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보고서
발간물
전체보고서
목록으로
Working paper
North Korea’s Economic Reform Under An International Framework
경제협력, 북한경제
저자 이종운 발간번호 04-09 자료언어 English 발간일 2004.11.25
본 보고서에서는 북한의 경제회복과 장기적으로 북한의 개혁 개방을 유도하기 위한 남북경협의 역할을 살펴보았다. 또한 북한문제의 해결을 위한 다자간 국제협력방식에서 주요 관련국과 국제기구의 예상되는 역할과 과제를 논의하였다. (생략)
This paper endeavors to draw a picture showing the expected roles of important players in North Korea's economic reform. It explores the roles of inter-Korean economic cooperation in North Korea's rehabilitation and transition. The measures needed to be taken to encourage North Korea integration with the world economy are also studied, as North Korean issues are closely related to the interests of neighboring powers. (The rest is omitted.)
Executive Summary
I. Introduction
II. Tasks for South Korea in Inducing North Korea's Economic Reform
1. A Review of Economic Assistance from South Korea
2. Facilitation of Stable Inter-Korean Economic Relations through Institutionalization
3. Economic Assistance Aimed at Bottom-Up Changes through the Expansion of Private Economy Activities
4. The Activation of New Special Economic Zones as Instruments for Economic Openness
III. International Cooperation for Inducing Economic Reform in North Korea
1. Further Relaxation of U.S. Economic Sanctions
2.China's Role in Resolving North Korea's Nuclear Issues and Influencing Economic Transition
3. Economic Assistance from Japan through Diplomatic Normalization
4. The Expansion of Regional Cooperation Projects with Russia
5. The European Union's Humanitarian and Development Assistance
6. Expected Roles of International Financial Institutions
IV. Conclusion
References
I. Introduction
II. Tasks for South Korea in Inducing North Korea's Economic Reform
1. A Review of Economic Assistance from South Korea
2. Facilitation of Stable Inter-Korean Economic Relations through Institutionalization
3. Economic Assistance Aimed at Bottom-Up Changes through the Expansion of Private Economy Activities
4. The Activation of New Special Economic Zones as Instruments for Economic Openness
III. International Cooperation for Inducing Economic Reform in North Korea
1. Further Relaxation of U.S. Economic Sanctions
2.China's Role in Resolving North Korea's Nuclear Issues and Influencing Economic Transition
3. Economic Assistance from Japan through Diplomatic Normalization
4. The Expansion of Regional Cooperation Projects with Russia
5. The European Union's Humanitarian and Development Assistance
6. Expected Roles of International Financial Institutions
IV. Conclusion
References
판매정보
분량/크기 | 126 |
---|---|
판매가격 | 7000 원 |
같은 주제의 보고서
중국종합연구
대전환기의 대중국 전략 연구2
2024-12-31
중국종합연구
대전환기의 대중국 전략 연구1
2024-12-31
세계지역전략연구
인도의 인프라 정책 및 수요 분석과 한·인도 협력방안: 개발협력을 중심으로
2024-12-31
연구자료
홍해 위기가 우리 경제에 미친 영향과 물류 회랑 다변화에의 시사점
2025-05-27
기타
2024 KIEP 정책연구 브리핑
2025-04-30
기본연구보고서
일본의 핵심광물자원 확보전략과 한ㆍ일 협력 시사점
2024-12-31
기본연구보고서
한-아프리카 자원 협력을 통한 핵심광물 확보 전략
2024-12-30
기본연구보고서
위성자료를 활용한 북한 소비시장 변화와 무역에 관한 연구
2024-12-31
중장기통상전략연구
인도의 데이터 거버넌스 분석과 한·인도 협력에 대한 시사점
2024-12-31
기본연구보고서
우크라이나 전쟁 이후 중앙아시아 글로벌 가치사슬 변화 전망과 한-중앙아 협력 시사점
2024-12-30
기본연구보고서
한국의 대중남미 통상환경 평가와 정책 과제
2024-12-30
전략지역심층연구
민족공동체 통일방안의 재고찰 및 주변국의 인식 분석
2024-12-30
기본연구보고서
걸프 국가의 아시아 중시 정책과 한국의 대응방안
2024-12-30
기본연구보고서
인도의 국영기업 주도 경제개발전략과 한국-인도 협력 방안
2024-12-31
세계지역전략연구
Exploring Urban Perception on Climate Change in Developing Countries
2024-08-29
전략지역심층연구
위성자료를 활용한 북한경제 분석 방법론 연구
2024-06-28
기타
2023 KIEP 정책연구 브리핑
2024-06-28
기본연구보고서
대러 경제 제재가 러시아 경제에 미치는 영향과 한-러 경제협력 안정화 방안
2023-12-29
기본연구보고서
글로벌 경제안보 환경변화와 한국의 대응
2023-12-29
중장기통상전략연구
인도의 중장기 통상전략과 한·인도 협력 방안
2023-12-29

대외경제정책연구원의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 금지 +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저작권정책 참조
콘텐츠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