국의 아시아 회귀 정책과 단계적 중동 떠나기 전략 또한 아랍-이스라엘 데탕트를 초래하였다.
제3장에서는 아랍-이스라엘 데탕트 이후 역내 정치ㆍ안보 질서 변화를 살피고, 사우디아라비아, 바레인, UAE 등 순니 아랍국가와 이스라엘이 이란, 후시, 헤즈볼라의 시아 동맹과 벌이는 역내 영향력 대결 구도를 분석한다. 또한 아브라함 협정 체결 이후 친이슬람주의 성향의 카타르와 터키의 외교정책이 어떤 변화를 보이는지 들여다본다. 카타르는 이란과 터키와 우호적인 관계를 유지하고 있으며 최근 주변 걸프 국가와 관계 개선에 나서고 있다. 미국이 사우디아라비아 언론인 카슈끄지(Jamal Khashoggi) 살해 조사 보고서를 공개한 이후에도 UAE, 바레인, 카타르는 사우디아라비아 왕세자 무함마드 빈 살만 지지 의사를 밝혔다.
터키는 최근 미국과 유럽에 유화적인 태도를 견지하기 시작하였다. 특히 미국과 관계를 개선하려는 움직임이 감지된다. NATO 국가 중 두 번째로 큰 규모의 군대를 가진 터키는 비록 민주주의 규범에서 많이 어긋나있는 나라지만, 유럽 안보에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지정학적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미국과 중국이 신냉전 양상을 보이는 현 시점에서 바이든 정부가 터키와의 관계 설정에 가치와 이익의 균형을 어떻게 유지하느냐에 따라 터키-미국 관계가 재설정될 뿐 아니라, 역내에 심대한 파급효과를 불러올 수 있다.
제4장에서는 아랍-이스라엘 데탕트 이후 아랍국가와 이스라엘 간 경제협력 현황을 UAE와 이스라엘, 바레인과 이스라엘 간 경제협력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2021년 3월까지 이스라엘과 UAE는 86여 개의 양자협정과 협력관계를 맺었다. 양국의 경제협력 확대는 통계상으로도 확인할 수 있다. 2020년 8월 아브라함협정 체결 이후 약 1년 만에 양국간 교역량은 급증하였다. 이스라엘 중앙통계국(CBS)에 따르면 2020년 9월부터 2021년 7월까지 양국간 교역량은 약 5억 달러를 기록하였다. 2021년 상반기 이스라엘의 대UAE 수출은 1억 2천만 달러로 전년동기대비 14.4배 증가하였다. 2019년과 2020년 모두 이스라엘에서 UAE로부터의 수입이 보고된 바가 없었으나 2021년 상반기에만 약 2억 4천만 달러의 수입을 기록하였다. 2021년 상반기 교역 총량은 약 3억 6천만 달러로 전년동기대비 42.9배 증가한 수치이다.
이스라엘과 바레인은 2020년 10월, 양국간 8개 양해각서를 체결하였으며 이 중 5개가 경제협력 관련 내용을 담고 있다. 두 국가는 경제 및 교역, 항공, 정보통신, 농업, 금융 등의 분야에서 협력 의제를 공유하였다. 2020년 12월에는 기술협력, 혁신 및 기술이전, 중소기업 등에 대한 3개 협력 양해각서를 추가로 체결하였다. 협정 체결 이전까지 전무하던 이스라엘-바레인 간 교역량이 2021년 상반기 동안 30만 달러 수준으로 급증하였다.
끝으로 제5장에서는 보고서 전체의 분석내용을 요약하고 UAE를 비롯한 주요 중동국가와 우리나라의 경제협력 방향을 제안한다. 구체적으로 아랍-이스라엘 간 관계 변화에 따른 한-중동 경제협력의 새로운 기회와 도전을 발굴하기 위한 방안으로 현지 경제환경 변화에 대한 적극적인 모니터링, 한-이스라엘 FTA 활용을 통한 대중동 경제협력 확대, 나아가 한-이스라엘-UAE 간 3각 경제협력을 제안하고자 한다.
