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보고서
발간물
전체보고서
목록으로
최근 인도의 경제성장이 세계 각국의 주목을 받고 있다. 인도는 1991년 7월 외환위기 이후 적극적인 개혁ㆍ개방정책을 실시함으로써 최근 10여 년간 연평균 6% 이상의 경제성장을 달성하고 있다. 또한 인도경제는 몬순(계절풍)에 많은 영향을 받는 농업부문의 역할이 크게 줄어든 반면 IT산업을 중심으로 한 서비스업부문이 GDP의 약 55%를 담당함으로써 경제 전체의 안정성이 크게 높아졌다. (생략)
India is getting worldwide attention for its remarkable current economic growth which is partly driven by its active reform and opening economic policy after the foreign exchange crisis in July 1991. Since then, India has achieved a more than average 6 percent economic growth and developed a more solid and sound economic structure. Its monsoon dependent agriculture sector decreased its proportion in overall economy to less than 20 percent, while the IT-led service sector assumed about 55% of India's total GDP. (The rest is omitted.)
서언
국문요약
제1장 서 론
제2장 인도경제의 현황과 발전전망
1. 인도경제의 현황
2. 인도경제의 성장 전망과 제약요인
가. 인도경제의 성장 전망
나. 인도 경제성장의 제약요인과 극복 가능성
3. 인도 신정부의 경제정책
제3장 인도의 수출입정책
1. 인도의 수출정책
가. 수출업 등록과 수출상품 검사
나. 수출제한과 정부기구의 독점적 수출제도
다. 수출보조정책
라. 경제특구
2. 인도의 수입정책
가. 수입절차와 상품의 가치평가
나. 수입관세
다. 수입규제와 국영기업의 독점수입
라. 반덤핑과 긴급수입제한
3. 인도의 수출입 산업정책
가. 주요 산업정책
나. 세제를 통한 산업지원
다. 공기업부문의 축소
제4장 한ㆍ인도 교역과 수출산업의 경쟁력 비교
1. 인도의 대세계 교역구조
2. 한국의 전 세계 및 대인도 교역 현황
3. 한국과 인도의 관세구조
4. 한국과 인도의 수출산업경쟁력 분석
가. 수출경합도지수 분석을 통한 경쟁관계 분석
나. 무역특화지수를 이용한 한국과 인도의 경쟁력 분석
다. 현시비교우위지수와 시장비교우위지수를 이용한 수출상품의 경쟁력 분석
제5장 인도의 FDI 정책과 한ㆍ인도 투자협력
1. 인도 FDI 정책의 변화
가. 외국인 직접투자에 대한 통제와 국유화
나. 기술이전을 수반한 전략적 제휴의 활성화
다. 외국인투자에 대한 규제완화
2. 한국과 인도의 투자협력 현황
3. 한국의 대인도 진출 확대방안
가. 자동차
나. 철강
다. 석유화학
라. 섬유
마. 정보기술
바. 통신
사. 건설ㆍ인프라와 자원개발
제6장 한국과 인도의 잠재교역량 추정
1. Gravity Model을 이용한 한ㆍ인도의 잠재교역량 추정
가. Gravity Model과 교역 확대 가능성
나. 함시창의 모형을 이용한 추정
다. Carrillo와 Li의 모형을 이용한 추정
라. Harris와 Matyas의 모형을 이용한 추정
2. CGE Model을 이용한 한ㆍ인도의 잠재교역량 추정
가. 모형 설정과 파라미터
나. 분석결과
3. 한국과 인도의 교역확대 방안
제7장 결론 및 정책적 시사점
참고문헌
부록
Executive Summary
국문요약
제1장 서 론
제2장 인도경제의 현황과 발전전망
1. 인도경제의 현황
2. 인도경제의 성장 전망과 제약요인
가. 인도경제의 성장 전망
나. 인도 경제성장의 제약요인과 극복 가능성
3. 인도 신정부의 경제정책
제3장 인도의 수출입정책
1. 인도의 수출정책
가. 수출업 등록과 수출상품 검사
나. 수출제한과 정부기구의 독점적 수출제도
다. 수출보조정책
라. 경제특구
2. 인도의 수입정책
가. 수입절차와 상품의 가치평가
나. 수입관세
다. 수입규제와 국영기업의 독점수입
