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전체보고서

발간물

목록으로
Working paper The Structural Transformation of the Japanese Enterprise Groups after the Economic Recession of the 1990s 기업경영

저자 최용석 발간번호 99-32 자료언어 English 발간일 1999.12.30

원문보기(다운로드:615) 저자별 보고서 주제별 보고서

일본이 산업화를 시작한 19세기 후반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 일본 경제의 최전선에는 몇 개의 거대한 기업집단들이 존재해왔으며, 현재에는 미쓰이(三井), 미쓰비시(三菱), 스미토모(住友), 산와(三和), 다이이찌간교(第一勸業) 및 후요(芙蓉))의 6대 企業集團이 사회적 관심은 물론 주요 연구대상이 되곤 한다.

企業集團은 전후 (재)형성된 후 일본경제의 성장기(50년대 후반∼60년대)를 거쳐오면서 系列구조를 더욱 확고히 하였으며, 일시적 시련기(70년대 두 차례의 오일파동)를 지나면서도 비교적 안정된 조직구조를 유지하여 온 것으로 평가 받고 있다. 하지만 이와 같은 계열구조도 90년대의 경기침체를 겪으면서 다소 완화되는 모습을 보였으며, 특히 현재 진행되고 있는 금융권과 산업권의 강력한 구조조정작업에 의해 향후 상당한 변화를 겪을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기업집단에 있어 특히 금융업종은 핵심중의 핵심 사업부문이라 할 수 있다. 기업집단의 (재)형성 자체가 戰前 財閥 계열의 도시은행을 통해 이루어졌을 뿐만 아니라, 특정 금융기관은 동일 기업집단에 속한 계열회사의 주요 자금 공급원의 역할을 수행해 왔기 때문이다. 따라서 경제위기 극복을 위한 우선적 처방전으로서 정부에 의한 대대적인 금융권 개혁은, 계열 금융기관을 바탕으로 존립하며 성장해 온 기업집단의 구조에 지대한 영향을 미칠 수밖에 없다.

현재 진행되고 있는 일본정부의 금융개혁 조치는 ①금융구조개혁법의 실시에 따른 공적자금 투입 ②금융지주회사의 설립 허용 ③예금자(완전)보호법 철폐 ④회계 개혁, 그리고 ⑤외국자본의 일본금융시장 진입 허용 및 경쟁촉진 등의 방법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이와 같은 조치들이 성공적으로 수행될 경우, 기업집단내 계열회사간 상호지분비율 완화, 직접금융에 의한 자본조달 비중 확대, 기업집단의 투명성 증대 및 내부노동시장의 변화 등이 예상된다. 이의 결과 기업집단의 핵심인 금융기관과 기업집단 소속 기업과의 연결고리 뿐만 아니라, 회계방식의 개혁으로 인해 기업집단내 모기업과 자회사간의 관계마저 단절될 가능성도 있다.

이와 같은 변화가, 경제적 이익의 극대화나 효율성 증대를 위한 기업집단의 자발적인 의지에 의해서가 아니라, 사회적 자원의 선택적 분배를 통해 경제발전의 효과를 극대화 시켜왔던 일본형 발전국가(developmental state)의 역할에 한계를 체감한 自民黨정권에 의해 주도적으로 추진되고 있다는 사실 또한 간과할 수 없다. 즉, 현재 추진되고 있는 일본의 금융·기업부문 개혁조치는 경제구조의 체질개선을 통한 일본경제 재도약을 위해서 뿐만 아니라, 이의 성공적 완수를 통한 자민당의 집권연장이라는 정치적 고려마저 작용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이로 인해 기업집단의 계열구조는 현재까지의 어떠한 요인에 의해서 보다 그 변화 가능성이 훨씬 크다고 할 수 있으며, 궁극적으로 계열구조의 와해 및 기업집단의 해체 가능성을 예단하는 것도 무리가 아닐 것이다.
This paper argues that the ongoing restructuring process and big bang acceleration in Japan's financial sector precipitate changes in the organizational structure and corporate governance of the 'kigyo-shudan,' or bank-centered, enterprise groups. It pays particular attention to the effect of the government restructuring policies on the enterprise groups as they deal with these changes, and maintains that their structural transformation can best be understood if equal emphasis is placed on examining both institutional and economic factors.

The organizational structure of Japan's six enterprise groups - Mitsui, Mitsubishi, Sumitomo, Fuyo, Sanwa, and Dai-Ichi Kangyo - was considered to have been well entrenched since having been (re)established after World War II.
Typically classified as organizational isomorphisms, they are characterized by the 'keiretsu' structure, meaning a vertical alignment of firms of different sizes. Each enterprise group consists of member firms that are connected horizontally, often active in different industries. A member firm maintains vertically aligned and affiliated subsidiary firms. These subsidiary firms are, in addition, affiliated with many medium and small sized subcontracting firms ranked as either primary, secondary, or tertiary, depending on size and closeness. Also, each enterprise group has its own banks, insurance companies, and trading firms for the common financial and distributive needs of the member firms.

