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보고서
발간물
전체보고서
목록으로
본 연구는 EU의 확대와 심화, 글로벌화의 급진전과 FTA 체결을 중심으로 한 지역주의의 확산, 중국경제의 부상에 따른 세계경제ㆍ무역구조의 판도변화, 이러한 세계경제 여건의 변화에 대한 EU의 대응 등 EU 역내외의 변화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한국의 대EU 중장기 통상전략의 방향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생략)
This report addresses where Korea's mid- and long-term strategies must be directed in order to effectively respond to the rapid change in the EU's internal and external territories such as the expansion and deepening of the EU, as well as the rapid globalization, the expansion of regionalism by free trade agreements(FTA), and the change of the global economy and trade structures landscapes by the rising of China's economy. (The rest is omitted.)
서 언
국문요약
제1장 서 론
1. 연구의 목적과 필요성
가. 연구의 필요성
나. 연구의 목적과 한계
2. 연구의 범위와 구성
제2장 EU의 경제 현황과 전망
1. EU 경제의 현황과 중장기 전망
가. 거시경제의 변화와 전망
나. 산업구조의 변화와 특징
다. 경제정책의 추이와 전망
2. EU의 대외경제관계 및 정책 전망
가. 무역구조 현황과 전망
나. 직접투자 추이와 전망
다. 과학기술협력의 현황과 전망
라. 대외통상정책의 추이와 전망
제3장 한ㆍEU 경제교류 및 통상이슈 현황과 전망
1. 경제교류
가. 무역
나. 직접투자
다. 과학기술
2. 주요 통상이슈 추이
가. 양자 이슈
나. 다자 이슈
제4장 주요국의 대EU 통상전략의 추이와 중장기 전망
1. 미국의 대EU 통상전략의 추이와 중장기 전망
가. 미국ㆍEU의 경제관계
나. 미국의 대EU 통상정책 추이
다. 미국의 대EU 통상전략의 중장기 전망
2. 중국의 대EU 통상전략의 추이와 중장기 전망
가. 중국ㆍEU의 경제관계
나. 중국의 대EU 통상정책 추이
다. 중국의 대EU 통상전략의 중장기 전망
3. 일본의 대EU 통상전략의 추이와 중장기 전망
가. 일본ㆍEU의 경제관계
나. 일본의 대EU 통상정책 추이
다. 일본의 대EU 통상전략 중장기 전망
제5장 한국의 대EU 중장기 통상전략의 기본방향과 분야별 전략
1. 중장기 통상전략의 기본방향
가. EU의 전략적 중요성
나. 한국의 대EU 중장기 통상전략의 기본방향
2. 분야별 통상전략
가. 시장확대
나. 투자확대
다. 과학기술협력
제6장 결 론
참고문헌
부록
Executive Summary
국문요약
제1장 서 론
1. 연구의 목적과 필요성
가. 연구의 필요성
나. 연구의 목적과 한계
2. 연구의 범위와 구성
제2장 EU의 경제 현황과 전망
1. EU 경제의 현황과 중장기 전망
가. 거시경제의 변화와 전망
나. 산업구조의 변화와 특징
다. 경제정책의 추이와 전망
2. EU의 대외경제관계 및 정책 전망
가. 무역구조 현황과 전망
나. 직접투자 추이와 전망
다. 과학기술협력의 현황과 전망
라. 대외통상정책의 추이와 전망
제3장 한ㆍEU 경제교류 및 통상이슈 현황과 전망
1. 경제교류
가. 무역
나. 직접투자
다. 과학기술
2. 주요 통상이슈 추이
가. 양자 이슈
나. 다자 이슈
제4장 주요국의 대EU 통상전략의 추이와 중장기 전망
1. 미국의 대EU 통상전략의 추이와 중장기 전망
가. 미국ㆍEU의 경제관계
나. 미국의 대EU 통상정책 추이
다. 미국의 대EU 통상전략의 중장기 전망
2. 중국의 대EU 통상전략의 추이와 중장기 전망
가. 중국ㆍEU의 경제관계
나. 중국의 대EU 통상정책 추이
다. 중국의 대EU 통상전략의 중장기 전망
3. 일본의 대EU 통상전략의 추이와 중장기 전망
가. 일본ㆍEU의 경제관계
나. 일본의 대EU 통상정책 추이
다. 일본의 대EU 통상전략 중장기 전망
제5장 한국의 대EU 중장기 통상전략의 기본방향과 분야별 전략
1. 중장기 통상전략의 기본방향
가. EU의 전략적 중요성
나. 한국의 대EU 중장기 통상전략의 기본방향
2. 분야별 통상전략
가. 시장확대
나. 투자확대
다. 과학기술협력
제6장 결 론
참고문헌
부록
Executive Summary
판매정보
분량/크기 | 272 |
---|---|
판매가격 | 10000 원 |
같은 주제의 보고서
연구보고서
국경간 전자상거래가 글로벌 가치사슬에 미치는 영향
2022-12-30
연구보고서
경제안보 이슈의 부상과 대외협력 방향
2022-12-30
세계지역전략연구
주요국의 대남아시아 경제협력전략과 정책 시사점: 중국, 일본, 인도를 중심으로
2022-12-30
연구보고서
미·중 전략 경쟁 시대 글로벌 기업의 대응과 중국진출 한국기업에 대한 시사점
2022-12-30
중장기통상전략연구
일본의 중장기 통상전략과 한·일 협력 방안
2022-12-30
연구보고서
한국-동남아 가치사슬 안정화를 위한 메콩지역 협력 방안 연구
2022-12-30
중장기통상전략연구
아세안의 중장기 통상전략과 한-아세안 협력 방안
2022-12-30
중장기통상전략연구
중국의 중장기 통상전략과 한중 협력 방안
2022-12-30
연구자료
방글라데시 기후변화 영향 분석 및 시사점
2022-12-30
연구보고서
인도의 신·재생에너지 시장 및 정책 분석과 한-인도 협력 방안
2022-12-30
연구보고서
미·중 경쟁 하 중남미의 GVC 참여와 RVC 구축 연구
2022-12-30
세계지역전략연구
한-인도네시아 포괄적 미래 협력 방안 연구
2022-12-30
연구자료
대러시아 제재가 중동부유럽 경제에 미치는 영향과 시사점
2022-12-30
중장기통상전략연구
EU의 중장기 통상전략과 한-EU 협력 방안
2022-12-30
세계지역전략연구
중남미 내 포퓰리즘 확산의 사회·경제적 영향과 시사점
2022-12-30
중장기통상전략연구
미국의 중장기 통상전략과 한·미 협력 방안
2022-12-30
연구자료
한-호주 공급망 협력 방향: 핵심광물과 수소를 중심으로
2022-12-30
세계지역전략연구
한-MENA 녹색전환 협력 방안
2022-12-30
중국종합연구
2022년 중국종합연구 총서 정책연구과제 요약집
2022-12-30
세계지역전략연구
아프리카 문화콘텐츠 산업의 발전과 한국에 주는 함의
2022-12-30
콘텐츠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