아랍-이스라엘 관계가 안정화되기까지는 여러 복잡한 지정학적 리스크의 해소에 많은 시간이 필요하다. UAE-이스라엘 경제협력 확대 등 새로운 변화에도 앞으로 상당한 부침이 예상되기 때문에 이에 대한 모니터링과 전략적 대응이 필수적이다. 개별 기업이 이를 예상하기가 쉽지 않으므로 정부 차원에서 중동 지역 정세나 경제협력에 대해 조사ㆍ전망하는 연구를 바탕으로 전략적 방향을 조율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배경 속에 중동에 진출하는 우리 기업은 역내 시장에서 이스라엘과 경합하는 문제에 소극적으로 대응하는 전략보다는 여러 가지 조건 속에서 역내 새로운 비즈니스 기회 창출을 모색하는 적극적인 전략을 취해야 할 것이다.
이스라엘과 중동 아랍국가 간 경제협력이 활성화되면서 이스라엘의 대중동 시장 디스카운트가 해소된다면 이스라엘을 거점으로 중동 시장에 수출하는 경로도 고려할 수 있게 된다. 한-이스라엘 FTA가 교역 외에도 투자, 기술협력, 벤처 창업 협력 등을 포괄하기 때문에, 이스라엘 내수 시장에 대한 접근성 확보뿐만 아니라 현지 투자나 합작 등을 통해 이스라엘 내에 거점을 두고 중동 역내 시장으로 진출할 수 있는 매개체로서 FTA가 역할을 할 수도 있다. 향후 이스라엘이 UAE 등 아랍국가와 자유무역협정을 체결하는 경우 한-이스라엘 FTA와 연계할 수 있는 방안도 모색해볼 수 있겠다.
나아가 한-이스라엘-UAE간 3각 경제협력도 고려해볼 수 있다. 3각 협력 당사자의 한 축인 UAE와 이스라엘이 역내 정치ㆍ외교적 갈등 경험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처음부터 상호협의하에 협력 사업을 발굴ㆍ기획하기에는 여러 난관이 예상된다. 오히려 그간 두터운 경제협력 관계를 형성해온 한ㆍUAE 및 한ㆍ이스라엘 양자 관계를 바탕으로 3자 간 시너지를 발휘할 수 있고 수요가 뚜렷한 분야를 찾아내는 방향이 좀 더 효율적일 것이다. 우리나라가 아랍ㆍ이스라엘 간 정치ㆍ외교적 문제에서 거리를 유지할 수 있어 경제적 유인을 강조할 수 있다는 점도 긍정적인 부분이다. 이런 측면에서 정부 및 공공 분야가 협력의 틀을 제시하되 궁극적으로 정경분리의 원칙에 입각하여 민간 분야의 경제협력이 지속될 수 있도록 우리나라가 UAE 및 이스라엘을 지속적으로 견인할 수 있는 구상과 역량 개발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dict changes in the regional order and economic cooperation in the Middle East after the normalization of relations between Arab countries and Israel in 2020 and to explore potential areas in economic cooperation between Korea, Israel, and the Arab World. In order words, it aims to infer changes in the political and security order in the Middle East and their implications from various viewpoints and to seek our response strategies.
Chapter 2 explores the idea that the Iranian threat and the United States withdrawal from the Middle East have led to the recent Arab-Israeli détente and their subsequent cooperation. After the Islamic Revolution in Iran in 1979, the conflict in the Middle East intensified along the fault line between the Arab Sunni monarchies and the Islamic Revolutionary forces of Iran. This confrontation is currently in progress. The Chapter also points out that since the Obama administration, the United States has pivoted to Asia, leaving the Middle East and leading from behind in the region, which has resulted in the current Arab-Israel détente.