라. 반덤핑과 긴급수입제한
3. 인도의 수출입 산업정책
가. 주요 산업정책
나. 세제를 통한 산업지원
다. 공기업부문의 축소
제4장 한ㆍ인도 교역과 수출산업의 경쟁력 비교
1. 인도의 대세계 교역구조
2. 한국의 전 세계 및 대인도 교역 현황
3. 한국과 인도의 관세구조
4. 한국과 인도의 수출산업경쟁력 분석
가. 수출경합도지수 분석을 통한 경쟁관계 분석
나. 무역특화지수를 이용한 한국과 인도의 경쟁력 분석
다. 현시비교우위지수와 시장비교우위지수를 이용한 수출상품의 경쟁력 분석
제5장 인도의 FDI 정책과 한ㆍ인도 투자협력
1. 인도 FDI 정책의 변화
가. 외국인 직접투자에 대한 통제와 국유화
나. 기술이전을 수반한 전략적 제휴의 활성화
다. 외국인투자에 대한 규제완화
2. 한국과 인도의 투자협력 현황
3. 한국의 대인도 진출 확대방안
가. 자동차
나. 철강
다. 석유화학
라. 섬유
마. 정보기술
바. 통신
사. 건설ㆍ인프라와 자원개발
제6장 한국과 인도의 잠재교역량 추정
1. Gravity Model을 이용한 한ㆍ인도의 잠재교역량 추정
가. Gravity Model과 교역 확대 가능성
나. 함시창의 모형을 이용한 추정
다. Carrillo와 Li의 모형을 이용한 추정
라. Harris와 Matyas의 모형을 이용한 추정
2. CGE Model을 이용한 한ㆍ인도의 잠재교역량 추정
가. 모형 설정과 파라미터
나. 분석결과
3. 한국과 인도의 교역확대 방안
제7장 결론 및 정책적 시사점
참고문헌
부록
Executive Summary
판매정보
분량/크기 | 250 |
---|---|
판매가격 | 10000 원 |
같은 주제의 보고서
세계지역전략연구
Exploring Urban Perception on Climate Change in Developing Countries
2024-08-29
단행본
2023 KIEP 정책연구 브리핑
2024-06-28
연구보고서
대러 경제 제재가 러시아 경제에 미치는 영향과 한-러 경제협력 안정화 방안
2023-12-29
연구보고서
글로벌 경제안보 환경변화와 한국의 대응
2023-12-29
중장기통상전략연구
인도의 중장기 통상전략과 한·인도 협력 방안
2023-12-29
중장기통상전략연구
몽골의 중장기 통상전략과 한·몽골 협력 방안
2023-12-29
연구보고서
인도-태평양 전략 추진을 위한 한-태평양도서국 중장기 협력 방안
2023-12-29
연구보고서
미중 기술경쟁 시대 중국의 강소기업 육성전략과 시사점
2023-12-29
연구보고서
미중경쟁에 따른 아세안 역내 공급망 재편과 한국의 대응방안
2023-12-29
중장기통상전략연구
남아프리카공화국의 중장기 통상전략과 한·남아공 협력 방안
2023-12-29
연구자료
동티모르의 아세안 가입 지원 및 개발협력 확대 방안
2023-12-29
중장기통상전략연구
멕시코의 중장기 통상전략과 한·멕시코 협력 방안
2023-12-29
중장기통상전략연구
호주의 중장기 통상전략과 한·호주 협력 방안
2023-12-29
연구보고서
인도태평양 시대 한ㆍ인도 경제협력의 방향과 과제
2023-12-29
연구보고서
인도 서비스 산업 구조 분석과 한-인도 산업 협력 확대 방안
2023-12-29
연구보고서
일본의 글로벌 공급망 리스크 관리와 한·일 간 협력방안 연구
2023-12-29
연구보고서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이 EU의 '개방형 전략적 자율성' 확대에 미친 영향: 에너지 전환, 인적 교류, 안보 통합을 중심으로
2023-12-30
연구보고서
중동부유럽으로의 EU 확대 평가와 향후 전망
2023-12-29
중국종합연구
한중 탄소중립 협력 활성화 방안 연구
2023-12-29
중국종합연구
2023년 중국종합연구 총서 정책연구과제 요약집
2023-12-29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표시기준 (공공누리, KOGL) 제4유형
대외경제정책연구원의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 금지 +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저작권정책 참조
콘텐츠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