Once established, the organizational structure of the postwar business combine is considered to have become entrenched thereafter, referred to either as an 'intermarket group' (Dodwell 1984), or 'financial keiretsu,' or 'kigyo-shudan (enterprise group).' However, with the implementation of the major financial reform policies of the Japanese government after the economic recession of the 1990s aimed at revitalizing the economy, the keiretsu structure is considered to have entered a phase of rapid transition. If ongoing financial reform measures are implemented successfully, the kigyo-shudan will no longer be able to preserve their current structures, because financial institutions have so far acted as their de facto holding companies.

The financial reform measures include the enactment of the financial system reform law, legalization of the financial holding company, withdrawal of the full-deposit protection scheme, corporate accounting reform and the boosting of foreign competition. As a result of these measures, the unwinding of cross shareholdings in the enterprise groups is being accelerated, the role of capital market financing is increasing, greater transparency is required, the 'national' identity of the enterprise groups is withering and their internal labor market is changing.

The above statement implies that the current structural transformation of the Japanese enterprise groups is attributable not only to their efforts at adapting to the changing market environment, but also to the legitimizing efforts of the crisis-ridden state under environmental uncertainties. The 'political repercussions' of the economic crisis threatened the state and caused it to respond with counter-crisis policies for legitimation, in the form of socio-political and economic reforms. The policies of the legitimacy-pressured state led to the institutionalized sanctioning of the business practices and economic activities of the Japanese enterprise groups, resulting in controlled market behavior. As a result, the possibility is greater than ever that the keiretsu structure of the enterprise groups, preserved throughout the postwar period, will finally be transformed or may even disappear completely.
Preview

Executive Summary

I. Introduction

II. The Significance of the Enterprise Groups in the Japanese Economy

III. The Financial Sector Reform

IV. The Intercorporate Structure in Transition

V. The Political Economy of the Structural Reform

VI. Conclusion

References

Appendix

Korean Abstract

판매정보

분량/크기, 판매가격
분량/크기 50
판매가격 5000 원

구매하기 목록

같은 주제의 보고서

연구보고서 미·중 전략 경쟁 시대 글로벌 기업의 대응과 중국진출 한국기업에 대한 시사점 2022-12-30 ODA 정책연구 공공기관 ESG 현황과 경영전략: 해외사례를 중심으로 2022-11-21 연구자료 국내외 ESG 평가사별 점수 비교: 국내 기업을 중심으로 2022-12-30 세계지역전략연구 신남방 국가의 중소기업과 현지 한국 중소기업간 상생 협력 방안 2021-12-30 연구보고서 주요 중소ㆍ중견 기업의 대중국 전략 분석 2020-07-29 Working paper Global Financial Imbalance: Firm-level Evidence from Korea 2020-05-15 Working paper Exchange Rates and Firm Exports: The Role of Foreign Ownership and Subsidiaries 2018-08-31 연구보고서 남미공동시장(MERCOSUR)의 경제환경 변화와 한ㆍMERCOSUR 기업간 협력 활성화 방안 2017-11-30 Working paper Determinants and Consequences of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Evidence from the Revision of the Company Act in India 2017-04-28 전략지역심층연구 한국 중소기업과 스타트업의 인도시장 진출방안 연구 2016-12-30 연구보고서 뉴노멀 시대 중소기업의 대외경쟁력 제고를 위한 정책과제 연구: 한국과 대만을 중심으로 2016-08-30 연구보고서 중국 신흥도시의 소비시장 특성과 기업의 진출전략 2014-12-30 중국종합연구 중국 인터넷기업 해외진출에 따른 한중 협력방안 연구 2013-12-30 연구자료 중국 진출 한국 기업의 유턴 유형화 및 유턴정책 개선방안 2013-06-19 연구자료 중국 상하이(上海) 시 고급소비재 시장 진출기업 경쟁전략 분석 및 시사점 2012-12-31 연구보고서 한국 해외투자의 경제적 효과 분석: 생산성, 무역, 고용을 중심으로 2010-12-30 연구자료 인도 권역별 진출환경 평가: 남부 2010-12-30 Working paper Trade Openness and Vertical Integration: Evidence from Korean Firm-Level Data 2009-12-30 단행본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년사 2010-01-15 Working paper Firm Heterogeneity in the Choice of Offshoring: Evidence from Korean Manufacturing Firms 2009-06-10
공공누리 OPEN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 출처표시, 상업용금지, 변경금지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표시기준 (공공누리, KOGL) 제4유형

대외경제정책연구원의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 금지 +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저작권정책 참조

콘텐츠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콘텐츠 만족도 조사

0/100