Chapter 3 examines the transformations in the political and security order in the region after the Arab-Israeli détente and analyzes the confrontational process between the new détente alliance of Sunni Arab countries led by the UAE, Saudi Arabia, and Bahrain and Israel on the one hand, and the Shiite coalition of Iran, Houthi, and Hezbollah on the other. We examine the changes in the foreign policies of Qatar and Turkey, which are pro-Islamic, after the signing of the Abraham Accords. Qatar maintains friendly relations with Iran and Turkey and has recently been working to improve relations with the neighboring Gulf countries. The UAE, Bahrain and Qatar have expressed their support for Saudi Crown Prince Mohammed bin Salman after the United States released reports on the murder of Saudi journalist Jamal Khashoggi and the Crown Prince’s approval of the killing. Meanwhile, Turkey has recently begun to express a conciliatory attitude toward the United States and Europe. Turkey, with the second-largest military forces among NATO countries, occupies a key geopolitical position in safeguarding European security, even though it is far from a democratic country. Given that the strategic competition between the United States and China continues to grow, and that the Biden administration balances values and interests in reestablishing relations with Turkey, Turkey-US relations could not only be regenerated, but also have profound effects in the region.
Chapter 4 discusses increasing economic cooperation between Arab countries and Israel after the Arab-Israeli détente, specifically cooperation between the UAE and Israel and between Bahrain and Israel. By March 2021, UAE and Israel had signed more than 86 bilateral agreements. Since the signing of the Abraham Accords in September 2020, trade between the two countries has increased rapidly in about a year. According to the Central Bureau of Statistics of Israel (CBS), bilateral trade between the UAE and Israel recorded approximately $500 million from September 2020 to July 2021. Israel's exports to the UAE in the first half of 2021 amounted to $120 million, expanded by 14.4 times compared to the previous year period. In both 2019 and 2020, no Israeli import from the UAE was reported, but in the first half of 2021 alone, it recorded about $240 million. The total trade in the first half of 2021 was about $360 million, which is a 42.9 times increase from the same period of the previous year.
Bahrain and Israel signed eight bilateral agreements in October 2020, five of which were related to economic cooperation. The cooperation agenda covered fields of economy and trade, aviatio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agriculture, and finance. In December 2020, three additional memorandums of cooperation were signed on innovation and technology and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SMEs) development. While there was no trade between Israel and Bahrain before the signing of the Abraham Accords, the trade volume between the two countries during the first half of 2021 has reached $300,000.
Finally, Chapter 5 presents policy suggestions for expanding economic cooperation between Korea and major Middle Eastern countries, such as the UAE, based on the analysis of previous chapters. In so doing, it proposes several ways to discover new opportunities and chances in Korea-Middle East economic cooperation after Arab-Israeli relational changes, namely close monitoring on regional economic and political changes, utilizing the Korea-Israel FTA to find potential markets in the middle east, and triangular economic cooperation between Korea, Israel, and UAE. It will take a long time to stabilize the Arab-Israeli relationship because many complicated geopolitical factors need to be settled down and resolved. As significant ups and downs are expected in the future, even with new changes, including expanded UAE-Israel economic cooperation, Korea should prepare for any volatile situations and be ready for a strategic response to them. However, it is too complicated for individual companies to anticipate and prepare for such cases. Therefore, at the government level, it is necessary to inform and coordinate the strategic directions and forecast political and economic environments in the Middle East. At least for now, Korean companies entering the Middle East and targeting the Arab markets should take a proactive strategy of seeking to create new business opportunities rather than a passive, wait-and-see strategy, considering the competition with Israel in the same market.
If Israel's political disadvantage in the Middle East market is resolved as economic cooperation between Arab countries and Israel deepens, Korean firms can consider a new route of exporting to the Middle East market, promoting Israel as a reliable base. As the cooperation areas of the Korea-Israel FTA encompass investment, high technology, and venture start-up in addition to trade, the Korea-Israel FTA secures access to not only the Israeli domestic market but also to the wider Middle East market through joint ventures with and local investment in Israel as an effective and productive means. In the future, if Israel forms a free trade agreement with Arab countries, such as the UAE in particular, it seems feasible for Korea to explore ways to link such an agreement with the Korea-Israel FTA.
Given the fierce political and diplomatic confrontations that the UAE and Israel have experienced in the past, it requires a substantial effort to plan viable Korea-UAE-Israel trilateral cooperation projects from the beginning under mutual consultation among all three parties. Rather, it would be more effective and productive for Korea to start with the already consolidated, trust-based bilateral relations of either Korea-UAE or Korea-Israel in order to find a field in which the three parties can generate synergy and share mutual interests. It is again more feasible because Korea as a third party can keep a distance from Arab-Israeli confrontational issues and solely stress economic incentives. In this regard, Korea should incentivize the UAE and Israel to focus on private sectors with sufficient capacity-driven economic cooperation since the principle of separation of politics and economy will ultimately lead to the success of cooperation as long as the government and public sectors only have initiatives for cooperation.
