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전체보고서

발간물

목록으로
연구보고서 인도 산업발전 전망과 한·인도 산업협력 확대방안: 주요 제조업을 중심으로 경제협력, 산업정책

저자 이순철, 최윤정, 정재완, Prabir De 발간번호 07-11 자료언어 Korean 발간일 2007.12.30

원문보기(다운로드:1,315) 저자별 보고서 주제별 보고서

본 연구의 목적은 인도산업의 발전 가능성을 고찰하고 이를 바탕으로 한국의 대인도 산업협력 방향 및 방안을 제시하는 데 있다. 산업분석은 철강, 전자, 자동차, 석유화학, 섬유, 일반기계 등 인도의 6개 주요 제조업을 중심으로 산업정책, 산업성장, 무역구조 등의 현황과 성장가능성을 중심으로 검토한다. 이를 바탕으로 한국의 주요 산업과의 상관관계를 정성적 정량적 방법으로 고찰한 후 한국과의 산업협력 가능방향 및 방안을 제시한다. (생략)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ossibility of development of Indian industry and to use the study as a basis to propose direction and action plans for Korea-India industry cooperation. The analysis of industry is centered on steel and metal, electronics, automobiles and components, petro chemicals, textiles, and machinery, observes the commercial policies, industrial growth, trade structures, and potential for growth. The correlation between Indian and Korean industry will be analyzed using econometric and comparative methodology, and a proposal for bilateral industrial cooperation will be introduced. (The rest is omitted.)
서 언
국문요약

제 1장 서 론
1. 연구 목적
2. 연구 내용 및 방법

제2장 인도 산업정책 변화와 비전
1. 인도 산업정책 변화
2. 최근의 인도 산업정책 및 비전
가. 인도 중단기 산업정책 및 비전
나. 인도 산업의 중장기 비전
다. 인도의 무역자유화

제3장 인도 산업 및 무역구조 변화
1. 인도 산업 및 무역구조 변화
가. 산업구조 분석
나. 제조업구조 분석
다. 교역구조 분석
라. 투자 및 기업 동향 분석
2. 인도 주요 산업의 현황과 구조 변화 추이
가. 자동차
나. 철강
다. 석유화학
라. 전자
마. 섬유
바. 일반기계

제4장 인도 주요 산업의 발전 전망과 평가
1. 인도 산업의 발전 및 무역의 잠재성 전망
가. 이론적 배경 및 분석방법
나. 산업 발전 전망
다. 무역 변화 전망
2. 인도 산업발전의 평가와 과제

제5장 한ㆍ인도 산업협력 방향 및 과제
1. 산업협력의 주요 특징
가. 한ㆍ인도 교역협력 현황 및 특징
나. 직접투자 협력 현황 및 특징
2. 대인도 교역협력분야 분석
가. 자동차
나. 전자
다. 섬유
라. 철강
마. 석유화학
바. 일반기계
3. 양국간 산업협력 과제
가. 교역 및 투자 규모 확대
나. 남아시아 생산거점 확보 및 허브화
다. 제조업 분야별 협력 및 대응전략
라. 한국의 하드웨어와 인도의 소프트웨어 협력 확대
4. 산업협력 방향 및 방안
가. 산업협력 방향
나. 산업협력 방안
다. 산업분야별 협력방안

제6장 결 론

참고문헌
부록
Executive Summary

판매정보

분량/크기, 판매가격
분량/크기 184
판매가격 7000 원

구매하기 목록

같은 주제의 보고서

중장기통상전략연구 중국의 중장기 통상전략과 한중 협력 방안 2022-12-30 연구자료 방글라데시 기후변화 영향 분석 및 시사점 2022-12-30 연구보고서 인도의 신·재생에너지 시장 및 정책 분석과 한-인도 협력 방안 2022-12-30 연구보고서 중국 도시의 녹색전환 정책과 시사점 2022-12-30 연구보고서 미·중 경쟁 하 중남미의 GVC 참여와 RVC 구축 연구 2022-12-30 세계지역전략연구 한-인도네시아 포괄적 미래 협력 방안 연구 2022-12-30 연구자료 대러시아 제재가 중동부유럽 경제에 미치는 영향과 시사점 2022-12-30 중장기통상전략연구 EU의 중장기 통상전략과 한-EU 협력 방안 2022-12-30 세계지역전략연구 중남미 내 포퓰리즘 확산의 사회·경제적 영향과 시사점 2022-12-30 중장기통상전략연구 미국의 중장기 통상전략과 한·미 협력 방안 2022-12-30 연구보고서 바이든 행정부의 글로벌 공급망 재편 정책과 시사점: 반도체 및 배터리 산업을 중심으로 2022-12-30 연구자료 한-호주 공급망 협력 방향: 핵심광물과 수소를 중심으로 2022-12-30 세계지역전략연구 인도의 농업 경쟁력과 한-인도 협력 방안 2022-12-30 세계지역전략연구 한-MENA 녹색전환 협력 방안 2022-12-30 중국종합연구 2022년 중국종합연구 총서 정책연구과제 요약집 2022-12-30 세계지역전략연구 아프리카 문화콘텐츠 산업의 발전과 한국에 주는 함의 2022-12-30 연구보고서 미중 전략경쟁 시대 지정학적 리스크와 경제안보 2022-10-30 연구보고서 포스트 코로나 시대 주요국의 통화·재정정책 방향과 시사점 2021-12-30 세계지역전략연구 카타르의 지속가능한 성장 기반 구축 전략과 협력 시사점 2022-10-31 연구보고서 디지털 부문 혁신과 신북방 주요국의 구조 전환: 신북방 중진국과의 IT 협력을 중심으로 2021-12-30

콘텐츠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콘텐츠 만족도 조사

0/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