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전체보고서

발간물

목록으로
연구자료 한국의 주요국별ㆍ지역별 중장기 통상전략 :중화권 경제통합, 경제협력

저자 양평섭, 여지나, 박현정, 배승빈 발간번호 07-13 자료언어 Korean 발간일 2007.12.30

원문보기(다운로드:816) 저자별 보고서 주제별 보고서

WTO 가입 이후 세계경제에서 중국이 차지하는 위상이 높아지면서 경제대국으로서의 책임론이 확산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중국도 보호주의적 통상정책에서 벗어나 적극적인 통상전략으로 전환하고 있다. 한편 중화권 내에서는 중국-홍콩-대만을 잇는 하나의 경제권 형성이 가속화되고 있어 이러한 변화에 맞는 새로운 대중화권 통상전략 수립이 필요한 시점이다. (생략)
Since entering into the WTO, China has turned its protective foreign-trade policies into more engaging ones, as it is expected to reach a responsible attitude corresponding to its higher position in the global economy. Moreover, the economic relations between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Hong Kong Special Administration Region, and Taiwan have accelerated the formulation of the greater Chinese economic sphere. These changes urge us to tackle a paradigm shift in the strategic trade policies toward a greater China. (The rest is omitted.)
서 언
국문요약

제1장 서 론
1. 연구 목적
2. 연구 범위와 내용

제2장 중장기 중화권 경제 전망
1. 중화권의 경제 동향과 중장기 전망
가. 중화권의 경제 동향
나. 중화권 경제협력의 도전 과제와 대만ㆍ홍콩의 역할 변화
다. 중화권의 중장기 경제발전 목표와 전망
2. 중화권 내 경제교류 관계 현황과 전망
가. 중화권 내 무역협력 현황과 전망
나. 중화권 내 투자협력 현황과 전망
다. 중화권 내 FTA 현황과 전망
3. 중화권의 협력과 경쟁: 금융 및 물류산업을 중심으로
가. 중화권 내 금융협력 현황과 허브경쟁
나. 중화권 내 물류산업 재편과 경쟁 심화

제3장 한국의 대중화권 경제협력 현황과 주요 이슈
1. 무역관계
가. 한국의 대중화권 무역협력 현황
나. 한ㆍ중 간 분업구조
2. 투자관계
가. 투자 현황
나. 투자협력 여건 변화와 전망
3. 한국의 대중화권 FTA 추진 현황
가. 한국의 FTA 추진 현황과 전략
나. 대중화권 FTA 추진 현황
4. 기타 분야의 협력과 경쟁관계
가. 금융협력과 금융허브 경쟁협력
나. 물류협력과 물류허브 경쟁
다. 에너지협력
라. 기술개발협력

제4장 주요국의 대중화권 경제협력 현황과 통상전략
1. 미국
가. 미국의 중장기 대중국 경제협력 전망
나. 미국의 중장기 대중국 통상전략
2. EU
가. EU의 중장기 경제협력 전망
나. EU의 중장기 대중국 통상전략
3. 일본
가. 일본의 중장기 대중국 경제협력 전망
나. 일본의 중장기 대중국 통상전략
4. 대중국 통상정책 비교

제5장 한국의 대중화권 통상전략
1. 중장기 대중화권 통상환경 평가
2. 대중화권 중장기 통상정책 방향과 주요 과제
가. 포괄적 협력관계 구축 과제
나. 중국효과(China Effect)를 지속시키기 위한 과제
다. 대중 통상 협상력 제고방안
3. 분야별 통상협력 전략과 과제
가. 무역분야: 무역역조시대의 대비
나. 투자협력: China+1 전략과 쌍방향 투자시대의 대비
다. 포괄적 한ㆍ중 FTA 추진
라. 기타 분야 협력: 협력과 경쟁

참고문헌
Executive Summary

판매정보

분량/크기, 판매가격
분량/크기 210
판매가격 10000 원

구매하기 목록

같은 주제의 보고서

연구보고서 경제안보 이슈의 부상과 대외협력 방향 2022-12-30 세계지역전략연구 주요국의 대남아시아 경제협력전략과 정책 시사점: 중국, 일본, 인도를 중심으로 2022-12-30 연구보고서 미·중 전략 경쟁 시대 글로벌 기업의 대응과 중국진출 한국기업에 대한 시사점 2022-12-30 중장기통상전략연구 일본의 중장기 통상전략과 한·일 협력 방안 2022-12-30 연구보고서 한국-동남아 가치사슬 안정화를 위한 메콩지역 협력 방안 연구 2022-12-30 중장기통상전략연구 아세안의 중장기 통상전략과 한-아세안 협력 방안 2022-12-30 중장기통상전략연구 중국의 중장기 통상전략과 한중 협력 방안 2022-12-30 연구자료 방글라데시 기후변화 영향 분석 및 시사점 2022-12-30 연구보고서 인도의 신·재생에너지 시장 및 정책 분석과 한-인도 협력 방안 2022-12-30 연구보고서 미·중 경쟁 하 중남미의 GVC 참여와 RVC 구축 연구 2022-12-30 세계지역전략연구 한-인도네시아 포괄적 미래 협력 방안 연구 2022-12-30 연구자료 대러시아 제재가 중동부유럽 경제에 미치는 영향과 시사점 2022-12-30 중장기통상전략연구 EU의 중장기 통상전략과 한-EU 협력 방안 2022-12-30 세계지역전략연구 중남미 내 포퓰리즘 확산의 사회·경제적 영향과 시사점 2022-12-30 중장기통상전략연구 미국의 중장기 통상전략과 한·미 협력 방안 2022-12-30 연구자료 한-호주 공급망 협력 방향: 핵심광물과 수소를 중심으로 2022-12-30 연구보고서 노동소득분배 결정요인 분석과 정책적 시사점 2022-12-30 세계지역전략연구 한-MENA 녹색전환 협력 방안 2022-12-30 중국종합연구 2022년 중국종합연구 총서 정책연구과제 요약집 2022-12-30 세계지역전략연구 아프리카 문화콘텐츠 산업의 발전과 한국에 주는 함의 2022-12-30

콘텐츠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콘텐츠 만족도 조사

0/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