국문요약
제1장 머리말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2. 연구의 범위 및 방법론
3. 연구의 구성 및 차별성
제2장 아랍-이스라엘 데탕트 배경과 전개
1. 아브라함협정과 아랍-이스라엘 데탕트 개요
2. 아랍-이스라엘 데탕트의 역사적 배경
3. 아랍-이스라엘 전략적 연대
4. 아랍-이스라엘 안보ㆍ경제협력
제3장 아랍-이스라엘 데탕트 이후 중동의 변화와 전망
1. 아랍-이스라엘 데탕트 이후 터키와 카타르
2. 아브라함협정의 도전과 한계
제4장 아브라함협정 이후 역내 경제협력 현황과 전망
1. 아브라함협정 당사국의 경제 구조 및 현황
2. 아브라함협정 이후 경제협력 현황
3. 이스라엘-UAE 경제협력 확대에 따른 교역 효과 분석
제5장 아랍-이스라엘 데탕트 시대의 한-중동 경제협력을 위한 제언
1. 이스라엘과 한국의 대GCC 수출 경합도 분석
2. 아랍-이스라엘 데탕트 전개에 대한 전망과 한-중동 경제협력 확대를 위한 제언
참고문헌
Executive Summary
판매정보
분량/크기 | |
---|---|
판매가격 | 7000 원 |
같은 주제의 보고서
세계지역전략연구
Exploring Urban Perception on Climate Change in Developing Countries
2024-08-29
연구보고서
시진핑 신시대 한∙미∙중 삼각관계의 복합성과 새로운 균형 모색
2024-07-29
단행본
2023 KIEP 정책연구 브리핑
2024-06-28
단행본
미중갈등과 경제안보: 닉슨-저우언라이 회담록을 통한 교훈
2024-07-30
전략지역심층연구
우크라이나 전쟁과 세계질서 재편: 분야별 전망과 한국의 정책과제
2023-12-29
연구보고서
대러 경제 제재가 러시아 경제에 미치는 영향과 한-러 경제협력 안정화 방안
2023-12-29
연구보고서
글로벌 경제안보 환경변화와 한국의 대응
2023-12-29
중장기통상전략연구
인도의 중장기 통상전략과 한·인도 협력 방안
2023-12-29
중장기통상전략연구
몽골의 중장기 통상전략과 한·몽골 협력 방안
2023-12-29
연구보고서
인도-태평양 전략 추진을 위한 한-태평양도서국 중장기 협력 방안
2023-12-29
연구보고서
미중 기술경쟁 시대 중국의 강소기업 육성전략과 시사점
2023-12-29
연구보고서
미중경쟁에 따른 아세안 역내 공급망 재편과 한국의 대응방안
2023-12-29
중장기통상전략연구
남아프리카공화국의 중장기 통상전략과 한·남아공 협력 방안
2023-12-29
연구자료
동티모르의 아세안 가입 지원 및 개발협력 확대 방안
2023-12-29
중장기통상전략연구
멕시코의 중장기 통상전략과 한·멕시코 협력 방안
2023-12-29
중장기통상전략연구
호주의 중장기 통상전략과 한·호주 협력 방안
2023-12-29
연구보고서
인도태평양 시대 한ㆍ인도 경제협력의 방향과 과제
2023-12-29
연구보고서
국제사회의 중국 담론에 대한 분석과 시사점
2023-12-29
연구보고서
인도 서비스 산업 구조 분석과 한-인도 산업 협력 확대 방안
2023-12-29
연구보고서
일본의 글로벌 공급망 리스크 관리와 한·일 간 협력방안 연구
2023-12-29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표시기준 (공공누리, KOGL) 제4유형
대외경제정책연구원의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 금지 +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저작권정책 참조
콘텐츠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