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보고서
발간물
전체보고서
목록으로
우리나라의 원조의 역사가 점점 길어지고 그와 더불어 원조의 규모가 증대하면서 소위 한국형 원조 모형을 구축해야 한다는 공감대가 확산되고 있다. 한국형 원조 모형이란 기존의 공여국과는 차별화되는 우리나라만의 고유한 특징과 비교우위를 가진 원조체제를 가리킨다고 할 수 있다. 한국형 원조모형 정립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은 널리 확산되어 있지만 그것을 위한 본격적인 시도는 많이 이루어지지 않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형 원조모형 정립에 참고하기 위해 다른 공여국들은 어떤 원조의 특징을 갖고 있으며, 그런 특징을 갖게 된 배경이 무엇인지를 살펴보는 것이다. 그리고 기존 공여국들이 가진 특징들을 기초로 몇 가지 모형으로 유형화하고 원조모형 결정요인을 고려할 때 우리는 어떤 모형을 선택하게 될 지를 검토하는 것이다. (생략)
Lately more and more experts say that Korea needs to make out itsown uniqueness in international aid activity soon. However, the study on what should be concretely 'Korean Model of foreign aid' has seldom been done, contrasting with a great deal of discussion on its necess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foreign aids of the advanced donor countries and classify them into a few categories according to their features. Furthermore, it is addressed what determines the feature of foreign aid of each country. Based on the analysis, the direction where Korea's foreign aid should go is suggested. (The rest is omitted.)
국문요약
제1장. 연구의 배경과 방법
1. 연구 배경
2. 기존 연구
3. 접근방법
제2장. 원조모형의 국제비교
1. 원조의 국제적 추세
가. 원조규모와 국별 비중
나. 원조의 지역별 배분
다. 원조의 수단과 분야
2. 원조모형의 유형화
3. 원조모형의 결정요인
제3장. 한국형 원조모형에 대한 시사점
1. 우리나라의 원조 현황
가. 원조규모
나. 원조의 배분
2. 원조규모에 대한 시사점
3. 원조목적에 대한 시사점
4. 원조 배분에 대한 시사점
제4장 우리나라의 적정 원조규모 추정
1. 추정방법
2. DAC 회원국의 원조규모 분석
3. 추정결과
제5장 맺음말
참고문헌
Executive Summary
제1장. 연구의 배경과 방법
1. 연구 배경
2. 기존 연구
3. 접근방법
제2장. 원조모형의 국제비교
1. 원조의 국제적 추세
가. 원조규모와 국별 비중
나. 원조의 지역별 배분
다. 원조의 수단과 분야
2. 원조모형의 유형화
3. 원조모형의 결정요인
제3장. 한국형 원조모형에 대한 시사점
1. 우리나라의 원조 현황
가. 원조규모
나. 원조의 배분
2. 원조규모에 대한 시사점
3. 원조목적에 대한 시사점
4. 원조 배분에 대한 시사점
제4장 우리나라의 적정 원조규모 추정
1. 추정방법
2. DAC 회원국의 원조규모 분석
3. 추정결과
제5장 맺음말
참고문헌
Executive Summary
판매정보
분량/크기 | 86 |
---|---|
판매가격 | 5000 원 |
같은 주제의 보고서
ODA 정책연구
Research on Household Consumption Patterns and Sustainable Development in India
2024-12-31
중국종합연구
대전환기의 대중국 전략 연구2
2024-12-31
중국종합연구
대전환기의 대중국 전략 연구1
2024-12-31
세계지역전략연구
인도의 인프라 정책 및 수요 분석과 한·인도 협력방안: 개발협력을 중심으로
2024-12-31
연구자료
홍해 위기가 우리 경제에 미친 영향과 물류 회랑 다변화에의 시사점
2025-05-27
기타
2024 KIEP 정책연구 브리핑
2025-04-30
기본연구보고서
일본의 핵심광물자원 확보전략과 한ㆍ일 협력 시사점
2024-12-31
기본연구보고서
한-아프리카 자원 협력을 통한 핵심광물 확보 전략
2024-12-30
중장기통상전략연구
인도의 데이터 거버넌스 분석과 한·인도 협력에 대한 시사점
2024-12-31
기본연구보고서
우크라이나 전쟁 이후 중앙아시아 글로벌 가치사슬 변화 전망과 한-중앙아 협력 시사점
2024-12-30
기본연구보고서
한국의 대중남미 통상환경 평가와 정책 과제
2024-12-30
세계지역전략연구
Strengthening Korea’s Economic and Development Cooperation with Africa: Focusing on Key Agendas of the 2024 Korea-Africa Summit
2024-12-31
기본연구보고서
걸프 국가의 아시아 중시 정책과 한국의 대응방안
2024-12-30
기본연구보고서
인도의 국영기업 주도 경제개발전략과 한국-인도 협력 방안
2024-12-31
세계지역전략연구
Exploring Urban Perception on Climate Change in Developing Countries
2024-08-29
기타
2023 KIEP 정책연구 브리핑
2024-06-28
기본연구보고서
대러 경제 제재가 러시아 경제에 미치는 영향과 한-러 경제협력 안정화 방안
2023-12-29
기본연구보고서
글로벌 경제안보 환경변화와 한국의 대응
2023-12-29
중장기통상전략연구
인도의 중장기 통상전략과 한·인도 협력 방안
2023-12-29
중장기통상전략연구
몽골의 중장기 통상전략과 한·몽골 협력 방안
2023-12-29

대외경제정책연구원의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 금지 +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저작권정책 참조
콘텐츠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